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JOB터뷰] 캐릭터에 생명을 불어넣는 PIXAR 애니메이션 이채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애니메이션에서 2~4초 분량의 장면을 만드는 데 일주일은 걸려요. 10초라면 한 달 정도 걸리는 셈이죠. 영화 속에선 순식간에 지나가는 장면이지만, 사실은 애니메이터들이 오랜 시간 공들여 만든 장면이랍니다. 장면 하나하나에 애정이 갈 수밖에 없어요. 기술이 발전하면서 작업 시간도 많이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컵까지먹을수있다! 초콜릿으로 컵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솔타나흐마디 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초콜릿을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 어느 정도의 지방이 필요한지 계산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어요. 소량의 지방만 있어도 혀의 표면을 부드럽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거죠. ●초콜릿을 데워서 빛의 속도를 알아내자!섭섭박사님은 음료를 마시고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태양광으로 만든 전기, 지구로 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전파가 특정 지점으로 모이면서 더해져, 전파의 세기가 먼 거리의 지구까지 올 수 있을 정도로 커졌지요. 한국천문연구원 손봉원 박사는 “컴퓨터로 각 안테나에서 전파를 방출하는 시간을 조절해 원하는 위치로 모은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연구를 이끈 알리 하지미리 교수는 “아주 적은 ... ...
- [4컷 만화] 전투력 甲 총알개미에 숨겨진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슈미트가 발표한 ‘곤충 독침에 대한 보고서’에서 물렸을 때 고통 지수 1위를 차지했을 정도로 악명이 높답니다. 5월 23일, 호주 퀸즐랜드대학교 샘 로빈슨 박사팀은 총알개미, 보석침개미 등에 물리면 통증이 왜 그토록 오랫동안 강렬하게 유지되는지를 밝혀냈습니다. 연구팀은 총알개미의 독 ... ...
- 심해는 생물들의 집! 채굴해도 괜찮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연구한 바 있어요. 동태평양과 인도양에서 채집한 동물 플랑크톤을 대상으로 어느 정도의 중금속 농도에 영향을 받는지를 분석했지요. 저희 연구의 목표는 해양 생물이 견딜 수 있는 중금속 농도를 파악해 허용 기준치를 세우는 겁니다. 기준이 마련된다면, 생물에게 미치는 피해가 덜하도록 ... ...
- [Reth?nking] 제 11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쉽지 않아요. 그래서 인공지능에게 공리를 정확히 알려주기 위해서 공리를 재정비하는 과정도 함께 논의하고 있어요. 그래서 저는 ‘인공지능이 수학을 증명할 수 있을까?’보다는 ‘인공지능이 증명할 수 있도록 수학이 발전할까?’가 더 맞는 질문이라 생각하고, 개인적으로는 그렇게 될 거라고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반응시키는 것이다. 스마트폰 앱으로 신청 후 검사 키트에 타액을 담아 보내면, 열흘 정도 지나 앱을 통해 검사 결과를 받아볼 수 있다. “사람들이 유전체 분석 기술을 친숙하고 가깝게 느꼈으면 하는 바람에서 ‘젠톡’ 서비스를 만들었습니다.” 11월 2일, 마크로젠 본사에서 만난 서정선 마크로젠 ... ...
- [최신 이슈] 태우는 게 최선일까? 지구 오염시키는 우주 쓰레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인한 단열압축효과로 태우는 방법이다. 다른 하나는 정지궤도의 임무를 다한 위성을 300km 정도 더 높은 이른바 ‘무덤궤도’에 올려보내 폐기하는 방법이다. 무덤궤도에 도착한 우주 쓰레기는 수천 년 그 자리에 머물게 된다. 지구 저궤도 우주 쓰레기의 경우, 지구로 끌어내리는 방법이 가장 많이 ... ...
- [최애은하] 제임스 웹 설상가상 미스터리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은하의 거리, 후퇴 속도로 구한 우주 팽창률도 드디어 우주배경복사로 구한 것과 같은 67 정도가 나온다는 결말이 가능했을테니 말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제 더 난감한 두 축 사이에서 고민해야한다. 허블뿐만 아니라 제임스 웹도 똑같은 한계가 존재하고, 둘 모두의 관측에 오류가 있는지, 아니면 ... ...
- [4컷 만화] 나비는 어디에서 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무려 1만 9000여 종에 이를 정도로 그 종류가 많고 다양합니다. 나비는 어디에서 처음으로 나타났을까요? 미국 플로리다대학교를 포함한 공동연구진이 지난 5월 15일 최초의 나비를 밝혀냈다고 발표했습니다. 연구진은 90개국 2244종의 나비에서 생명의 정보를 담고 있는 유전물질인 DNA를 수집해 나비의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