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실험꾼이 '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유전자가위기술로 유전자를 편집해 유전자변형 쥐도 만들어 실험실에 제공하고 있지요. 우리나라도 많은 연구기관과 대학에서 직접 유전자변형 쥐를 개발해 연구에 활용하고 있답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고구마 마차가 온 사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껑충 뛰며 환호했어요. 탐정으로 사건 하나를 해결한 것만큼 뛸 뜻이 기뻤죠.“오늘도 우리가 동화나라의 평화를 지켜냈어! 개코야, 추운 날씨에 고구마 마차 끌고 여기까지 오느라 고생 많았어. 집에 가서 치콜이나 할까?”“에휴~.”땅이 꺼질 것처럼 깊은 한숨을 내쉬는 개코를 보고 꿀록은 미간을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자세히 설명해 드립니다. 퀀텀닷 TV 시대 열린다 ☞ 바로가기 (96p) 퀀텀닷(quantum dot), 우리말로 양자점으로 해석됩니다. 입자가 수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아주 작은 점 상태가 되면 양자 세계의 법칙에 따라 움직입니다. 그리고 놀라운 일이 벌어지죠. 입자의 크기에 따라 ... ...
- 제주에서 바닷바람을 느끼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보완책이 마련되면 차츰 가격 격차가 줄어들 것”이라며 “더 나은 내일을 위해 지금 우리가 무엇을 선택해야 할지 넓은 시각으로 접근해 논의를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 ...
- 천문학자가 남극점에서 본 우주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망원경을 만들려면 기선을 최대로 늘릴 수 있는 남극의 참여가 필수”라며 “SPT는 우리은하 중심의 블랙홀인 궁수자리 A*을 관측하는 데 큰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SPT가 EHT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초장기선 간섭계(VLBI) 수신기를 직접 개발해 SPT에 설치했다. 수신기가 만족스러운 관측 ... ...
- [일본유학일기] 미타카 프리즌 탈출기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기숙사 ‘탈출’ 쪽으로 마음이 기울었다. 그때 기숙사 친구들은 방값이 워낙 싸니 “우리는 미타카 프리즌에서 살아남는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는 생각으로 버티자”며 나를 설득했다. 하지만 나는 결국 입학 1년 만에 학교 캠퍼스와 딱 붙어있는 자취방을 구해서 미타카 프리즌을 탈출했다 ... ...
- 눈에 보이지 않는 유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신기술은 ‘드론측량’입니다. GPR이 땅속을 보는 탐사법이었다면, 드론은 하늘 위에서 우리가 미처 발견하지 못한 큰 패턴을 읽어냅니다. 사람의 발이 닿기 어려운 곳까지 다각도로 촬영해 유적의 전체 배치를 파악할 수 있어, 발굴현장에서는 2000년 대부터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드론이 ... ...
- [진로체험] 자산 관리 하는 AI 비서 만든다, 권영준 블루바이저 상무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전공하지 않아도 이해할 수 있죠. 결국 중요한 건 어떻게 응용하고 발전시키냐예요. 우리가 학교에서 똑같이 수학 공식을 배우지만, 어떻게 활용하냐에 따라 각자 문제 푸는 시간이 다르고, 어떤 사람은 더 좋은 공식을 발견하잖아요. 결국 수학을 공부할 때 원주율의 근삿값이 3.14라고 외우기보다 ... ...
- [가상인터뷰] 비둘기는 머리카락이 무서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수가 많을수록 거리에 쓰레기가 많다고 추측할 수 있다”며, “비둘기가 이제 도시에서 우리와 함께 살게 된 만큼 쓰레기를 줄여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Go!Go!고고학자] 바이킹은 왜 그린란드를 떠났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알면 가능하답니다.우리가 먹은 음식의 원소는 몸에 흡수되어 뼈에 쌓여요. 그런데, 우리가 먹는 음식의 종류에 따라 흡수하는 동위원소의 비율이 조금씩 다르답니다. 예를 들어, 열대 지방에 서식하는 옥수수, 사탕수수 같은 ‘C4 식물’은 광합성 과정에서 13C이라는 탄소 동위원소를 많이 ... ...
이전2592602612622632642652662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