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d라이브러리
"
가능성
"(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1991년 사이먼 르베이 박사의 동성애자 뇌구조 차이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결정되면 그 뒤로는 바뀌기 어렵다는 말이다. 이는 동성애 성향이 환경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
이 크지 않다는 뜻이다.그렇다면 게이는 테스토스테론의 농도가 낮을까. 그렇지는 않다. 남성호르몬은 남성적인 신체적 특징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성욕의 경우 취향보다는 욕망 자체에 ... ...
통합적 추론 능력이 핵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가져야 한다. 현상에 해당하는 내용을 분류하고, 나머지 내용 중에 원인이 될 만한
가능성
을 검토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이때 인과관계의 논리는 상당히 중요하므로 오류나 비약이 없도록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 개별 과목의 소재 간 통합은 자연계 논술의 핵심이다. 실제로 이 평가 항목은 상당한 ... ...
Part 2. 멸종의 시계를 멈춰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요인, 대책의 세 가지 항목을 평가해 정된다. 등급이 올라갔다는 것은 그만큼 멸종할
가능성
이 높아졌다는 뜻이다.연도별 비교 연구는 생물 보전 정책이 얼마나 적절하게 이뤄지고 있는지를 판단할 때 쓰인다. 등급이 바뀐 928종 대부분이 위기 등급이 올라갔지만, 반대로 등급이 낮아진 생물도 68종이 ... ...
이 시대 진정한 미인은 누굴까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결코 그들과 똑같은 얼굴을 재현할 수는 없다. 오히려 자기의 원래 외모보다 나빠질
가능성
도 있다. 눈이 크고 코가 높다고 해서 모두 미인은 아니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눈, 코, 입 등이 한 얼굴 안에서 얼마나 서로 어울리느냐다. 이 교수는 “특별하게 정해진 아름다운 수치는 없다”면서 ... ...
노력은 열정에 비례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윈도에 대항할 만한 토종 운영체제를 만들겠다는 야무진 꿈을 내비치는 L학생. 아직 실현
가능성
을 알 수는 없지만, 분명 자신이 하고 싶은 일에 대한 확신이 느껴진다. “좋은 생각을 갖고 있구나. 앞으로 글로벌 시대에서는 지식재산권의 중요성이 더 커질 거야. 국산 운영체제가 개발된다면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생명과학도 발달해 유전자 조작으로 외계행성의 환경에 알맞게 만든 인공 박테리아를 쓸
가능성
이 높다. 테라포밍하려는 행성에 풍부한 물질을 먹이로 삼아 번식하는 박테리아, 행성 고유의 광물에서 건축 재료로 쓸 금속을 뽑아 내는 박테리아 같은 맞춤형 미생물이 외계행성에 착한 인류의 ... ...
흑인 부모는 어떻게 백인 아기를 낳았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잘 알지 못하는 수많은 피부색 유전자 중 하나에 새로운 변이가 생겨서 나온 결과일
가능성
도 높다. 지금까지 알지 못했던 새로운 알비노가 생긴 것이다. 현재 개인 게놈을 아주 저렴한 가격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리고 있으므로 이러한 숙제는 머지않아 풀릴 것이다.2006년에도 음마치와 ... ...
꼭 의사가 되고 싶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올리기는 힘들다. 6월 이후 재수생이 합류하면 모의고사 등급은 지금보다 더 떨어질
가능성
이 높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일단 수시모집에서는 입학사정관 전형이 중요해. 네 경우 봉사활동과 리더십에 대해 입학사정관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거야. 서류 전형 이후에는 ... ...
[지구과학] 지자기 탐사의 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외핵의 경우 온도가 충분히 높아서 물질의 구성 입자들이 전하를 띤 형태로 존재할
가능성
이 크므로 이들이 일정한 방향성을 지니고 운동할 경우 흡사 원형의 전류가 흐르는 것과 같은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렇게 원형 전류에 의해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된다면 막대자석과 같은 강자성체 ...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직접적인 증거인 셈이다. 물론 핵융합로에서 핵융합 외의 원인으로 중성자가 발생할
가능성
도 있다. 하지만 핵융합을 통해 만들어진 중성자에는 고유한 특성이 있어 핵융합의 결과물인지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바로 발생하는 에너지의 크기다.현재 KSTAR를 비롯해 세계 각국의 연구로에서 진행하고 ... ...
이전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