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충돌하면서 열이 발생하고 이 열 때문에 드라이아이스가 이산화탄소로 바뀐다.
결국
그 행성에 온실효과가 일어난다. 행성에 이미 얼음 상태의 물이 있다면 소행성을 충돌시켜 그 열로 얼음을 수증기로 만들 수도 있다. 수증기 역시 온실효과를 일으키므로 기온이 올라간다.곧바로 기온을 올리는 ... ...
‘무명 선수도 1등’ 첨단 스포츠 의류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FINA는 첨단 수영복을 제재하기로 하고 수영복 재질은 물이 통과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결국
물이 통하지 않는 X-글라이드는 화려한 업적에도 불구하고 경기용 수영복으로 금지됐다.쇼트트랙 선수 방탄복 입는다전문가들은 운동선수의 열 생리학적 반응과 근육의 움직임, 사용하는 기구와의 연계성, ... ...
세계는 지금 특허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혁신적인 생각이 나오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프라운호퍼의 특허중심 운영은
결국
재단의 재정을 탄탄히 하고 후속연구를 진행하는 데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한다. 프라운호퍼의 특허를 이용한 제품이 시장에서 잘 팔리면서 로열티는 갈수록 불어나고 있다.▶ ‘100달러 노트북 컴퓨터’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수용체와 비슷한 방식으로 감칠맛을 감지하는데, 이번에는 T1R1과 T2R3가 짝을 이룬다.
결국
1999년에 발견한 두 수용체는 각각 단맛과 감칠맛 수용체의 일부였던 셈이다. 추가 연구결과 미뢰의 세포 가운데 약 30%에서 T1R3가 발현되고 그 중에서 일부는 T1R1이, 일부는 T1R2가 발현했다. 예상대로 한 ... ...
누가 피터팬의 그림자를 가져갔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붙지 않았다 당황한 피터가 비누를 찾아 그림자에 문질러 보았지만 소용 없었다.
결국
피터는 주저앉아 울음을 터뜨리고 말았다” 중에서웬디의 엄마 달링 부인은 아이들을 목욕시킨 후, 따뜻한 난롯가에 앉아 바느질을 하다가 깜빡 잠이 들었어요. 그리고 꿈 속에서 피터팬을 만나지요. ... ...
PART 1 수학이 사라진 아침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기준을 적용해 요금을 계산한다.이렇다 보니 이들이 수학방해파에 영향을 받아 오동작을
결국
지성이는 학교까지 2km가 넘는 거리를 열심히 뛰기 시작한다. 필사적으로 뛰었기 때문일까? 가까스로 지각 시간에서 3분 일찍 교문에 도착한다.택시마다 기준이 다른 택시미터기자동차의 바퀴가 클수록 한 ... ...
Part 7. 필즈상 수상자와의 만남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세드리크 빌라니 교수와 응오바오쩌우 교수빌라니 교수님은 기체 분자에 큰 충격을 줘도
결국
평형상태, 즉 충격을 받기 전 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어. 응오 교수님은 정수론과 함수론이 서로 동떨어진 학문이 아니라 어떤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랭글란즈의 추측 중 기본보조정리를 ... ...
내 옆에 있는 두 얼굴의 소시오패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단절해버려도 아무도 벌을 주지 못한다. 공동체에서 퇴출시키는 일도 불가능해졌다.
결국
사이코패스나 소시오패스가 오랫동안 생존하면서 능력을 키워나가고 진화해갈 수 있는 바탕이 돼버린 셈이다.안타깝게도 이들을 변화시킬 방법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소시오패스는 자신이 내리는 ... ...
한국 수학 필즈상에 도전장 내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문제를 해결했다. 방정식에 들어가는 초깃값이 커도, 즉 기체 분자에 큰 충격을 가해도
결국
평형 상태로 돌아온다는 사실과 그때 걸리는 시간을 밝혔다. 빌라니 교수의 해법은 볼츠만 수송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기체 분자 운동을 설명하는 다른 방정식에도 적용할 수 있어 ... ...
‘곰보 자국’이 달 과거 알려줄까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때문에 최근에 생긴 크레이터가 훨씬 전에 생겼던 크레이터를 지우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
크레이터가 몇 개인지, 크기는 얼마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헤드 박사 팀은 “달 북반구 중앙에서 좀 더 떨어진 지역과 남반구 중앙 지역에는 비교적 오래된 크레이터들이 ‘거의 지워지지 않고’ 남아 ... ...
이전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