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리코타 치즈 & 두부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치즈 생기기 시작 리코타 치즈와 두부를 만드는 과정에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단백질 응고입니다. 리코타 치즈는 우유 속 단백질이 응고한 것이고, 두부는 콩 속 단백질이 응고한 결과지요. 하지만 두 단백질이 각각 응고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재료가 있습니다. 먼저 리코타 ... ...
- Part 7. 사십춘기도 아프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0대의 약 91%‘이거 좀 가져와봐’ ‘너 그거 했니?’.사십춘기인 독자라면 물건의 이름이 바로 떠오르지않는 경험을 한 번쯤 했을 것이다. 사춘기 자녀와 대화를 나누는 과정에서도 ‘이거’ ‘저거’ ‘그거’ 등 지시대명사가 먼저 나오지는 않았는지 생각해보자. 결혼 및 출산 연령이 점차 ... ...
- [인터뷰] 경기북과학고등학교 입학부장 박창서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있다 박 입학부장은 “자기소개서를 심사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작성했는지 아닌지 바로 알 수 있다”며 “중학교 생활을 얼마나 열심히 했는지 본인 말투로 자연스럽게 적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서류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면담이다. 경기북과학고의 경우 서류평가 대상을 학교로 ... ...
- Part 3. 루카스 수학 석좌 교수, 스티븐 호킹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맞다면 대폭발 때 나온 빛의 일부가 우주 어딘가에 남아있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바로 우주배경복사였던 거지요. 호킹과 펜로즈는 입자물리학 이론을 이용해 특이점에 관한 여러 정리를 담은 ‘호킹-펜로즈 특이점 정리’를 발표했어요. 호킹-펜로즈 특이점 정리는 특이점이 있다는 걸 ... ...
- Part 5. 평창 동계 올림픽, 로봇 올림픽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현장 곳곳에서 만날 수 있는 로봇들평창 동계 올림픽에는 또 다른 별명이 있어요. 바로 ‘로봇 올림픽’이에요. 이번 평창 올림픽 현장에 모두 11종류, 85대의 로봇이 투입되면서 붙여진 별명이지요. 올림픽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부터 활동을 시작한 로봇들도 있어요. 지난 해 12월 11일, 대전에서 ... ...
- Part 1. 역사에 이름을 남긴 스타 과학견, 연구하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실험, 파블로프의 개 심리학 실험에 참가해 역사적으로 유명해진 개가 있어요. 바로 러시아의 생리학자 이반 페트로비치 파블로프의 개예요. 실험은 간단해요. 개에게 종소리를 들려주고, 먹이를 주는 거예요. 처음엔 종소리에 별 반응이 없고 먹이를 봤을 때만 본능적으로 침을 흘려요. 하지만 ... ...
- [Culture] 정현 호주오픈 4강 비결 분석, 테니스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정현은 이런 기록의 비결로 ‘젊음’을 꼽았지만, 과학자들은 다른 비결을 얘기한다. 바로 물리학이다. ‘스윙 무게’는 물리학의 회전관성지름 6.5cm, 무게 57g의 테니스공이 날아와 라켓에 부딪힌다. 공의 운동에너지를 라켓이 흡수했다가, 선수의 힘을 더해 상대방에게 보낸다. 테니스의 기본적인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물려주는데 관여하는 또 다른 세포 구성 요소가 있습니다. 세포 소기관, 미토콘드리아가 바로 그것입니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에서 에너지를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합니다. 핵은 대부분의 세포에서 세포 하나 당 한 개뿐이지만,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하나에 여러 개 존재합니다. 흔히 유전물질이라고 ... ...
- Part 3. 기후변화의 바로미터 극지는 미래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극지는 기후를 보는 바로미터다. 극지에 쌓인 기후자료를 복원해 과거에 기후가 어떻게 변했는지 파악하고, 현재 기후변화가 얼마나 빠르게 진행되는지 정량화함으로써, 미래 기 ...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INFOGRAPHIC] 한 눈에 보는 극지 연구 인프라Part 3. 기후변화의 바로미터 극지는 ... ...
- [인터뷰] UNIST 신입생 대표 김윤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보려고 합니다.” 김 씨의 이야기를 듣다보니 모든 이야기를 아우르는 단어가 있었다. 바로 ‘여유’다. 고등학교 때 성적을 향상시켰던 과정이나 UNIST에 진학한 뒤 전공 선택에 있어서도 여유를 가지고 스스로 생각하는 시간이 가장 중요했다. 김 씨는 마지막으로 후배들에게 이렇게 당부했다 ... ...
이전2522532542552562572582592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