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689건 검색되었습니다.
- 레고처럼 원하는 기능 맞춤형 조립하는 'AI칩'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22.06.20
- 맞춤형으로 조립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김지환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재료과학 및 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13일(현지시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중국 칭화대 등과 공동으로 AI 칩 속에 다양한 모듈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는 광통신 AI 칩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에 ... ...
- 종이와 바이오연료 만들 때 버려지던 부산물로 나일론 원료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22.06.19
- 고분자 단량체의 제조방법’이라는 이름으로 특허 출원됐다. 주요 내용은 촉매와 화학공학 분야의 국제학술지 ‘촉매과학과 기술’ 6월호 뒤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 ...
- [프리미엄리포트]자율주행로봇 도입하면 배달비 내려갈까과학동아 l2022.06.19
- 자율주행 배달 로봇으로 채우면 어떨까요. 연구는 여럿 있습니다. 최동일 명지대 기계공학과 교수는 “같은 자율주행으로 묶이지만, 자율주행 자동차의 경우 하드웨어를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자율주행 배달의 경우 소프트웨어 위주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자율주행 배달 ... ...
- 투명한 스마트폰, 이론적으로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06.18
- 반도체 자체를 투명하게 만든 연구는 많습니다. 예를 들어 2017년엔 서형탁 아주대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두 종류의 나노 결정 산화물을 붙여 가시광선을 100% 가까이 통과하는 반도체를 만들었습니다. 2020년엔 포스텍과 성균관대 공동연구팀이 투명 P형 반도체를 개발하기도 했습니다. 투명 ... ...
- KAIST 뇌인지과학과·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신설동아사이언스 l2022.06.17
- KAIST 제공 KAIST가 뇌인지과학과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을 설립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에 설립되는 뇌인지과학과는 '인간에 대한 총체적 학문 ... 정부지원금을 받는다. KAIST는 이달 27일과 29일 유튜브 채널 '카이스트 산업및시스템공학과'에서학과 설립과 관련한 온라인 설명회를 연다 ... ...
- "누구나 자유롭게 돌아다닐 권리가 있다" 보행장애 극복을 꿈꾸는 로봇공학자동아사이언스 l2022.06.17
- 교수는 세상의 모든 보행장애를 극복하겠다는 일념으로 15년째 로봇 연구를 해온 공학자다. 장애인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을 개발해 이 분야의 실력을 겨루는 국제대회인 ‘사이배슬론’에 두 번이나 출전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이달 9일 대전 유성구 KAIST 연구실에서 만난 공 교수는 기자를 ... ...
- 빛에너지와 양자점 이용해 암모니아 합성한다동아사이언스 l2022.06.16
- 고효율 방식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KAIST는 생명화학공학과 이도창 교수와 이상엽 특훈교수, 박영신 연구교수 연구팀이 양자점을 이용해 질소 고정 박테리아의 암모니아 생산 효율을 대폭 늘리는 데 성공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미국 화학회지’ 표지논문으로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프라운호퍼와 한국 기술자의 몰락2022.06.16
- et Manus)이다. 이론과 실기를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는 믿음을 보여준다. 좋은 과학자 또는 공학자가 되기 위해서는 머리로 생각해 낸 물건을 손을 움직여 구현해 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 하지만 과학자가 직접 하기 어려운 작업을 도와주는 전문가들도 있다. 그들의 ‘손으로 하는 공부’는 ... ...
- [누리호 타고 우주로]④ GPS 신호로 우주에서 대기 관찰하는1 초소형위성 '스누글라이트-2'동아사이언스 l2022.06.15
- GPS 수신기 3대와 자세결정 모듈, 광학카메라를 갖춘 이 위성은 기창돈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팀이 개발했다. 스누글라이트-2는 가로 10cm, 세로 10cm, 높이 30cm인 성인 남성의 팔뚝보다 조금 굵은 크기에 무게는 3.84kg 불과하다. 수 kg에서 수십 ㎏에 불과한 큐브위성은 '유닛'(Unit·단위)의 ... ...
- 국내박사 작년 1만6천명 배출…공학계열 29%·직장병행이 과반연합뉴스 l2022.06.15
- 이는 한국표준교육분류 10개 대분류 기준으로 통계로, 이전 기준으로 작성된 통계에서도 공학계열은 2016년 31.9%에서 2020년 33.8%로 비율이 높아지는 추세였다. 연령별로는 30∼34세가 33.4%로 가장 많고, 2016년 30.3%보다도 비중이 커졌다. 50세 이상이 2016년 18.3%에서 2021년 20.4%로 늘어난 것도 특징이다. ... ...
이전2592602612622632642652662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