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사실 ‘똥딱정벌레’ 덕후다. 이 때문에 ‘곤충 사나이’라는 별명도 얻었다. 열살 때 처음 똥딱정벌레를 만난 이후 현재까지 똥이 있는 곳을 찾아 다니고 있다. 식물학자인 아버지가 하수처리장에서 연구를 진행한 덕에 저자에게 하수처리장은 유년 시절의 놀이터였다. 그에게 대변은 ‘생태를 ... ...
- 비틀즈의 ‘스트로베리 필즈 포에버’, 혁신에 수학을 더하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비틀즈가 TV에 나오는 동안 뉴욕 시의 범죄 건수는 0이었습니다. 뉴욕 시가 생긴 이래 처음 있는 일로, 뉴욕 시민 모두가 비틀즈 나오는 방송을 보느라 범죄를 저지를 틈이 없었다는 우스갯소리가 생겼지요. 그 뒤에도 미국에서 전례 없던 현상이 연이어 벌어지며, 비틀즈에 열광하는 팬들을 지칭하는 ... ...
- Part 1. 호모 사이보그, 인간 + 기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소련의 우주 개발이 한창이던 1960년, 미국인 맨프레드 클라인즈와 네이선 클라인이 처음 제안했지요. 두 사람은 자신들이 쓴 글 ‘사이보그와 우주’에서 “인간이 우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우주 환경을 지구처럼 바꾸는 것보다 인간의 기능을 개선해 사이보그가 되는 편이 낫다”고 주장했답니다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정리하는 수준일 뿐 깊이 있는 기사를 다룰 수 없다”는 이유로 로봇 기자를 무시했다. 처음엔 스포츠, 증권, 날씨 등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사만 쓰더니 요즘엔 기사의 90%를 로봇이 작성한다. 기사 하나를 작성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 1초. 양으로 덤벼오는 로봇 기자 앞에서 질만으로 승부하기엔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빛으로 이온 채널의 활성을 조절해 결과적으로 신호 전달을 제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처음 보여준 연구입니다. 뇌를 구성하는 세포 단위인 뉴런의 세포막에도 이온채널이 존재합니다. 만약 뉴런의 세포막에 있는 이온채널을 빛으로 제어할 수 있다면 아주 적은 노력으로 뇌의 기능을 속속들이 알 ... ...
- Part 1. 현대 기술로 재탄생한 반 고흐의 그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로토스코핑은 20세기 애니메이션에서 주로 쓰인 기법으로, 유화를 입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에요. 영화를 위해 화가 107명이 2년 동안 6만 2450여 점의 그림을 그렸답니다. 덕분에 영화를 보고 있으면 반 고흐의 그림이 살아 움직이는 듯한 느낌이 들지요. 는 관객과 평론가들로부터 좋은 ... ...
- Part 2. 현실 같은 현실 아닌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그녀의 아바타 가슴 부위를 주물렀다는 것이다. 이런 가상현실 성추행 사건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여기에 현행법을 어떻게 적용할지, 방지하려면 어떤 사전 규정이 마련돼야 하는지 논쟁은 앞으로 더 커질 전망이다. 멀미 잡는 인터페이스가 관건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글까. 가상현실 데이트에 ... ...
- [Culture] 좌완투수의 시대 왼손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전문적으로 도입한 최초의 통계사이트)를 참고해서 상위 30명을 선정했다. KBO가 처음 시작된 1982년부터 2017년까지 36년간 단 한번이라도 30위 안에 이름을 올린 투수 371명 중 왼손 투수는 102명으로 약 27%로 나타났다. 일반인의 왼손잡이 비율인 10%보다 2.7배 가량 높은 수치다. 2017년에는 특히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접목하면 처음부터 인체 거부반응을 완전히 없앤 형질전환 돼지를 만들 가능성도 있다. 처음부터 돼지 몸속에서 사람의 줄기세포를 키워 돼지의 간이나 폐, 심장 등 모든 장기를 사람과 똑같은 유전자를 갖도록 만드는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사람과 동일한 두뇌를 가진 돼지를 만들 수 있다는 뜻이 ... ...
- [Issue] 국내 첫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말했다. 또 2018년에는 수장고를 직접 방문할 수 있는 체험 기회도 제공할 예정이다. 이날 처음 알게 된 사실이지만, 보존된 부재는 건축물을 보수하는 과정에 실제로 재사용되기도 한다. 목조건축물은 보통 30~50년 주기로 수리가 반복되기 때문이다. 지난해에만 보물급 이상 건축물의 해체수리 ... ...
이전2602612622632642652662672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