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남극에 사는 별별 생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또 있다고? 까만 털과 하얀 털이 섞여 있고, 뒤뚱뒤뚱 걷는 보물이라…. 설마! 내가 바로 남극에 숨겨진 보오~물? 남극에는 수만 종의 생물이 산다!매서운 칼바람이 불고, 겨울에는 영하 40℃를 넘나드는 남극에도 생물이 살아요. 육지에서는 펭귄, 물개 등 비교적 큰 동물과 꽁꽁 얼어있던 땅이 녹으면 ... ...
- [이달의 사물] 야구공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야구공은 강속구도, 변화구도 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특이한 녀석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너클볼입니다. 원래 속구든 변화구든 모든 구질은 실밥에 손가락을 어떻게 걸쳐 잡고 던지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이 실밥에 따라 공이 회전하면서 공기저항을 뚫고 원하는 궤도를 만듭니다. 하지만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Sox9는 뼈를 만드는 데 꼭 필요한 유전자입니다. 배아 발달 중 팔과 다리가 생성되는 곳이 바로 ‘팔 다리싹(limb buds)’이라는 부분인데요. 인간 배아의 경우, 수정 후 약 4~5주가 지나면 몸통에서 팔다리가 생길 부분이 뭉툭하게 솟아오릅니다. 이 부분을 팔다리싹 이라고 부릅니다. 유전자 변형 기술을 ... ...
- Part 5. 지금도 자라는 사춘기 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전달되는 메시지에 따라 사람은 특정한 행동을 한다. 이 신호를 연결해주는 고리가 바로 시냅스다. 시냅스가 신경전달물질을 전달하기 때문에 뇌세포들이 서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중개 역할을 하는 수십 개의 신경전달물질이 규명됐다. 이유 없는 반항을 유발하는 신경전달물질은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교내 과학대회 수상을 위한 ‘꿀팁’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있어야 합니다. 이를통해 교사의 기억에 남아야 하죠.교내 과학관련 대회의 심사위원은 바로 저와 같은 과학교사들입니다. 과학대회 심사를 해 보면 학생들의 생각이 거의 비슷하다는 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다른 학생들과 비슷한 주제나 누구나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내용은 교사가 기억하기 힘들고 ... ...
- Part 3. 집에서도 즐기는 인생맛집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설거지까지 해주거든요. 2년 전 미국 전자제품박람회 CES에서 최고상을 수상한 몰리는 바로 올해부터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이제 맛집 찾아 먼 곳까지 갈 필요가 없어요! 후식이 필요하다고요? 식사를 마친 뒤 마시고 싶은 커피를 선택하면 신속하게 커피를 만들어주는 바리스타 로봇도 있습니다. ... ...
- Part 2. 초대형 로켓을 쏘아 올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잘 도착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어요. 팰컨 헤비보다 더 큰 로켓도 개발되고 있어요. 바로 NASA가 만들고 있는 SLS 로켓이지요. SLS는 높이 100여m, 무게 4000t에 달하는 거대한 화성 탐사 로켓으로, 내년 쯤 달까지 시험 발사를 할 예정이에요. 만약 이 프로젝트가 성공한다면 팰컨 헤비를 제치고 세계에서 ... ...
- Part 1. 남극에서 보물을 찾는 사람들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맞은 세종과학기지!서울에서 1만 7240km 떨어진 곳에 우리나라 연구원들이 머물고 있어요. 바로 올해 2월, 문을 연지 30년이 된 남극 세종과학기지예요. 우리나라는 40년 전 남극에 첫발을 디뎠어요. 남북수산주식회사의 남북호가 남극해에서 처음으로 새우를 닮은 동물플랑크톤인 크릴을 잡고, 해양 ... ...
- [Origin] 지구가 주사위 모양이라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중심으로부터의 지구 표면 위의 각 지점까지의 거리가 달라진다. 중심에서 수직으로 바로 위 지점까지의 거리가 가장 짧고, 중심에서 꼭짓점까지의 거리가 가장 길다. 공 모양 지구에서는 중력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반면 연구팀이 시뮬레이션한 결과 정육면체 모양 지구에서는 각 ... ...
- 과학 수사의 최전선, 겹친 지문을 분리하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하나다. 그간 지문 감식 기술은 계속 진화해왔지만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부분이 있다. 바로 여러 개 겹쳐진 지문을 하나씩 분리해서 식별하는 기술이다. 장성윤 경찰청 과학수사기법계장은 “실제 수사 현장에서는 지문이 복잡하게 겹쳐 있어 감정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며 ... ...
이전2512522532542552562572582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