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의
요구
클레임
청구
진술
옹호론
역설
d라이브러리
"
주장
"(으)로 총 4,725건 검색되었습니다.
열역학이 밝혀낸 다이어트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미 뉴욕주립대 리차드 파인만 교수와 야코비의학센터의 유진 파인 박사는 이 같은
주장
을 담은 논문을 ‘영양학 저널’ 7월 28일자에 발표했다. 이들은 “열역학 제1법칙은 반응 전후의 전체 에너지가 보존된다는 것을 이야기할 뿐, 에너지가 어떤 형태로 재배치되는가를 설명해주는 것은 열역학 제 ... ...
6. 재미가 두뇌를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내놨다. 그는 또 인간 두뇌와 게임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능력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
했다. 게임이 과학소설처럼 미래 기술에 대한 예측력과 습득 능력을 끌어올리는 강력한 도구라는 것이다. 이런 결과는 비디오게임이 게임이라는 틀에서 벗어나 운전실습이나 군사훈련에까지 활용되게 한 ... ...
달에 얽힌 10가지 진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셈이다.한편 래테 교수는 설사 화성에 물이 존재하더라도 생명체가 탄생할 수 없다고
주장
한다. 화성의 달인 포보스의 경우 크기가 워낙 작아 조석력이 지구의 달의 1%밖에 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의 가설에 따르면 물을 증거로 화성의 생명체 존재를 입증하려는 화성탐사선의 노력은 쓸데없는 일인 ... ...
전신수영복의 원리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돌턴에 의해 제시된 원자론 원자론은 이미 그리스 시대부터 물질의 불연속적 구조를
주장
한 데모크리토스 등에 의해 제창되어, 물질은 계속 분해하면 더 이상 분해할 수 없는 극단적인 미립자에 도달하는데, 그 입자를 원자라고 명명했다그러나 이 원자설은 형이상학적 사상에 지나지 않았다돌턴은 ... ...
기계가 정말 반란을 일으킬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연산처리 능력이 18개월마다 두배의 속도로 증가한다는 것으로 1965년 고든 무어 박사가
주장
했다. 당시 과학자들은 증가 속도의 물리적인 한계를 얘기하며 무어의 법칙이 10년 내에 무너질 것이라고 생각했다.하지만 예상을 깨고 무어의 법칙은 지금까지도 지켜지고 있다.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 ... ...
피터팬은 환상이 아니라 실제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경쟁적이기보다는 사교적이고 협동적이어야 했으며, 때문에 인간은 유아화됐다고
주장
한다.또한 결속력이 강한 집단을 만들어 살아가는 것이 인간에게 이롭다는 점이 가장 먼저 인간의 유아화에 불을 붙였다면, 다음으로는 자신과 자식들을 더 잘 보살펴줄 남자를 고르기 위해 유아적이고 의존적인 ... ...
우리는 왜 잠을 자야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키는 비렘수면이 증가한다. 따라서 이 설명이 적절하지 못하다는
주장
도 있다.셋째, 수많은 신경세포를 연결하는 시냅스가 형성되는 시기에는 렘수면이 증가하는 것으로 미루어 잠을 자는 동안 뇌의 기능을 시험하게 된다는 이론도 있다. 유아기 때 전체 수면 시간과 렘수면 ... ...
① 천재선수, 유전자부터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벵트 살틴 박사는 1990년대 이를 밝히는 연구에 뛰어들었다. 10여년간의 연구결과 위의
주장
대부분은 근거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신 케냐인의 경우 같은 양의 산소를 소모했을 경우 유럽인보다 10% 정도 더 달릴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 비결은 새처럼 길고 가는 다리.몸의 중심에서 ... ...
1. 인터넷 시대 심리를 알아야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눈을 자극하는 감각 재료들을 디지털 이미지로 재구성해 실제 지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주장
이었다. 요즘 나온 대다수의 공상과학영화에서 등장하는 컴퓨터 그래픽은 이런 마의 이론을 충실히 따른다.물론 이보다 더 적극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분야는 웹디자인 쪽이다. 포탈사이트 화면에 펼쳐지는 ... ...
'꿈의 차세대 원자로' 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변한다. 태양광, 풍력 등 대체에너지 개발도 아직은 더디다. 차세대 원자로가 전문가들의
주장
대로 ‘깨끗하고 안전하면서 값싸게’ 개발된다면 원자력 발전은 에너지 위기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를 것이다.고준위 핵폐기물핵연료를 태우고 남은 폐기물. 방사능이 많이 나와 고준위라고 한다. ... ...
이전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