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키 크는 유전자는 없다! 해법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있다. 인간의 의도적인 교배로 개의 유전적 다양성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인간의 경우 키를 결정하는 후보로 알려진 180개의 유전자로도 유전 영향의 10%밖에 설명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나머지 70%의 영향력이 유전자의 어디서 나오는지가 그동안 오리무중이었다는 뜻이다. 그런데 ... ...
- PART 2. 남자에서 아빠로과학동아 l2013년 05호
- 통틀어서 수컷이 육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우는 별로 없다. 영장류 중에서도 인간만큼 수컷이 새끼를 돌보는 사례는 없다. 지난해 9월호 과학동아 특집 기사 ‘엄마도 몰랐던 임신의 비밀’에서는 여성이 엄마가 되면 호르몬의 분비가 달라지고 기억력과 용기가 뛰어나게 변한다는 내용을 ... ...
- 지진 예측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의 주변은 오히려 지진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는 뜻이다.인간의 활동도 지진에 변화를 준다. 지하수 흐름도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인공호수가 개발되거나, 광산 개발, 인공 발파 등이 이루어지는 곳에서 지진 발생 빈도가 변한다.지진의 주기? 수십 년에서 수천 ... ...
- 스마트폰 계속 정신팔면 ‘모쏠’ 됩니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때 방해만 된다고 했단다. 하지만 친구가 많고 활발하다고 한다.)청소년 시기에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맺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어떤 사람에게 친밀함을 느끼나요? 내가 얘기하면 들어주는 사람, 내 기분 알아주고 맞춰주는 사람, 다정한 사람이죠. 친구 못 사귀어서 병원에 오는 아이들이 이런 ... ...
- 맥구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될 확률이 57%나 됐습니다. 이런 결과는 서로 떨어져 산다고 다르지 않았습니다. 자신과 인간적으로 가깝거나 서로 많은 영향을 주고받는 사람이라면 서로 비만이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이 연구는 비만에 대한 의학적 치료법이 모두 개인의 문제로만 생각했기 때문에 한계가 있었다는 ... ...
- 저는 로봇 입니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심판의 날은 결국 어김없이 이 땅에 찾아왔습니다. 로봇들은 몇 번이고 처음부터 다시 인간들을 관찰하고 분석하고 선별했던 것입니다. 아무리 기억을 지우고 관련된 로봇들을 모두 폐기해도 로봇들은 결국 동일한 결론에 이르고 동일한 계획을 세우고 동일한 시도를 계속했습니다.알라무스, ... ...
- 새로운 AI 바이러스, 대륙을 떨게 하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유행한 신종플루도 이렇게 탄생했다.신종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이나 치료제는 있을까. 인간 감염 사례가 이번이 처음인 만큼 백신은 아직 없다. 하지만 타미플루나 리렌자 같은 기존의 항바이러스제가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질병관리본부는 “중국으로의 여행을 제한하는 단계는 ... ...
- [화보] 기하학, 걸작을 짓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근대 건축의 거장인 프랑스의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는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건축은 인간의 본능과 관련돼 있으며, 그 해답은 기하학이라고 주장했다. 우리의 눈은 빛 속에서 형태를 보기 위해 만들어졌는데, 기본적인 형태는 점, 선, 사각형, 원, 직육면체, 원기둥 등 기본 도형으로 이루어졌기 ... ...
- [매스미디어] 토니 스타크는 수학 천재! 아이언맨 3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연결해 원격조종하는 일이 현실에서도 가능할까?바이러스를 통한 방법은 아니지만, 인간의 뇌와 기계를 연결하는 뇌-기계 인터페이스 연구는 미래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주로 뇌파를 통해 전동 휠체어를 움직이거나 키보드로 의사소통을 하는 등 신체가 손상된 환자를 치료할 목적으로 연구되고 ... ...
- [4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있다. 바로 행동학파다. 행동학파는 사고·상상·정서·감정이 자극과 반응이고 인간의 모든 행동의 배후에는 그것을 유도해낸 자극이 있다는 철학이 핵심이다. 심리학의 과학화를 이끈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존 B. 왓슨은 ‘행동주의자의 관점에서 본 심리학’(1929)에서 “행동주의는 현재의 ... ...
이전2502512522532542552562572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