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살아남은 50%의 슬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기원’에서 “새로운 종류는 끊임없이 생겨나지만 종의 수는 무한히 증가할 수 없다.
결국
대부분은 멸종하게 되어 있다(제4장)”고 밝혔다. 생물통계학자들이 화석을 통해 추정한 계산 결과도 일치한다. 생물이 처음 탄생했던 37억 년 전 이후, 지구 상에 등장한 생물 종의 99.9%가 멸종했다.그러나 ... ...
Part 2. 과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본다면 아직 아무도 기를 발견하지 못했으니 이론적 근거가 없어진다. 의사들은 “
결국
어떤 관점에서 보아도 기를 바탕으로 하는 한의학 이론은 현재로서는 과학적이라 고 평가할 수 없다”고 말한다.기가 지나가는 통로인 ‘경락’도 마찬가지다. 해부학이 본격적으로 발달한 지 무려 수백 년이 ... ...
안녕! 디스커버리호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않고 흐릿했다. 머리카락 굵기의 1/5 정도로 미세하게 렌즈가 뒤틀린 것이 원인이었다.
결국
엔지니어 못지않은 정비 교육을 받은 우주비행사들이 엔데버호를 타고 우주로 가서 직접 수리를 거친 후에야 지금의 선명도를 가질 수 있었다. 나도 1997년과 1999년에 허블우주망원경을 수리하러 올라갔다 ... ...
브누아 만델브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관심을 가졌으나, 어느 곳이든 주류에게 환영받지 못했다. 학계의 변두리를 맴돌던 그는
결국
1958년에 아예 멀찍이 떨어진 곳에서 새로운 직장을 잡는다. 바로 IBM의 토마스 왓슨 연구소였다. 기업 연구소가 변경인의 안식처로IBM은 지금도 매출 100조 원이 넘는 거대한 글로벌 기업이지만, 20세기 ... ...
말보다 정직한 ‘몸의 언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행동을 즉시 알아차렸고, 단순 용의자에 불과하던 그 남자는 강력한 용의자로 바뀌었다.
결국
그는 범행을 자백했다.이 책은 ‘인간 거짓말탐지기’라는 별명을 가졌던 전 FBI 요원인 저자가 상대의 몸짓과 표정만으로 속마음을 꿰뚫는 법을 소개하고 있다. 그는 사람들이 무슨 생각을 하고 어떻게 ... ...
인공지능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위다. 하지만 새에게는 비행기가 따라잡을 수 없는 자유로움이 있다. 인공지능이
결국
인간보다 우수해질 날이 오겠지만 인간과 완전히 똑같은 능력을 갖기는 어렵다는 설명이다.컴퓨터의 연산속도가 계속 빨라지면 지금은 불가능해 보이는 인공지능이 등장할 것이다. 양 교수는 그 시점을 2020년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수용체와 비슷한 방식으로 감칠맛을 감지하는데, 이번에는 T1R1과 T2R3가 짝을 이룬다.
결국
1999년에 발견한 두 수용체는 각각 단맛과 감칠맛 수용체의 일부였던 셈이다. 추가 연구결과 미뢰의 세포 가운데 약 30%에서 T1R3가 발현되고 그 중에서 일부는 T1R1이, 일부는 T1R2가 발현했다. 예상대로 한 ... ...
구부렸다 모았다 ‘빛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수도 있었다. 하지만 이 교수는 완전히 새로 시작하는 마음으로 광학 연구에 매달렸고,
결국
홀로그래피와 광통신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이렇게 이 교수로 하여금 과감히 진로를 바꾸게 만든 동력은 무엇일까? 이 교수는 재미와 보람을 꼽는다.“저는 진로에 대해 문의하는 학생들에게 자신이 ... ...
인류의 에너지원 ‘별’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질량결손을 설명할 수 있다. 핵융합 과정은 질량결손을 복사에너지(빛)로 방출한다.
결국
항성이 빛을 낼 수 있는 이유는 핵융합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핵융합 반응의 부가적 산물핵융합은 항성의 내부에서 활발하게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많은 빛을 사방으로 방출한다. 빛에 의한 복사압 ... ...
슛~~ 과학으로 즐기는 2010 월드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그래서 두 부분의 공기 압력이 달라지면 압력이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힘이 작용해
결국
공이 휘어진다. 이것을 ‘마그누스 효과’라고 하고, 이런 슛을 공이 휘어지는 모양을 본떠 ‘바나나킥’이라고 한다.공은 선수가 찬 방향으로 회전하며 날아가다 ‘마그누스 효과’에 의해 바나나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