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제임스웹 첫 영상 공개]"평범한 사람들이 만든 제임스웹, 미국
공학
교과서를 바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07.12
지도 모른다"며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쌓인 첨단 기술 내용이
공학
교과서에 반영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린하우스 선임연구원은 2016년 망원경의 과학 기기 개발을 전부 마치고 검증을 끝낸 뒤 망원경 본체에 과학 기기를 전부 실었을 때를 회상했다. 제임스웹 ... ...
홍석봉 포스텍 교수, 나노다공성 분야 최고상 '브렉상' 아시아 첫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2.07.11
스페인 발렌시아에서 열린 제20차 국제제올라이트학술대회(IZC)에서 홍석봉 환경
공학
부 교수가 '브렉상'을 수상했다고 11일 밝혔다. 브렉상은 제올라이트 합성 분야의 선구자이자 국제제올라이트학회 설립에 기여한 도널드 브렉 박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83년 제정됐다. 나노 다공성재료 ... ...
방사선 노출량 30% 줄이는 X선 부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7.11
줄이고 이동형 장치로 만들 수 있는 핵심기술을 개발했다. 이철진 고려대 전기전자
공학
부 교수 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 기반의 ‘냉음극 X선 튜브’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고해상도 X선 의료 영상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X선 장치 상용화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X선 장치의 ... ...
[프리미엄 리포트] 어르신, 키오스크 왜 못 쓰세요?
과학동아
l
2022.07.09
괜찮지만 고령층에서는 이해가 쉽지 않다. 권오상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바이오메디컬
공학
과 교수는 “사람은 나이가 들면서 시각, 인지 기능이 자연스럽게 줄어든다”며 “그중 하나는 시각정보가 좁은 공간에 여러 개 있을 때 이를 명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는 ‘비주얼 크라우딩(시각적 혼잡 ... ...
[주말N수학] 컴퓨터의 탄생
2022.07.09
튜링 기계는 다른 기계가 풀 수 있는 문제라면 모두 풀 수 있거든요. 예를 들어
공학
용 계산기로 ‘방정식’을 풀 수 있으므로, 튜링 기계도 가능합니다. 심지어 컴퓨터로 두는 체스도 튜링 기계로 둘 수 있습니다. 만약 튜링 기계가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한다면 그것은 그 문제를 해결하는 ... ...
호암상 수상자 키스 정 교수 “미래 질병 치료 길 여는 유전자 가위 기술 발전의 실질적 공헌자들은 한국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7.08
확인하고 이를 실제 세포에서 찾아내는 기술도 개발했다. 현재 이 방법은 학계와 생명
공학
관련 산업계에서 표준 기술로 사용되고 있다. 정 교수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미래 인간 유전병 치료의 핵심으로 기대하는 것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의 정확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전자피부 활용 기하학적 고신축성 기판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7.08
실린 KAIST 연구진의 연구성과. KAIST 제공. ■ KAIST는 신소재
공학
과 스티브 박 교수와 기계
공학
과 김택수 교수 공동연구팀이 놀이공원의 대관람차 모양으로 설계된 아일랜드 어레이 기반 신축성 기판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아일랜드란 부드러운 폴리머 소재 내부에 존재하는 상용 칩들을 보호하기 ... ...
물 속 미세플라스틱 제거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07
미세플라스틱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주혁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
공학
과 교수와 조한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마찰대전’ 발전소자로 미세플라스틱을 빨아들이는 필터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마찰대전은 서로 다른 재료를 마찰해 반대 후보의 ... ...
경찰 수신호 한 번에 달리던 차가 멈췄다…자율주행차가 학습할 교통수신호DB 구축
동아사이언스
l
2022.07.06
수신호를 인식하고 정지하는 시연에도 성공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이용구 기계
공학
부 교수 연구팀이 2018년부터 약 4년간 신호등처럼 위치 변화가 없는 정적인 신호만으로 판단할 수 없는 도로 위와 주변 동적 객체(보행자, 경찰관, 교통안전요원 등)를 검출하는 DB를 세계 최대 규모로 ... ...
DNA 메모리 기술 신호탄 권성훈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2.07.06
효과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기술 상용화의 기초를 다진 권성훈 서울대 전기·정보
공학
부 교수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을 받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7월 수상자로 DNA메모리 상용화 기술을 개발한 권 교수를 선정했다고 6일 밝혔다. 권 교수는 정확한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