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d라이브러리
"
가능성
"(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일러가 사랑한 수 e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평소 동료나 제자를 위해 자신의 연구 결과를 늦게 출판했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그럴
가능성
은 낮다. 어쨌든 이 기호는 오일러의 책에 인쇄된 이후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이제 오일러 수 e가 수학적으로 어떻게 정의되는지 알아보자. 그런데 오일러 수는 고등학교의 수학II 과정에서 간단히 ... ...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윷놀이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실제에서는 말을 잡거나 윷이나 모가 나와 더 던지는 경우가 있어 시간이 더 걸릴
가능성
이 크지만, 1명이나 3명의 말이 먼저 나서 끝나는 경우 시간이 줄어들 수도 있다.윷놀이에서 4명이 경기를 할 경우에 한사람에게 예외 규정을 두면 안 된다. ‘전통놀이 삼국대전’ 윷놀이에서 만약 당나라가 ... ...
기호를 알면 도서관 책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400~413.8이라고 적힌 책장을 발견했다면 410.912에 해당하는 책은 이 책장의 오른쪽에 있을
가능성
이 높다. 왜냐하면 분류기호가 낮은 책부터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책을 꽂기 때문이다. 또한 맨 위층에 있는 책일수록 분류기호가 낮고 아래로 갈수록 커진다.분류기호가 비슷한 책 사이에서는 ... ...
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보고서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모두 지구공학의
가능성
과 효과를 염두하고 진행한 일들이다. 무시할 수 없는 부작용하지만 현재까지는 지구공학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더 큰 편이다. 반대하는 가장 큰 이유는 지구공학이 일으킬 수 있는 각종 부작용 때문이다.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3년 정도 자료를 쌓으면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하지만 변환상수가 2% 보다 작을
가능성
도 있는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당장 앞서 가고 있다고 해서 안심할 상황은 아니다. 과연 우리나라 최초의 중성미자검출기가 세계 최초로 중성미자의 비밀을 밝히는 영광을 차지할 수 있을까. 3년 뒤 좋은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구워 가져다주는 기능을 선보인 적이 있습니다. ‘로봇이 가사노동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
을 제시해 크게 호평을 받았지요. 이 때 마루Z는 다섯 손가락이 달린 손이 아니라 집게를 이용해 쟁반과 식빵 등을 집어 옮겼습니다.물건을 집게로 ‘끼워서’ 잡는 이런 방법을 로봇 공학자들은 ‘그립퍼 ... ...
달라붙는 속옷이 몸에 좋은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보통 내의를 입었을 때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이 증가했으며, 면역계를 억제할
가능성
이 있다고 보고됐다. 부드러운 내의가 몸에 더 좋다는 것이 생리 반응으로 나타난 셈이다. 속옷 설계하려면 몸 생김새 알아야속옷을 개발하는 일은 건축물 설계 못지않게 흥미진진하다. 속옷이 인체의 ... ...
“수학과 글쓰기 중요해”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좀더 적극적으로 입학사정관제를 확대해 입학사정관제로만 선발하는 전형을 신설할
가능성
이 있다. 아직은 논의 중이며, 올해 3월 이후에 입시 전형을 발표할 것이다. 그동안 치러진 다단계 전형의 장점을 강화하고, 사교육과 선행학습을 유발하는 전형 요소를 최대한 배제하는 평가를 통해 학생을 ... ...
Part1. 왜지구 공학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지구 온난화를 완화시키거나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연구하고 있어요. 일부는 현실
가능성
도 인정받고 있습니다.B국 들어본 적 있어요. 이산화탄소 흡수를 늘리기 위해 바75다에 철을 뿌려 식물 플랑크톤의 성장을 돕는다든가, 햇빛을 막기 위해 성층권에 황산을 뿌린다든가하는…. 그런데 그 ... ...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이 말은 사람의 움직임 역시 어느 정도 패턴이 있고, 이를 물리학적으로 분석하고 예측할
가능성
이 있다는 뜻이다.현실적으로 바라바시 교수와 같은 대규모 실험은 쉽지 않다. 개인정보를 다뤄야 하기 때문에 프라이버시 문제도 생길 수 있다. 이럴 때 가장 좋은 대상은 인터넷 속의 자료다. 방대한 ... ...
이전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