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종목4] 봅슬레이, 최첨단 ‘과학 썰매’로 金 사냥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썰매에 태극기를 붙이고 동메달을 따면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그 결과 2013년에는 처음으로 전용 썰매를 구입했고, 국제대회에서 최초로 우승(2인승)하는 쾌거를 거뒀다. 비록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에서는 18위(2인승)에 그쳤지만, 세계 최고의 명품으로 불리는 라트비아산 BTC 썰매를 도입한 2015 ... ...
- [번외종목] 스키로봇챌린지, 8봇 8색 도전! 로봇 스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방향을 바꾸기 어렵기 때문에 고민 끝에 로봇을 작고 가볍게 만드는 쪽을 택했다. 처음에는 사람처럼 발을 11자 형태로 만들어서 스키를 타게 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그런 동작을 소화하기 위해서는 로봇이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어야 하고 결국 사람만큼 많은 관절을 넣어 제작해야 했다. 빠른 ... ...
- [Culture] 기계공학자의 눈으로 본 라테, 위스키 그리고 와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혼합 효과와 같은 매우 복잡한 난류 혼합 현상이 일어난다. 이런 현상은 19세기에 처음 발견됐지만 오랫동안 그 이유가 밝혀지지 않았다. 필자는 스톤 교수팀과 함께 와인과 같은 알코올이 물과 만날 때 섞이는 현상에 대한 정량적인 연구를 수행해 ‘네이처 피직스’ 에 2017년 7월 발표했다. doi:10.1038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2호
- 것 같지만, 수학에서 대칭은 도형보다 방정식과 관련이 많답니다. 15세기 초 은행이 처음 생기면서 사람들은 이자계산 문제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어요. 이자를 계산하려면 1차, 2차는 물론 5차방정식의 해까지 구해야 했지요. 그런데 4차방정식까지는 해를 구하는 ‘근의 공식’을 찾았지만 ... ...
- [별난이름정리] 공짜 점심은 없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없다’는 이런 상황에서 나온 말입니다. 1942년 미국의 정치 저널리스트 폴 맬런이 처음으로 이 말을 사용했습니다. 나중에 SF작가 로버트 하인라인이 소설 ‘달은 무자비한 밤의 여왕’에서 이 표현을 써서 더 유명해졌고,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이 책 제목으로 쓰면서 경제학 용어로 굳혀진 건 ... ...
- Part 5. 빙하를 직접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모양이라고 해서 ‘스투파’라는 이름이 붙었답니다. 왕척 엔지니어는 2013년 10월에 처음으로 6m 높이의 인공 빙하를 만들었어요. 총 15만L의 물을 얼린 양이었지요. 이 인공 빙하는 그 다음 해 5월, 20°C의 온도에서도 녹지 않았어요. 현재 라다크 지역에서는 이 인공 빙하에서 얻은 물로 나무를 기르고 ... ...
- [종목5] 컬링, ‘ 빙판 위의 체스’ 돕는 얼음 물리학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가 컬링 대표팀을 돕기 위해 나섰을 때 처음 마주한 장애물이었다. 얼음, 브러시, 패드 삼박자 맞아야‘빙판 위의 체스’로도 불리는 컬링은 둥글고 납작한 돌덩어리인 스톤을 얼음 위에서 미끄러지게 만들어 원형 표적(하우스) 안에 집어넣는 ... ...
- [Issue] 내 잉크가 너의 숨을 쉬게 하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누구나 집에서 배기가스로 만든 잉크로 서류를 인쇄할 수 있게 된다. 샤르마 씨는 “처음에는 자동차 매연을 줄여보자는 생각에서 에어잉크를 만들기 시작했다”며 “지금은 사람들이 에어잉크를 통해 환경보호의 중요성을 깨닫고 오염물질도 줄이는 효과를 낳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래비키 ... ...
- [프리미엄 리포트] 미국, 진통제와의 전쟁 선포! 진통제 알고 먹자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화학물질, 온도 변화에 천천히 반응한다. 새끼발가락이 가구 모서리에 부딪쳤을 때, 처음의 날카로운 고통은 A 섬유가, 그 뒤의 묵직한 아픔은 C 섬유가 전달한다. C 섬유는 화학적 자극으로 인한 통증도 전달한다. 한 예로 상처나 감염이 생겼을 때 세포가 파괴되면 세포막을 형성하는 인지질에서 ... ...
- [Origin] 몸 밖의 몸,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불리기도 합니다. 2009년 한스 클레버스 네덜란드 휴브렉트연구소 교수(위 사진)가 처음 개발했습니다. 200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줄기세포의 체외 배양은 거의 불가능한 일로 여겨졌습니다. 줄기세포가 성장하는 데 필요한 인자들이 무엇이지 알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2008년 사사이 요시키 당시 일본 ... ...
이전2572582592602612622632642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