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서열"(으)로 총 427건 검색되었습니다.
- 코로나19 바이러스 침투 돕는 새 단백질 찾았다...치료제 표적 기대동아사이언스 l2020.10.23
- 교수팀은 가수분해효소가 자른 스파이크 단백질 중 한 조각의 끝 부분에 특정 아미노산 서열이 존재하며, 이 부분이 호흡기 및 후각 상피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단백질인 뉴로필린-1과 뉴로필린-2(NRP2) 수용체와 결합한다는 사실을 X선 결정학 기술을 이용해 확인했다. 또 유전자에서 단백질이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요거트와 노벨상2020.10.22
- 흔적이며, 이렇게 박테리아 유전체에 박테리오파지의 짧은 염기서열이 기록되고, 그 서열 옆에 존재하는 캐스(cas)라는 단백질에 의해, 유산균이 적응면역 능력을 갖게 된다는 사실이 발견된다. 이 발견은 2007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되었고, 이 발견을 주도한 과학자의 이름은 필리페 ... ...
- [코로나19 연구속보] 우리 몸속 고대 바이러스 흔적이 코로나19 퇴치법 알려줄까? 2020.10.20
- 른 포유류의 면역세포 데이터를 대규모로 수집한 뒤 고성능 컴퓨터 기술로 게놈 서열분석(시퀀싱)을 해 유전자뿐만 아니라 전이인자를 찾아냈다 ... ...
- 코로나19 사태 10개월...과학이 밝힌 모든 것동아사이언스 l2020.10.14
- 주입하는 재조합 단백질 방식, 항원을 만드는 핵산을 넣는 핵산 방식, 항원을 만드는 염기서열을 일종의 택배상자에 넣어 체내에 주입하는 전달체(벡터) 방식 등이 주로 연구되고 있다. 4일까지 파악된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임상 3상 정보를 정리했다. 3상에 들어간 후보물질 수는 10종이 됐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바이러스의 창 막는 박테리아의 방패2020.10.13
- 선천면역계다. 제한효소는 DNA의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해 절단하는 효소로 게놈에 이 서열을 지닌 바이러스를 무찌를 수 있다. 제한효소 역시 유전자 재조합 수단으로 응용돼 바이오 시대의 문을 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물론 바이러스(파지)도 박테리아의 대응에 맞서 제한효소나 ... ...
- [코로나19 연구속보] 다른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됐던 사람은 코로나19 중증도 감소2020.10.12
- 코로나바이러스 계열의 바이러스다. 이들 코로나바이러스는 코로나19와 일부 유전적 염기서열을 공유하고 있는만큼 면역반응 또한 코로나19와 교차반응할 수 있다. 연구진은 2015년 5월 18일부터 2020년 3월 11일 사이에 병원을 찾아 호흡기 병원균 패널 테스트(CPR-PR)를 받은 사람들의 전자 의료 ...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크리스퍼 혁명'은 지금도 진행중2020.10.08
- 유타대 교수는 징크핑거 뉴클리에이스라는 유전자가위를 사용해 초파리의 염기서열을 바꾸는데 성공하였다. 1세대 유전자가위다. 그 이후 탈렌이라는 유전자가위도 나왔다. 하지만 크리스퍼가 나오고 나서 크리스퍼가 널리 쓰이고 있다. 크리스퍼가 이렇게 많이 쓰이는 이유는 만들기 너무 쉽기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초파리, 다이너마이트 그리고 해커2020.10.08
- 시대로 진입하고 있는 것이다. 포트란을 언어로 사용해 천공 컴퓨터로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하던 생물정보학의 초창기 모습 Gauthier, J., Vincent, A. T., Charette, S. J., & Derome, N. (2019). A brief history of bioinformatics. Briefings in bioinformatics, 20(6), 1981-1996. 컴퓨터 과학자들이 생물정보학에 진입하면서 그들이 ...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잊혀진 과학자들동아사이언스 l2020.10.08
- 바이러스 면역 시스템의 일종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세균이 그 서열 일부를 게놈에 포함시켜 기억하다 나중에 다시 침입하면 자르는 방법으로 면역 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다우드나 교수와 샤르팡티에 교수, 식스니스 교수가 발견하고 메커니즘을 밝힌 Cas9은 바로 이 과정에 ...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화학상 수상자 공적2020.10.07
- 크리스퍼-캐스 복합체를 갖췄다는 사실이 확인됐고, 이를 이용해 원하는 DNA의 특정 염기서열(시퀀스)을 잘라내는 데까지 발전하게 됐다. 크리스퍼-캐스9으로 불리는 유전자 교정 기술은 그 누구도 예상할 수 없을 만큼 엄청난 변화를 이끌었다. 샤르팡티에와 다우드나 교수가 처음 박테리아의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