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689건 검색되었습니다.
[누리호 타고 우주로]③백두산 분화 감시하는 초소형위성 '스텝큐브-2'
동아사이언스
l
2022.06.14
대한 관심이 전무한 점은 아쉽다고 했다. 조선대는 오 교수팀 외에도 박설현 조선대 기계
공학
과 교수팀이 3U 크기 초소형위성 ‘KMSL’을 개발해 발사하는 등 큐브위성을 세 차례 개발한 경험을 가졌다. 오 교수는 “일본에서는 오사카샛, 훗카이도샛 등을 개발하며 지역 우주기술을 육성시킨다”며 ... ...
“내 컴퓨터가 실내공기 오염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3
배출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최성득 도시환경
공학
과 교수팀이 과열된 컴퓨터에서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가 나와 실내공기를 오염시킨다는 연구결과를 건설환경 분야 국제학술지 ‘건축물과 환경’ 6월호에 발표했다고 13일 밝혔다. 컴퓨터 부품에 불순물로 포함된 ... ...
안개와 이슬에서 전기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3
발전기가 개발됐다. 김동성 포스텍 기계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은 최동휘 경희대 기계
공학
과 교수와 공동으로 연잎의 구조를 옮긴 물방울 기반 발전기를 개발해 최대 효율인 13.7%를 달성했다고 13일 밝혔다. 물방울 기반 발전기는 물방울이 고체 표면에 닿을 때 전기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이용하는 ... ...
[누리호 타고 우주로]②초소형위성 최초 지상 촬영 도전하는 '랑데브'
동아사이언스
l
2022.06.13
주파수의 S밴드를 통해 지상국과 통신한다. 위성 상태를 전송하는 초단파는 KAIST 항공우주
공학
관 건물 옥상 지상국에서 수신하고, 영상 데이터를 보내는 S밴드 신호 수신은 공군사관학교 지상국의 도움을 받기로 했다. 연구팀은 트위터 계정을 만들어 랑데브의 상태를 중계하는 것도 검토 중이라고 ... ...
수소 대규모 운반기술 상용화할 촉매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수소연료전지연구센터 선임연구원과 윤창원 포스텍 화학
공학
과 교수 공동연구진은 12일 “개발한 촉매는 수소 추출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의 양을 크게 줄이며 추출 속도도 빨라 대규모 수소운송 실증과 상용화를 가능케 하는 핵심기술”이라고 밝혔다. LOHC는 ... ...
전기 10배 잘 통하는 열전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2
기대된다. 김봉수 울산과학기술원(UNIST) 화학과 교수와 김종현 아주대 응용화학생명
공학
과 교수 공동 연구진은 고분자 열전소재의 분자량을 늘리는 방법으로 전기전도도를 기존 소재 대비 10배 향상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철강이나 석유화학 공정에서 많은 양의 열이 발생하는데, 이 ... ...
명재욱 KAIST 교수, 2022 APEC 혁신연구교육과학상 한국 대표 선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10
지원자를 받은 후 전문가 심사를 거쳐 선정됐다. 명 교수는 미생물과 환경화학
공학
분야를 접목해 플라스틱 폐기물과 지구온난화 등 환경과 사회문제 해법을 찾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명 교수는 “한국 대표로 선발돼 기쁘고 영광이다”며 “앞으로 플라스틱 소재 생합성과 생분해 원리를 ... ...
[누리호 타고 우주로]①한반도 미세먼지 관측 도전하는 초소형위성 '미먼'
동아사이언스
l
2022.06.10
전담하도록 전체 팀을 7개 세부팀으로 쪼개 개발 효율성을 높였다. 열이나 구조는 기계
공학
과 학생에게 주로 맡기는 등 전공에 따라 잘하는 분야를 전담시켜 능률도 높았다. 무엇보다도 스스로 개발에 뛰어든 학생들인 만큼 열정이 가장 남달랐다고 한다. 강 연구원은 “팀마다 팀장들이 많이 ... ...
[영상+]혈관 움직임 실시간 촬영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0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기술을 개발했다. 김철홍 포스텍 IT융합·전자전기·기계
공학
과 교수팀은 남성현 삼성종합기술원 마스터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광혈류측정기와 광음향현미경을 결합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광혈류측정기는 스마트워치의 심박수 측정 센서에 주로 ... ...
누리호 두 번째 도전, 맨 앞자리엔 '이들'의 꿈도 함께 실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0
부품 수급이 1년 이상 늦어지면서 개발팀들은 애를 태워야 했다. 김태호 KAIST 항공우주
공학
과 박사과정생은 “태양 전지판 부품만 해도 6개월이면 도착하는데 1년 4개월이 걸렸다”며 “4월 말에 도착하는 바람에 5월 24일 납품까지 밤을 새워 성능검증 실험을 진행했다”고 말했다. 우주개발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