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식간
찰나
삽시간
일순간
한순간
신속
즉각
d라이브러리
"
순간
"(으)로 총 4,463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 수명 조절하는 원리 규명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텔로미어를 지목했다.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텔로미어가 짧아지기 때문에, 어느
순간
한계점(노화점)보다 짧아지면 세포가 죽는다는 뜻이다. 김 교수는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텔로미어는 50~100bp(염기쌍 50~100개)만큼 짧아진다”고 설명했다.하지만 모든 세포에서 텔로미어가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 ...
등 푸른 생선의 대표 고등어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띤다. 백색근은 산소가 부족한 상황에서 에너지를 저장하는 다당류인 글리코겐을 분해해
순간
적으로 큰 힘을 낼 수 있지만 연속적으로 운동하면 젖산이 쌓여 쉽게 피로해지는 특성이 있다. 적색근 역시 가로무늬근의 일종이지만 미오글로빈을 많이 함유하고 혈관이 잘 발달해 붉은빛을 띤다. ... ...
오른쪽? 왼쪽? 보행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느려진다. 더구나 대부분의 사람이 다른 사람과 부딪히면 오른쪽으로 피하기 때문에
순간
좌측보행이 깨지면서 혼란이 더 커진다.실제로 한국교통연구원에서 컴퓨터 시뮬레이션 연구를 해 본 결과, 우측보행을 하면 걷는 속도는 평균 1.2배 빨라졌고 길을 가다 서로 부딪히는 횟수는 20% 줄어드는 ... ...
Part 2. 암호는 즐거운 두뇌싸움!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코난. 위기의
순간
에 코난의 친구인 하이바라가 부는 리코더 소리가 울려 퍼졌어. 그
순간
코난은 몸을 날려 엎드리고 동시에 경찰이 쏜 총이 범인을 제압했어. 코난은 어떻게 총을 쏜다는 사실을 알았을까?하이바라가 리코더로 연주한 음은 ‘미라라라파’였어. 서양에서는 음의 이름을 ... ...
열 나는 반도체, DNA로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마리가 된다는 의미다. 이런 성장이 어렵다는 얘기는 한없이 발달할 것 같던 기술도 어느
순간
이 지나면 그 기세가 한풀 꺾인다는 뜻이다.황 교수는“지수함수적인 성장을 하는 유일한 기술은 광통신과 반도체뿐”이라고 분석했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영국 스탠더드텔레콤연구소의 찰스 ... ...
어디서든 즐겨라! 디지털 TV의 밑그림을 그리는 수학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급할 때도 이젠 문제없다. TV 방송을 내 마음대로 멈췄다가 다시 보기도 하고, 놓쳤던
순간
을 다시 돌려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디지털 시대에서 기계의 성능을 좌우하는 것은 프로그램이다. 하드웨어의 수준이 비슷한 상황에서 독창적이고 실용적인 프로그램을 만들어 내는 일이 더욱 중요해진 ... ...
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남았어요. 내 생각엔 더 기다릴 것도 없이 내일 아침에 잡는 것이 좋겠어요.” 당나귀는
순간
긴가민가했으나, 엄마아빠가 순대니 햄이니 하며 입맛을 쩝쩝 다시자 돼지에 대한 이야기임을 더는 의심할 수가 없었다. 당나귀는 흑흑거리다가, 마침내는 온 마당이 떠나가라 엉엉 울고 말았다. - 마르셀 ... ...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뮤’로도 들린다. 알 듯 말 듯한 소리가 언어에 의해 섬광처럼 명확해지는
순간
이다. 실제 소리는 지각 체계에 따라 분석되지만 어떤 소리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언어와 지식의 역할이다. 고양이 소리를 자석처럼 끌어당겨 ‘야옹’으로도 ‘뮤’로도 들리게 하는 신기한 체험을 언어가 제공해 ... ...
세계 최대 익룡발자국 국내서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첫날 정말 우연히 등산화 끈이 풀려 끈을 매려고 바닥에 무릎을 꿇고 앉았다 일어나는
순간
‘그 무언가’깊숙이 패여 있는 흔적이 눈에 확 들어왔다.공룡 발자국은 아니었기에 처음에는 크게 실망했으나, 불과 2~3초 뒤 머릿속이 맑아지면서 새로운 생각이 스쳐 지나갔다. 생김새가 바로 익룡의 ... ...
작은 RNA 조각으로 불치병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마이크로RNA를 이용해 불치병을 해결하는 데 한 걸음 나아갈 것이라는 확신이 드는
순간
이었다. “마이크로RNA처럼 소박한 꿈으로 한국 과학에 기여할 터” 김빛내리 단장 1992년 서울대 미생물학 학사 1994년 서울대 미생물학 석사 1994년~1998년 영국 옥스퍼드대 생화학 박사 1999년~2001년 미국 ... ...
이전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