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서열"(으)로 총 427건 검색되었습니다.
- [프리미엄 리포트]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 과학동아 l2020.07.11
- 얻은 대규모 DNA 데이터베이스에서 351개의 바이러스 염기서열을 발견했다. 염기서열 분석 결과 놀라웠던 점은, 일부 바이러스들이 리보솜과 관련된 유전자를 갖고 있다는 것이었다. 리보솜은 생물이 RNA를 활용해 단백질을 만들 때 가장 핵심이 되는 세포소기관으로, 현 분류 체계상에서 생물과 ... ...
- 셀트리온 "개발 중 항체치료제, '변종' 코로나19에도 효과"연합뉴스 l2020.07.09
- 상반기에는 500만명분의 치료제를 양산하는 게 목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유전자 염기서열 차이로 인한 아미노산의 변화를 기준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를 S, V, L, G, GH, GR, 기타 등 총 7개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국내 코로나19 발생 초기에는 'S형'과 'V형'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 수도권 등에서는 ... ...
- 코로나19 변이로 전파력 정말 높아졌나…전문가들 "감염력 높아져도 사람간 전파력 증가는 미지수"동아사이언스 l2020.07.08
- 나온다. 문제가 되고 있는 변이는 약 3만 개로 이뤄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염기서열(RNA) 가운데 2만3402~2만3404번 염기에 발생한 변이다. 바이러스의 세포 내 침입 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돌기 단백질 ‘스파이크’의 614번 아미노산을 아스파트산(D)에서 글리신(G)로 바꿨다. 이 변이는 이미 1~2월 ... ...
- 국내 유행 코로나19는 '전파력 6배 높다'는 GH 그룹 바이러스연합뉴스 l2020.07.06
- 19건, G 그룹 10건, 기타 그룹 4건 등의 순이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유전자 염기서열 차이로 인한 아미노산의 변화를 기준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를 S, V, L, G, GH, GR, 기타 등 총 7개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정 본부장은 이날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지난 4월 초 ... ...
- [프리미엄리포트] 바이러스는 어떻게 탄생했나과학동아 l2020.07.04
- 각 생물 종의 단백질은 접혀 있는 구조가 조금씩 다른데, 연구팀은 잘 변하는 염기서열 대신 쉽게 변하지 않는 단백질의 접힘 구조를 이용해 바이러스의 유래를 추적했다. 연구 결과, 442개의 단백질 접힘 구조는 바이러스와 세포에서 공통으로 발견됐지만, 66개는 바이러스만 가진 구조였다. 이는 ... ...
- "코로나19 감염력 더 강해진다" vs "근거 없다" …'변이' 논란 오리무중동아사이언스 l2020.07.03
- 이 바이러스는 약 3만 개의 RNA 서열로 이뤄진 사스코로나바이러스에서 2만 3403번 염기서열 하나가 변했다. 대부분의 이런 ‘점 변이’는 바이러스에 아무 영향이 없지만, 이 변이는 아미노산 종류를 바꿨다. 다만 아미노산이 바뀌어도 대부분 단백질의 기능에는 영향이 미미하다. 바이러스 게놈을 ... ...
- 보이지 않은 작은 바이러스가 900년 묵은 대학교육의 근간을 흔들었다동아사이언스 l2020.06.24
- 학점을 축적해 학위를 받는 경우도 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경우 전통적인 대학의 ‘서열’이 무너지는 상황도 벌어질 수 있다 넬슨 CEO는 “차별화된 맞춤 교육을 받은 사람과 기존의 강의식 고등교육을 받은 명문대 졸업생을 비교하면 맞춤형 교육을 받은 사람이 훨씬 우수한 기술을 갖고 있을 ... ...
- [IBS 코로나19 리포트] 'K진단'과 과학자들의 연대2020.06.24
- 정보들은 지적재산보호 차원에서 철저히 비공개 되어왔다. 그들이 개발한 검출 프라이머 서열을 알 수 없기에 위양성 가능성을 확인해 볼 수 없었다. 따라서 우리 연구진은 개발한 프라이머 제작 및 검증 가이드라인을 공개했다. 진단기술 개발을 위해 프로토콜이 필요한 전 세계 연구자들이 정확한 ... ...
- '천랩' 감염 10분만에 확인하는 코로나19 신속 진단키트 출시동아사이언스 l2020.06.19
- 9를 시작으로 신종 감염병 대응에도 적극 나설 예정”이라며 “현재 차세대염기서열해독(NGS) 기반의 유전체(게놈) 정밀 진단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천랩은 세계 최초로 전장 게놈 기반 세균 감염 진단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이를 바탕으로 세균의 변이와 역학조사에 ... ...
- '감염 안됐는데 양성?' 코로나19 위양성 사례 자꾸 나오는 이유2020.06.17
-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PCR 장비가 알 수 없는 원인으로 존재하지도 않는 바이러스 DNA 염기서열을 확인할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김상경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분자인식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PCR 장비로 실험하다 보면 꾸준히 양성 판정이 나올 수 있는 유전자 증폭이 일어나는데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