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d라이브러리
"
가능성
"(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을 쓰려거든 연필로 쓰세요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지름이 KS가 허용하는 오차범위를 벗어나 더 작았거나, 샤프 끝의 지름이 정상보다 컸을
가능성
이 있다. 볼펜은 연필이나 샤프보다 종류가 다양하고 굵기도 천차만별이다. 물론 펜 끝에 있는 작은 구형 알이 펜을 움직일 때 따라 돌면서, 심 안에 있는 잉크를 종이에 묻게 만드는 원리는 모두 같다. ... ...
거짓말은 싫어요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위대함이지. 앞서 1번 문제의 (2)에서도 우리는 이미 경우의 수를 비교하는 것으로 불
가능성
을 말한 적이 있다는 것을 기억하렴.”은용 “네, 이건 어렵지 않았어요. 하지만 이번에는 상황이 다르잖아요. 거짓말 때문에 대답이 달라지고 질문도 더 많이 해야 하고…. 경우의 수를 도대체 어떻게 셀 수 ... ...
2011학년도 과학고 입시, 이색 합격자 늘어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깊이 있게 공부한 덕분에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인정받았다.김아영 양은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
을 인정받아 동대구과학고에 합격했다. 김 양은 중학교 1학년 때 전교에서 50%에 머물던 성적을 3학년 1학기에는 1%까지 끌어올렸다. 면접 때도 앞으로의 학업계획과 포부를 뚜렷이 밝혀 입학사정관에게 ... ...
영재교육원 입시 어떻게 달라졌나?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있다”고 말했다. 지금까지의 관례를 볼 때 앞으로 영재선발에서 시험이 사라질
가능성
이 매우 높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영재교육에 도전할 학생이나 부모라면 이런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4단계 관찰추천제관찰추천제는 4단계 선발 과정을 거친다. 서울시 동부교육지원청(이하 ... ...
한국과학영재학교 입학 Q&A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리더를 육성하는 것이 우리 학교의 교육철학이다. 입학사정관제를 통해서도 그러한
가능성
과 잠재력이 있는 학생을 선발하려고 한다. 특히 인성 부분은 캠프전형을 통해 심층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열정이 있고 수학·과학을 좋아한다면 얼마든지 우수한 학생으로 키워낼 수 있다.캠프전형은 어떻게 ... ...
블랙홀 박사님이 들려주시는 송유근 뛰어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장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말씀하셨어요. 또한 어린이는 누구나 영재가 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
을 갖고 있다고도 하셨지요.이번 강연회는 재밌는 우주 이야기와 함께 영재 교육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보는 시간이었어요. 우리 친구들도 과학을 즐긴다면 ‘송유근 뛰어넘기’, 그리 어렵지 않을 ... ...
Part3. 모노폴_극이 하나뿐인 자석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하나로 모노폴에 대한 연구를 선정하기도 했다. 그렇다면 조만간 모노폴이 진짜 발견될
가능성
이 있는 걸까? 그보다도 존재할지 안할지도 모르는 모노폴을 물리학자들은 왜 찾기 시작한 걸까? 만약 모노폴이 발견된다면 어떤 의미가 있을까?모노폴의 존재이유우선 모노폴이 처음 등장한 얘기부터 ... ...
공항에서 소시지를 빼앗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가공해 소시지를 만들었다고 해도 제품을 유통하는 과정에서 구제역바이러스가 묻었을
가능성
도 높다. 더구나 멸균을 제대로 했는지 확인할 수 없어 검역 시 모두 압수해 소각한다. 이런 제품을 몰래 가지고 들어오면 구제역바이러스가 국내에 퍼질 수 있다. 실제로 ... ...
Part2. 다강체_물질계의 엄친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분야이다.특히 상온에서 다강성을 띠는 물질을 찾는다면 응용
가능성
이 무척 크기 때문에 필자의 연구팀도 현재 이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머지않아 산업계에 실제로 응용되는 다강체 소자가 출현할 것이며 이 과정에서 필자를 비롯한 한국의 물리 학자들이 큰 역할을 ... ...
Part 3. 외계생명체 탐사는 어떻게 바뀔까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현재 알려진 것과 전혀 다른 생화학 반응으로 살아가는 생명체가 지구 어딘가에 있을
가능성
을 제기한다. 원시 지구에서 태어난 이들 생명체가 멸종하지 않고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생명체가 전혀 없을 것 같은 환경에 있거나 혹은 지금의 생명체와 너무 달라 우리가 미처 알아채지 못하고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