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빙하 붕괴부터 세포분열까지! 별걸 다 예측하는 수학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일어나는 변화에 대해 수학적으로 해석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회 현상과
인간
의 행동, 생태계 현상들을 연속적인 변화의 과정으로만 설명하기는 힘들다. 통계적으로 무시할 만한 작은 차이가 전체의 형태에 큰 변화를 가져오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현상들을 밝히는 데 ... ...
애완용 늑대는 왜 없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늑대는 모두 개과(canis lupus)에 속한다. 생김새도 서로 비슷하다. 그런데 개는 ‘
인간
의 가장 좋은 친구’인 반면, 늑대는 야생에 살며 쉽사리 길들여지지 않는다. 무엇 때문일까.케트린 로드 미국 매사추세츠대 진화생물학과 교수팀은 늑대가 어린 새끼 시절 주변 환경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는 사회화 ... ...
생명공학으로 차린 밥상 정말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수 있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 하지만 범죄자를 둘러싼 현대인의 환경을 무시할 수 없다.
인간
의 행동이 선천적인 유전자 탓이냐, 후천적인 양육 방식(또는 환경) 탓이냐에 대한 논란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과학동아북스가 발행한 ‘청소년이 꼭 알아야 할 과학이슈11 Season2’에서는 최근의 화학적 ... ...
단추 채우기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외계인이 은유라는 건가요? 현대인의 소외를 상징하나요? 지구에 적응하지 못하는
인간
? 타임머신은 과거를 되돌리고 싶은 현대인의 욕망을 상징하나요?”남자는 여자에게 편견이 있었다. 그리고 공교롭게도 여자는 남자가 갖고 있는 편견을 잘 다져주고 다리미질까지 해 줄 모양새로 앉아 ... ...
개코보다 더 개코 같은 돼지코의 비밀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데 후각이 단순히 냄새를 맡는 것만이 아니라 또다른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증거이다.
인간
의 경우 연애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여러 가지 요소 중 후각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연구가 있다. 후각에 이상이 있는 사람들은 연애할 때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겪게 되며 만나게 되는 이성의 수도 작다는 ... ...
쓰레기 채식은 육식보다 해롭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육식보다 영양이 풍부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고 조지 리파 미국 이스트미시건대
인간
환경및소비자자원학과 교수팀은 1999~2004년까지 5년 동안 모은 ‘미국국립보건 영양실험조사’의 결과와 19세 이상 자원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질적 연구결과를 분석했다. 채식 식단은 미국의 영양 기준을 모두 ... ...
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저자인 마틴 노왁 옥스퍼드대 교수는 2006년 사이언스 논문에서 진화를 위해서는
인간
사회뿐 아니라 동식물, 다세포 생명체, 조직, 세포 심지어 단백질과 핵산 수준에서도 협력을 해야만 한다고 주장했다.여기서 핵산이 바로 유전물질인 DNA와 RNA다.오늘날 생존을 위한 경쟁, 그 속에서 유전자를 ... ...
PART 2. 큐리오시티는 뉴턴의 눈으로 길을 찾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정도의 힘으로 지면을 박차야 하는지까지 뉴턴역학을 빼놓을 곳이 없다. 박 교수는 “
인간
을 닮은 휴머노이드 로봇을 만들려면 사람의 행동을 뉴턴역학으로 이해해 본뜰 수 있어야만 한다”고 말했다. 현대물리의 왕은 뉴턴역학?정진수 충북대 물리학과 교수는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기술 중 ... ...
잠자리도 집중력 있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통해 먹이를 제외한 다른 정보를 차단하도록 뇌에서 명령을 내린다”며 “선택적 주의는
인간
이 외부에서 받은 정보에 반응하고 행동하는 데 중요한 능력이지만 어떤 과정을 통해 일어나는지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이번 연구는 뇌신경 분야에서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엄마 손은 약손’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메커니즘과 관련해 많은 부분이 밝혀지지 않고 있는 영역이다. 잔 교수는 “이번 연구는
인간
이 어떻게 기쁨과 편안함 같은 긍정적인 감정을 이끌어내는지를 밝히는 데 중요한 근거로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