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비브라늄으로 무장한 슈퍼히어로, 블랙팬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보이지만, 총알도 튕겨내는 비브라늄의 능력은 사실은 과학적인 원리에 기반 했다. 바로 방탄복 재료로 쓰이는 아라미드 섬유다. 이 섬유는 비브라늄처럼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방식으로 방탄복을 착용한 사람을 보호한다. 철보다 부피당 밀도가 작지만 강한 화학결합 덕분에 더 강한 힘을 견딜 수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물려주는데 관여하는 또 다른 세포 구성 요소가 있습니다. 세포 소기관, 미토콘드리아가 바로 그것입니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에서 에너지를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합니다. 핵은 대부분의 세포에서 세포 하나 당 한 개뿐이지만,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하나에 여러 개 존재합니다. 흔히 유전물질이라고 ... ...
- Part 3. 기후변화의 바로미터 극지는 미래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극지는 기후를 보는 바로미터다. 극지에 쌓인 기후자료를 복원해 과거에 기후가 어떻게 변했는지 파악하고, 현재 기후변화가 얼마나 빠르게 진행되는지 정량화함으로써, 미래 기 ...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INFOGRAPHIC] 한 눈에 보는 극지 연구 인프라Part 3. 기후변화의 바로미터 극지는 ... ...
- [인터뷰] UNIST 신입생 대표 김윤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보려고 합니다.” 김 씨의 이야기를 듣다보니 모든 이야기를 아우르는 단어가 있었다. 바로 ‘여유’다. 고등학교 때 성적을 향상시켰던 과정이나 UNIST에 진학한 뒤 전공 선택에 있어서도 여유를 가지고 스스로 생각하는 시간이 가장 중요했다. 김 씨는 마지막으로 후배들에게 이렇게 당부했다 ... ...
- [교과연계수업] 대한민국 금메달! 스켈레톤! 최첨단 과학 장비, 봅슬레이, 루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하니 정말 놀랍죠? 최대한 공기의 저항을 줄여야 하는 스켈레톤의 비결 중 하나는 바로 최첨단 과학으로 만든 옷에 있다고 해요. 위키미디어(Michael Eriksson)● 세계랭킹 1위 윤성빈 선수 슈트의 비밀 스켈레톤은 속도가 매우 빨라 100분의 1초 단위로 선수들의 순위가 정해진다. 따라서 스켈레톤 ... ...
- Part 3. 더욱 특별해진 동반자, 반려견 함께할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미국에서 열린 세계 최대의 가전제품 박람회 ‘CES 2018’에 새로운 반려견이 소개됐어요. 바로 애완견 로봇 ‘아이보(aibo)’예요. 지난 1999년에 처음 개발된 아이보는 세계 최초의 애완견 로봇이에요. 2006년 단종됐다가 11년 만인 지금 부활한 거지요. 새로운 아이보는 인공지능을 탑재해 주인을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드라큘라를 닮은 사향노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주머니에서 향이 나는 물질을 만들지요. 이 물질을 ‘사향’이라고 부른답니다. 그런데 바로 이 ‘사향’ 때문에 사향노루가 멸종위기종이 되었어요. 사람들이 사향을 향수나 약재로 사용하면서 사향노루를 지나치게 많이 사냥했거든요.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강원도 지역의 숲속에 소수만 남아 ... ...
- Part 2. 장비‘빨’ 제대로 받자!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알 수 있다. 센서가 측정한 정보는 선수와 코치가 스마트 글라스와 태블릿에서 바로 볼 수 있다. 아쉽게도 이들 훈련 장비는 테스트가 마무리되지 않아 지금은 사용하지 못한다. 그러나 김 선임 연구위원은 “이번 대회가 끝이 아니다”라며, “컬링 팀은 앞으로 이 장비로 훈련할 수 있을 ... ...
- [Culture] 정현 호주오픈 4강 비결 분석, 테니스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정현은 이런 기록의 비결로 ‘젊음’을 꼽았지만, 과학자들은 다른 비결을 얘기한다. 바로 물리학이다. ‘스윙 무게’는 물리학의 회전관성지름 6.5cm, 무게 57g의 테니스공이 날아와 라켓에 부딪힌다. 공의 운동에너지를 라켓이 흡수했다가, 선수의 힘을 더해 상대방에게 보낸다. 테니스의 기본적인 ... ...
- [Origin] 생명을 설계한다, 합성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이를 위해 공학에 적용되는 부품화, 표준화, 모듈화의 개념이 생물학에 도입됐고, 바로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이라는 학문이 정립됐습니다. 합성생물학에서는 DNA를 컴퓨터의 프로그래밍 언어처럼 대합니다. 0과 1로 이뤄지는 이진코드(binary code) 대신, DNA를 이루는 네 가지 유전자코드(A, T, ... ...
이전2542552562572582592602612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