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식간
찰나
삽시간
일순간
한순간
신속
즉각
d라이브러리
"
순간
"(으)로 총 4,463건 검색되었습니다.
촉각이 착각에 빠질 때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차를 둘 경우 한참 동안 우리 뇌는 어느 쪽이 먼저인지 알아맞히지 못한다. 손을 맞는
순간
뇌는 팔을 X자로 한 상태라고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이 일본 연구팀은 2005년에 더욱 재미있는 현상을 발표했다. 팔이 아닌 막대나 스푼을 갖고도 같은 현상이 일어난다는 내용이다. 2개의 스푼을 한 개씩 ... ...
살아 있는 지구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의해 붙잡힌 태양의 하전 입자들이 동그랗게 지구를 감싸고 있는 모습이 최초로 확인된
순간
이었다. 이것은 당시 실험을 설계한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의 핵물리학자인 제임스 앨프리드 밴 앨런의 이름을 따서 ‘밴 앨런 벨트’로 명명됐다. 밴 앨런 벨트는 지구 자기장에 의해 붙잡힌 태양풍의 ... ...
다윈을 따라 제2의 닻 올리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출항 사인이 났다. 한동안 육상탐사로 전환됐던 ‘다윈을 따라서’ 탐사가 재개되는
순간
이었다. 권 박사의 마음엔 벅찬 감동이 물밀듯 밀려왔다.권 박사는 출항 전 “두 아이에게 자랑스럽도록 항해를 꼭 성공시키겠다”고 말했다. 지 선장 역시 올해 9월 인터뷰에서 “고등학교에 다니는 딸과 ... ...
[교과연계수업] 새해맞이, 달력은 어떻게 만들까?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길이가 가장 짧아진다는 사실을 이용하는 겁니다.지금도 우리는 해가 정남쪽에 오는
순간
을 중간 지점으로 삼아 하루를 정합니다. 해가 정북쪽에 있는 자정이 하루의 시작이며, 해가 정남쪽에 오면 하루으이 절반이 지나고, 다시 자정이 되면 하루가 끝나는 것입니다. 요즘에는 지구의 자전 속도를 ... ...
세포 수명 조절하는 원리 규명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텔로미어를 지목했다.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텔로미어가 짧아지기 때문에, 어느
순간
한계점(노화점)보다 짧아지면 세포가 죽는다는 뜻이다. 김 교수는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텔로미어는 50~100bp(염기쌍 50~100개)만큼 짧아진다”고 설명했다.하지만 모든 세포에서 텔로미어가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 ...
어린왕자가 다녀간 대청도 '모래사막'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세상이 너무 각박해져 버렸다.어린왕자가 지나간 발자취가 느껴지는 사구들. 지금 이
순간
에도 바람은 풀밭을 흔들고 잔잔한 호수 위에 물결을 만듦과 동시에, 구슬땀을 흘리며 수천 년이 걸리는 모래작품에 힘을 쏟는다. 언젠가 어린왕자가 다시 찾아올 날을 기다리면서 ... ...
등 푸른 생선의 대표 고등어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띤다. 백색근은 산소가 부족한 상황에서 에너지를 저장하는 다당류인 글리코겐을 분해해
순간
적으로 큰 힘을 낼 수 있지만 연속적으로 운동하면 젖산이 쌓여 쉽게 피로해지는 특성이 있다. 적색근 역시 가로무늬근의 일종이지만 미오글로빈을 많이 함유하고 혈관이 잘 발달해 붉은빛을 띤다. ... ...
The Limits of Internet?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알토 연구센터의 컴퓨터공학자 에드 카이 박사는 “처음 우리가 이것을 발견했을 때에는
순간
적인 하락으로 생각했다”고 말한다. 그러나 위키피디아는 2007년 3월에 기고자 82만 명이라는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후에는 이 사이트에서 그처럼 많은 편집자가 활동하지 않았다. 카이 박사는 “2009년 ... ...
어디서든 즐겨라! 디지털 TV의 밑그림을 그리는 수학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급할 때도 이젠 문제없다. TV 방송을 내 마음대로 멈췄다가 다시 보기도 하고, 놓쳤던
순간
을 다시 돌려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디지털 시대에서 기계의 성능을 좌우하는 것은 프로그램이다. 하드웨어의 수준이 비슷한 상황에서 독창적이고 실용적인 프로그램을 만들어 내는 일이 더욱 중요해진 ... ...
대포 쏴 달나라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중인 초대형 대포는 사람이 아니라 부품이 없는 화물을 우주공간에 올릴 계획이다. 발사
순간
생기는 엄청난 중력 때문에 사람은 즉시 사망하고, 인공위성처럼 복잡한 기기는 성능이 손상될 정도로 부서질 가능성이 높아서다. 이 때문에 연구팀은 연료처럼 파손될 걱정이 없는 짐을 옮기는 데 이 ... ...
이전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