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세계에 수학덕심 퍼뜨리기 전염병주식회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정해집니다. 이기려면 각 변숫값을 높여야겠네요. 먼저 시간당 전염 확률을 높여보죠. 처음에 MATH LOVE VIRUS는 천연두처럼 침으로만 전염되지만, 이제 공기 감염도 가능하도록 진화시킵니다. 그럼 환자는 자기도 모르게 비행기 속 공기에 바이러스를 남기고 떠날 거예요. 바이러스는 비행기를 타고 ... ...
- Part 1. 호모 사이보그, 인간 + 기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소련의 우주 개발이 한창이던 1960년, 미국인 맨프레드 클라인즈와 네이선 클라인이 처음 제안했지요. 두 사람은 자신들이 쓴 글 ‘사이보그와 우주’에서 “인간이 우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우주 환경을 지구처럼 바꾸는 것보다 인간의 기능을 개선해 사이보그가 되는 편이 낫다”고 주장했답니다 ... ...
- [Issue] 중국을 선택한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중국을 선택한 것은 중국 젊은 과학자들의 현량자고 정신에 반했기 때문이다. 업무 차 처음 중국을 방문한 건 2011년이었다.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비휘발성메모리기술 심포지엄(NVTMS)’에 초청돼 강연을 하기 위해서였다. 당시 필자에게 중국의 이미지는 땅이 넓고 인구가 많은 나라, 싼 제품을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접목하면 처음부터 인체 거부반응을 완전히 없앤 형질전환 돼지를 만들 가능성도 있다. 처음부터 돼지 몸속에서 사람의 줄기세포를 키워 돼지의 간이나 폐, 심장 등 모든 장기를 사람과 똑같은 유전자를 갖도록 만드는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사람과 동일한 두뇌를 가진 돼지를 만들 수 있다는 뜻이 ... ...
- [Culture] 뜻밖의 히어로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 노래를 한번도 들어보지 못한 소녀가 심장을 이식 받은 뒤, 이 노래의 가사를 처음부터 끝까지 기억해 불렀다는 것입니다. 그녀는 “나는 이전에는 어떤 악기도 연주하지 못했지만, 이식 이후 음악을 사랑하게 됐다”고 말하기도 했죠. 논문에는 이런 신기한 사례 10가지가 소개돼 있습니다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빛으로 이온 채널의 활성을 조절해 결과적으로 신호 전달을 제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처음 보여준 연구입니다. 뇌를 구성하는 세포 단위인 뉴런의 세포막에도 이온채널이 존재합니다. 만약 뉴런의 세포막에 있는 이온채널을 빛으로 제어할 수 있다면 아주 적은 노력으로 뇌의 기능을 속속들이 알 ... ...
- [Career] 분자기계와 배터리의 효율적인 만남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사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최대 50배 가까이 배터리 수명이 늘었다”고 말했다. 최 교수가 처음부터 분자기계를 쓴 건 아니었다. 시작은 실리콘의 분자 구조를 이용해 장력을 분산시키는 연구였다. 결과도 좋았다. 그 연구로 2015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도 뽑혔다. 그랬던 그가 어떻게 기존 ... ...
-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1호
- 궁금해졌습니다. 이유는 야코프 베르누이라는 수학자 때문이었죠. 확률의 뜻을 처음 정의한 수학자 야코프 베르누이는 ‘추측술’이라는 책에서 ‘각각의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이 같을 때, 그것이 일어날 수 있는 경우의 수와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의 비’가 확률이라고 말했습니다. 동전을 ... ...
- [가상인터뷰] 야생종으로 바나나의 멸종을 막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바나나 ‘무사 아쿠미나타(Musa acuminata)’예요. 기원전 7000여 년 전 파푸아뉴기니에서 처음으로 재배됐지요. 바나나 하나의 길이가 3~9cm 정도이고, 15~62개의 씨앗을 갖고 있답니다. 무사 아쿠미나타를 더 크고, 달게 개량한 것이 바로 우리가 먹는 ‘캐번디시’예요. 전세계 4억 명 정도가 캐번디시를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모양을 본뜬 한자로, 머리털과 얼굴의 모습을 담고 있어요. 그리고 사람의 머리에서 ‘처음’, ‘근거’란 뜻으로 이어졌지요. 즉, ‘길 도(道)’는 ‘사람을 목적지로 이끄는 길’ 또는 ‘사람이 지킬 도리’라는 뜻이랍니다 ... ...
이전2622632642652662672682692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