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준에 맞춰 모여! 모두 집합!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연구를 지속할수록 많은 수학자는 칸토어의 이론이 완벽하지 않다고 주장했습니다.
결국
집합론을 발표한 지 얼마 되지 않은 1897년, 이탈리아 수학자 부르알리-포르티는 최초로 집합론 역설을 발표했습니다.칸토어는 그의 집합론에서 주어진 임의의 가장 큰 수(초한수) 가 있다고 가정할 때, 항상 그 ... ...
물리학의 새길 개척한 모혜정 교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이끄는 변화의 선두에 서서 모두가 안 된다고 한 일을 추진했다. 고집을 굽히지 않고
결국
자신의 주장이 옮음을 증명함으로써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었다. 초창기 한국 여성과학계는 변변한 연구시설도 갖추지 못한 불모지였다. 그러한 환경에서 모혜정 이화여대 명예교수는 한국 여성 1호 물리학 ... ...
Part 2. 과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본다면 아직 아무도 기를 발견하지 못했으니 이론적 근거가 없어진다. 의사들은 “
결국
어떤 관점에서 보아도 기를 바탕으로 하는 한의학 이론은 현재로서는 과학적이라 고 평가할 수 없다”고 말한다.기가 지나가는 통로인 ‘경락’도 마찬가지다. 해부학이 본격적으로 발달한 지 무려 수백 년이 ... ...
브누아 만델브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관심을 가졌으나, 어느 곳이든 주류에게 환영받지 못했다. 학계의 변두리를 맴돌던 그는
결국
1958년에 아예 멀찍이 떨어진 곳에서 새로운 직장을 잡는다. 바로 IBM의 토마스 왓슨 연구소였다. 기업 연구소가 변경인의 안식처로IBM은 지금도 매출 100조 원이 넘는 거대한 글로벌 기업이지만, 20세기 ... ...
겨울에는 ‘춥게’ 입어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동안 기초대사율이 높은데다, 몸을 떨지 않고도 열을 효율적으로 낼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여름에 더위를 즐기고, 겨울에 추위를 즐기는 사람은 더위와 추위를 적게 탈 뿐 아니라 감기에 걸리지 않고 건강해지는 셈이다.필자의 연구팀에서는 이것을 입증하는 실험을 했다. 의복 기후를 측정하는 ... ...
향기가 퍼져나가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사이의 거리는 점점 멀어진다. 또한 A분자들과 B분자들 사이의 거리는 점차 가까워진다.
결국
충분한 시간 동안 충돌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면 A분자와 B분자와의 평균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B분자들 사이의 거리도 일정해진다. 결과적으로 B분자는 밀폐된 공간에서 일정한 압력을 갖게 되고 ... ...
세계는 지금 특허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혁신적인 생각이 나오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프라운호퍼의 특허중심 운영은
결국
재단의 재정을 탄탄히 하고 후속연구를 진행하는 데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한다. 프라운호퍼의 특허를 이용한 제품이 시장에서 잘 팔리면서 로열티는 갈수록 불어나고 있다.▶ ‘100달러 노트북 컴퓨터’ ... ...
인류의 에너지원 ‘별’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질량결손을 설명할 수 있다. 핵융합 과정은 질량결손을 복사에너지(빛)로 방출한다.
결국
항성이 빛을 낼 수 있는 이유는 핵융합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핵융합 반응의 부가적 산물핵융합은 항성의 내부에서 활발하게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많은 빛을 사방으로 방출한다. 빛에 의한 복사압 ... ...
구부렸다 모았다 ‘빛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수도 있었다. 하지만 이 교수는 완전히 새로 시작하는 마음으로 광학 연구에 매달렸고,
결국
홀로그래피와 광통신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이렇게 이 교수로 하여금 과감히 진로를 바꾸게 만든 동력은 무엇일까? 이 교수는 재미와 보람을 꼽는다.“저는 진로에 대해 문의하는 학생들에게 자신이 ... ...
아다 요나트 박사와 과학 꿈나무들의 만남!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생명체가 살 수 없는 곳인 사해에서 살 정도면 그 생명력은 정말 대단한 것이거든요.
결국
이 세균의 리보솜 결정을 만들 수 있었답니다.*결정 : 물질을 이루고 있는 작은 알갱이들이 고르게 배열되어 있는 것. 규칙적으로 쌓여 있거나 늘어서 있기 때문에 X선이 부딪혀 꺾이는 모양도 규칙적으로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