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의
요구
클레임
청구
진술
옹호론
역설
d라이브러리
"
주장
"(으)로 총 4,725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학이 밝혀낸 편경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나라는 그리 많지 않다. 일본만 해도 편경이 만들어지지 않았다. 여기에는 당시 스스로
주장
막대로 박자를 짚으며 중국의 율려신서를 공부한 세종대왕과 음률에 통달한 박연 등이 기여한 바가 크다. 세종장헌대왕실록 15년 1월 1일자를 보자.왕은 새로 만든 편경 두틀을 가져 오라 하여 중국에서 준 ... ...
과학으로 승부한다 - '무어의 법칙' 을 추월한 괴력의 삼성전자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2천배나 늘어났다.반면 ‘황의 법칙’ 은 메모리의 집적도가 1년에 2배씩 증가한다고
주장
한다. 이 법칙은 삼성전자 반도체 총괄 사장인 황창규(51) 박사의 이름을 따서 미국 반도체 전문가들이 붙였다.황창규 박사. 서울대 전기공학과를 졸업하고 매사추세츠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황 박사는 ... ...
협력의 산물인가 경쟁의 산물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최초 구상자는 자신이라며 특허권이 자신에게 있다고
주장
했다. 그러나 벨연구소가 그의
주장
을 받아들이지 않아 특허권을 두 사람에게 빼앗길 위기에 처했다.다급해진 쇼클리는 자신이 직접 이 증폭기보다 더 나은 것을 만들기로 했다. 4주를 꼬박 작업에 매달린 쇼클리는 1948년 1월, 접촉 ... ...
01. 타고난 성격, 바꾸려면 부러질수도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부모나 사회탓이 아님을 입증한다” 고
주장
한다.범죄성향과 유전자가 관련이 있다는
주장
도 나왔다. X염색체에 있는 MAOA 유전자가 그것. 이 유전자는 활성이 높은 타입과 낮은 타입이 있다. 활동이 낮은 유전자형을 갖는 사람들은 공격성이 높은데 품행이 불량한 청소년들과 반사회 성격장애 ... ...
과학 논문에 등장한 초현실주의 그림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D)조차도 상반신 위에 얹혀져 있기 때문에 사람의 얼굴을 그린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고
주장
했습니다. 그렇다면 마그리트의 데페이즈망은 효과를 거두지 못한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물론 과학논문 속의 미술 작품이라는 새로운 데페이즈망을 만들어냈지만 말입니다. 거울에 그린 광학 강의 내친 ... ...
지구온난화로 먹구름 많아지고 비는 안와 물부족 심각해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박사 연구팀은 “지구가 더워진다고 해서 강수량이 늘어날 것이라고 말할 수 없다” 고
주장
한다.에어로졸은 구름 속에서 주변 수증기와 합쳐져 비를 내리게 하는 씨앗 역할을 한다. 그런데 화석연료 사용 때문에 대기 중에 황산염이나 그을음 등 에어로졸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 ...
아프리카 '루시' 부터 평양 '만달인' 까지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가장 오래 된 석기는 북한 상원 검은모루 유적에서 나왔는데 북한에서는 1백만년 전으로
주장
하고 있다. 남한의 경우 연천 전곡리 구석기 유적으로 35만-70만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아쉽게도 인골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이 사람들은 현생인류가 아닌 호모 에렉투스로 추정된다. 즉 오늘날 ... ...
개성만점 별난 나무목재 이야기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바람을 안고 친환경적 주택을 짓자는 얘기들이 심심찮게 제기된다. 목재주택을 짓자는
주장
도 이런 목소리 가운데 하나. 그 사이를 슬쩍 끼어든 것이 바로 대나무다.대나무는 그 이름과 달리 엄격히 말해 나무가 아니다. 대나무가 나무인지 풀인지 알아보려면 목본식물의 특성을 이해해야 한다. ... ...
02. 지능, 유전의 영향 나이들수록 막강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여러 유전자들이 영향을 발현하는 시기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고
주장
한다. 즉 대머리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태어날 때부터 갖고 있지만, 성인이 돼서야 유전자의 스위치가 켜져 머리가 빠지기 시작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환경 영향으로 평균IQ 상승그렇다면 환경은 인간의 지능 ... ...
1. 반갑다 향고래야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곳이 바로 지금의 일본이었다. 얘깃속에 등장하는 바위가 필시 귀신고래의 등이라는
주장
이다.고래 얘기는 유적과 고서에서도 자주 발견된다. 약 3천여년전에 새겨진 것으로 알려진 울주군 반구대 암각화에는 수많은 고래들이 등장한다. 이 암각화는 예술적 가치와 함께 고래의 분포, 포경업의 기원 ... ...
이전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