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국"(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명 사라진 가을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7호
- 되고, 식물이 생장하는 기간이 길어지면서 에너지 저장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죠. 결국 힘이 약해진 식물들은 병에 걸리기 쉬워져요. 열매에도 영향을 주게 돼 번식이 어려워질 수도 있답니다." -이돈구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교수)잠깐! 단풍 색이 이상해~가을이 사라지면 아름다운 단풍을 볼 ... ...
- 오싹오싹 짜릿짜릿 공포의 숲을 탈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6호
- 세포의 판단을 방해해 얼굴에서 정보를 읽어내지 못한다. 정보가 부족하면 답답해지고 결국 공포감으로 발전한다.한편, 뇌는 눈을 통해 들어오는 사물의 정보가 불완전하더라도 그것을 바탕으로 사물을 모두 본 것처럼 인식하는 능력이 있다. 어두운 곳에 있는 옷걸이가 귀신처럼 보이는 것도 이 ... ...
- 국가 태풍센터의 착한 태풍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5호
- 양이 줄어들고, 편평한 바다와 달리 육지에서는 마찰력이 커지면서 힘이 약해져서 결국 사라지게 된답니다. 마치 태풍이 살아 있는 것 같죠? 무서운 태풍 VS 고마운 태풍태풍에 대해 알아보다가 무서운 이야기를 들었어. 2002년 우리나라를 지나간 태풍 ‘루사’와 2003년의 태풍 ‘매미’로 입은 ... ...
- 시원한 여름나기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5호
- 거래. 전력 낭비의 주범은 에어컨! 에어컨 1대는 선풍기 30대와 비슷한 전력을 쓰거든. 결국 정부에서는 ‘2010년 에너지절약대책’을 발표하고, 냉방을 하는 모든 건물에서 26℃ 이하로 냉방을 하지 않도록 의무화했어.그러니 에어컨을 켜지 않고 시원한 바람을 만들 수 있다면 전기요금 걱정도 덜고 ... ...
-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5호
- 끌어들여 결합하는데, 이 과정이 반복되면 달걀 껍질의 재료인 ‘칼사이트’가 되지요. 결국, 닭의 단백질이 먼저 있어야 달걀 껍질을 만들 수 있다는 걸 뜻한답니다 ... ...
- 곰팡이에 대한 오해와진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4호
- 썩어서 분해되어 자연으로 돌아갈 수 있게하지. 지구에 살고 있는 모든 생명체는 결국 죽게 돼. 그런데 이 생명체들이 분해되지 않고 남아 있다면 지구는 죽은 생물과 배설물로 뒤덮일 거야. 상상만 해도 끔찍하지?물론 작은 곤충이나 세균들도 우리와 비슷한 일을 해. 하지만 우리 곰팡이들은 ... ...
- 천리안 위성, 우주로 발사!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4호
- 발사 47분 전에 중단되었어요. 그 다음 날도 같은 이유로 발사 17초 전에 중단되었답니다. 결국 두 번의 발사 시도로 다 써버린 발사체 연료를 채워야 하기 때문에, 6월 26일 오후 6시 41분에 발사하기로 결정했지요. 드디어 6월 26일. 아침부터 발사통제센터에 들어가 천리안 위성의 상태를 점검하면서 ... ...
- 금성도 옛날엔 물 부자!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4호
-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제 몸에서 물 분자가 계속 빠져 나가는 바람에 바다도 생명도 결국 안 생겼지요. 유럽우주국이 연구를 계속해 제가 어떻게 지금의 모습이 되었는지 밝혀 줄 거예요 ... ...
- 7년 만에 귀환한 우주탐사기‘ 하야부사’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3호
- 4개월간의 노력 끝에 하야부사의 동력장치를 비상용 이온엔진으로 바꾸는 데 성공했고, 결국 7년 만에 지구로 돌아오게 만들 수 있었어요. 하야부사는 7년 동안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인 1억 5000만㎞의 약 40배인 60억㎞를 비행했답니다 ... ...
- 나로호 2차 발사 실패, WHY ?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3호
- 3개가 약 100톤 가량의 소화액을 나로 호에 뿜어 버렸어. 그것도 발사 3시간 전에 말이야. 결국 발사 날짜를 하루 연기할 수밖에 없었단다.6월 7일 오후 4시1단 로켓의 지상관측시스템과 발사대 사이의 전기신호 불안정으로 나로 호를 세우는 작업이 5시간 늦춰짐.6월 9일 오후 2시발사 3시간 전, 소방시설 ... ...
이전2572582592602612622632642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