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늦잠 마녀를 물리쳐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그러더니 감사의 표시로 나와 코코 공주를 결혼시키려고 하지 뭐야? 안 돼! 난 아직
초
등학생이라고~!“어서 안 일어나?! 너 정말 이러다 지각한다!”이크, 엄마의 불호령이 떨어졌어요. 상현이는 두 눈을 비비며 그제야 잠자리에서 일어났어요. 그런데 이불 위에 꿈에서 보았던 그 두루마리가 있는 ... ...
각진 친구들의 모임 다각형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것으로 이름이 알려진 수학자는 탈레스가 처음입니다. 지금도 많은 사람들은 탈레스를 최
초
의 수학자라고 부릅니다.피타고라스도 그리스 수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사람입니다. 피타고라스는 기원전 572년경에 태어났으며 탈레스와 비슷한 시기에 활동했습니다. 그는 피타고라스 정리라고 불리는 ... ...
한국 과학에 ‘일러스트 르네상스’ 올까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어느 순간에 위성을 궤도에 올려놓는지 눈으로 확인할 길이 없다. 이륙한 지 수십
초
만 지나도 로켓은 하늘을 뚫고 올라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항공우주일러스트레이션이 우주를 향한 인류의 도전을 낱낱이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자연과 상상력 넘나드는 예술한국 ... ...
꿀벌보다 못한 인간의 선거방식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해왔던 일이다. 그러니 투표에 관한 한 인간은 꿀벌 앞에서 콧대를 세울 수 없다.
초
여름이 되면 온통 주변에 먹을거리가 넘쳐나 꿀벌의 무리가 늘어나고 대부분의 벌집은 북새통을 이룬다. 그래서 이때쯤 엄마 여왕벌은 자기 딸을 위해 자기가 살던 터전을 딸에게 넘겨준다. 그리고선 벌집 안의 ... ...
세계 최장 새만금 방조제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부분이 많습니다. 워낙 오랫동안 환경단체와 법원을 드나들다 보니(웃음)….”모든 것을
초
탈했다는 듯이 웃는 그를 보면서 환경단체든 정부든 어느 한쪽도 마음이 편한 쪽은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이왕 튼튼하게 지었으니, 경제를 발전시키는 역할은 제대로 하면서 환경피해는 발생하지 않도록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니콜라스 블룸베르겐과 함께 1981년에 각각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그러나 세계에서 최
초
로 레이저 발진에 성공한 시어도어 메이먼은 노벨상을 수상하지 못했다. 레이저 개념의 창시자인 굴드도 과학자로서의 명예를 찾지는 못했다. 그는 특허 출원에도 실패하고 자신의 레이저도 완성하지 못했다. ... ...
원자번호 117번 원소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116번과 2002년 확인된 118번 사이의 빈자리가 채워진 셈이다. 연구자들은 5개월 동안
초
당 7조 개의 칼슘-48 이온을 버클리움-249 원자핵에 충돌시켜 얻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17번 원자 6개를 확인했다.핵융합 과정에서 중성자 3개가 소실되며 형성된 Uus-294(양성자 117개, 중성자 177개)는 단 한 개만 ... ...
iPad 열풍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지난해 12월 아이폰을 처음 손에 쥐었을 때 감동을 잊지 못한다고 했다. 스티븐 잡스가 올
초
아이패드를 공개하자 그는 아이패드도 사용해보고 싶다는 마음을 갖게 됐다. 올 3월 미국 애플 본사가 예약판매를 시작하자 구매를 예약했고 미국에 있는 친지를 통해 4월 7일 누구보다도 빨리 아이패드를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연구를 진행한 프랑스 리용대의 제롬 카스파리안 박사는 “이번 실험에 사용한 펨토
초
테라와트 레이저보다10배 정도는 출력이 더 센 펄스 레이저를 사용해 연속적으로 쪼이는 방법을 찾고 있다”며 다음 연구 계획을 밝혔다.미 해군연구소(NRL)의 과학자들은 물속에서 음파를 만드는 새로운 기술을 ... ...
나노응용시스템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과정에서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본격적으로 나노과학을 공학에 응용시키는 것을 배운다.
초
기 대학원은 나노협동과정에서 시작됐고 융합대학원이 만들어지면서 나노융합학과로 발전했다. 즉 기본적인 필수 과목을 배운 후에 자신이 택한 주 응용분야와 나노분야를 융합하는 응용 학문을 배우고,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