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4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있다. 바로 행동학파다. 행동학파는 사고·상상·정서·감정이 자극과 반응이고 인간의 모든 행동의 배후에는 그것을 유도해낸 자극이 있다는 철학이 핵심이다. 심리학의 과학화를 이끈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존 B. 왓슨은 ‘행동주의자의 관점에서 본 심리학’(1929)에서 “행동주의는 현재의 ... ...
- 개성 만점 로봇 3인방 더 자이언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인도의 대서사시인 ‘라마야나’의 줄거리를 바탕으로 만들었지요. 라마야나에 나오는 인간, 원숭이, 신과 같은 주인공을 각각의 성격과 어울리는 로봇으로 바꿔 애니메이션으로 각색했답니다. 그럼 지금부터 더 자이언트의 개성 넘치는 주인공들을 만나 볼까요?빅그린하하~! 덩치로 보나 얼굴로 ... ...
- 문명 업은 인류, 등골이 휘었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발 걷기가 인류에게 고통만 준 것은 아니었습니다. 인류는 두 발 걷기 덕분에 다른 ‘인간다움’의 특성을 얻을 수 있었거든요. 바로 문명입니다. 두 발 걷기는 손과 팔을 보행에서 해방시켰습니다. 자유로워진 손과 팔은 도구를 만들고 사용하는 데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윗몸도 함께 보행에서 ... ...
- 펭귄부부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있는 모습을 보면 눈물 겨울 정도죠. 먹을 것과 입을 것, 놀 것들이 넘치고 풍요로운 우리 인간들과는 분명히 다릅니다.물론 경쟁에서 살아남는 것만이 최고의 가치가 돼버린 사회와 남극의 혹독한 겨울이 다를 바 없다고 반박하면 할 말은 없습니다. 극한의 환경에서 자식을 챙기는 것과 극한 경쟁의 ... ...
- PART 4. 구글 in Science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상업 이메일 시스템을 개발해 흔히 인터넷의 창시자로 불린다. 그에게는 꿈이 있다. 인간이 갈 수 있는 모든 행성에서 인터넷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이는 위성이나 우주선에서 전파를 이용해 지구와 교신하는 것과는 다르다. 우주에서, 우주선에서, 행성에서 등 어디서나 지구에 있는 엄청난 양의 ... ...
- 생각의 힘으로 우주를 바꾼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울음소리가 새나온다면 어떨까. 아니면 산 고양이 냄새를 맡은 쥐들이 상자를 피한다면? 인간이 관찰하지 않더라도 중첩된 양자상태는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며 중첩된 상태를 잃을 수 있다. 사람의 의도가 없더라도 주변 환경이 스스로 ‘관측장치’가 돼 하나의 상태로 결정하는 것이다. 이를 ... ...
- [생활] 통계로 생각을 바꾸면 과학이 보인다!수학동아 l2013년 04호
- 모르는 물건이 있으면 어디에 쓰는 물건인지, 왜 이런 모양인지 호기심을 갖죠. 이렇게 인간의 알고 싶은 욕구에서 탄생한 학문이 과학이에요.그렇다면 과학이란 무엇일까요? 한 마디로 표현하면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사물들을 이해하는 것’이에요. 곤충과 식물, 동물, 행성, 별, 암석층 등 ... ...
- [체험] 차세대 통신망 연구실 미래 통신은 수학으로 통한다!수학동아 l2013년 04호
- 혹시나 지루하고 딱딱하진 않을까 걱정이 되기도 했다.하지만 교수님께서는 매우 인간적인 모습과 친절한 분위기를 갖고 계셨다. 책상에 책이 가득해 지저분하다며 머쓱해 하시는 교수님의 행동을 보며 친근하고도 훈훈한 느낌을 받았다. 그리고 태솔이와 내가 이해하기 어려운 큐잉이론에 ... ...
- 사진에 담은 대자연의 순간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그 속에서 공존하며 살아가는 동물과 인간의 다채로운 모습을 담아내는 ‘2012년 제7회 내셔널 지오그래픽 국제 사진공모전’의 수상 작품들이 발표됐어요. 자연, 인간, 장소 세 가지 분야의 열 세 작품이 영예를 안았답니다. 평생 한 번 가기 힘든 극 지점의 일상부터 바다 속의 질서정연한 행진까지, ... ...
- [시사]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깨진 조각으로 질서를 만든 프랙탈의 대부 만델브로수학동아 l2013년 03호
- 동해안보다 높다고 하고, 기상학자들은 뭉게구름이 1.35차원쯤이라 한다. 또 의학자들은 인간 뇌 주름이 2.72차원이라고 한다. 뇌의 큰 주름을 들여다보면 다시 작은 주름이 계속되는 프랙탈 구조인데, 뇌의 주름이 뭉게구름보다 자기반복성의 정도가 훨씬 더 높다는 얘기다.한편 만델브로가 프랙탈 ... ...
이전2512522532542552562572582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