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잘 찾쥐! 놀 줄 알 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좀 바꿔볼게! 우리 쥐들이 연구에만 희생되는 슬픈 동물이라고 생각하면 마음 아파. 우리도 사람처럼 간지럼을 타고, 깔깔 웃으며 놀 줄 안다고! 귀여움도 겸비한 매력 부자 친구들을 소개할게! 간지럼 타는 쥐? 좋아서 깔깔대기도 해!쥐도 간지럼을 탄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2016년, 독일 베를린 ... ...
- [핫이슈] 용선생의 시끌벅적 과학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서식하는 반달가슴곰을 지리산에 데려왔지. 왜 반달가슴곰을 데려온 걸까? 원래 우리나라에도 2000마리가 넘는 반달가슴곰이 살았어. 그런데 전쟁, 밀렵 등으로 현재는 거의 멸종했지. 그러자 지리산 생태계에 문제가 생겼어. 반달가슴곰은 나무의 싹이나 뿌리, 열매를 먹고 배설물로 식물의 씨를 ... ...
- [Dr.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턱 힘이 얼마나 강해야 입에 칼을 물고 휘두를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물 수 있는 걸까요? ‘물리 엔진’을 사용하면 이를 직접 밝혀낼 수 있어요! 물리 엔진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을 그대로 컴퓨터로 재현한 소프트웨어 도구예요. 게임이나 영상에서 3D 세상을 만들 때 물리 엔진을 사용하지요. 차 사고와 같은 특정한 상황을 가상으로 만들고,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접착제 없이 물건을 착! 붙이는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다른 쥐들보다 3배나 빨리 털이 자랐답니다. 이 모자가 얼른 상용화 됐으면 좋겠네요! 우리가 걸을 땐 마찰이 발생해요. 다리를 움직일 때는 가랑이 사이에서, 팔을 흔들 때엔 겨드랑이에서 끊임없이 마찰이 일어나죠. 만약 이 마찰을 전기로 바꿀 수 있다면 걸을 때마다 전기를 모을 수 있지 ... ...
- [한페이지 뉴스] ‘별의 요람’ 위치는 우리은하 나선팔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은 유럽우주국(ESA)이 2013년 발사한 가이아 위성이 수집한 자료로 우리은하의 3차원 지도를 만드는 과정에서 지구에서 약 500광년 떨어진 초대형 가스 구조물을 발견했다.초대형 가스 구조물은 고밀도의 성간 물질이 파도 모양으로 연결된 형태였다. 실처럼 길쭉하게 보이는 ... ...
- 마블링이 전부가 아닌, 소고기 맛의 비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무엇이기에 사람들은 그토록 마블링에 열광했던 걸까? 마블링이 주는 맛의 정체는? 우리가 느낄 수 있는 기본 맛은 단맛, 신맛, 쓴맛, 짠맛, 감칠맛 등 5가지다. 고기에 들어있는 환원당, 아미노산, 지방산, 핵산 등의 성분은 이 5가지 미각 수용체를 자극한다. 특히 고기 속 글루탐산과 ... ...
- 2020년 vs. 2030년 에너지 다이어리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편집자 주 .기자의 현재 일상을 바탕으로 2020년과 2030년의 에너지 소비 생활을 재구성했습니다. 일부 설정은 가상임을 알려드립니다. 2020년의 이야기부터 먼저 읽은 뒤 2030 ... 소비자에서 생산자로 전환돼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2040년 지구와 지구에서 살아갈 우리를 위해서 말이다 ... ...
- [퀀텀닷 완전정복] 총천연색 차세대 발광 소자,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만들었다고 해도 그 크기마다 다른 색깔을 발한다. 가령 순수한 금(Au)덩어리가 있을 때 우리는 그 크기가 주먹만 하든 전봇대만 하든 금덩어리의 색을 양쪽 모두 노란색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금덩어리를 쪼개고 쪼개서 수nm 크기의 금 알갱이로 만들면 크기에 따라 여러 가지 색이 나타난다. 금 ... ...
- [비하인드로켓] 마치산 중턱에 발사대를 세우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본격적인 제작설계 작업을 위해 2007년 4월 40~50명의 러시아 전문가들이 대거 방한했다. 우리 연구팀은 이들과 함께 울산의 현대중공업 공장, 대한항공의 김해공장에 모여 작업을 시작했다. 한러 전문가의 기술협의를 통해 규격이 변경된 소재와 부품들은 반드시 러시아 전문가들의 승인을 받아야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차량의 위치를 측정하는 분야에 사용하고 싶다는 제안이 곳곳에서 들어왔다. 이후 우리는 로봇, 지도, 차량 등 이동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빌리티 회사들과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특히 자율주행자동차의 실내 위치인식 기술을 개발하는 프로젝트에 집중했다. 그렇게 정신없이 연구에 ... ...
이전2572582592602612622632642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