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식간
찰나
삽시간
일순간
한순간
신속
즉각
d라이브러리
"
순간
"(으)로 총 4,46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 통조림] 경우의 수를 따져라~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이런 식으로 경우의 수와 관련된 일은 우리가 의식하지 못할 만큼 일상생활에서
순간순간
늘 일어나고 있다. 이런 여러 가지 경우의 수를 체계적으로 배우는 시간이 바로 수학시간이다교과서 제대로 읽기중학교, 고등학교 과정의 ‘확률’과 이어지는 단원은 초등학교 6학년에서 주로 배운다. ... ...
타임머신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수 있는 대부분의 물체는 3차원 물체입니다. 그런데 이 시간여행자는 시간의 흐름 없이
순간
적으로만 존재하는 3차원 물체는 없다는 알쏭달쏭한 소리를 하고 있습니다. 그건 바로 시간여행자가 또 하나의 축을 생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우리가 사는 세상에서는 언제나 시간이 흐르고 있습니다. 이 ... ...
그림이 살아 있다! 마술액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움직이는 내용의 영화가 얼마 전 개봉됐어요. 딱딱한 유리관 너머로 나온 생생한 역사의
순간
들이 참 흥미로웠죠.만약 내 방의 그림이 영화 내용처럼 마구 움직인다면 어떨까요? 영화 안에서나 가능한 일이라구요? 아니랍니다. 마술처럼 움직이는 그림을 만들어 봐요.1832년 벨기에의 조셉 플레토는 ... ...
포장이 과학을 만났을 때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제품 자체가 가진 고유의 진동과 같은 크기의 진동이 전해지면, 공명 현상을 일으켜
순간
적으로 더 큰 충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예민한 전자제품을 만드는 회사에서는 배송하는 동안 생길 충격량을 미리 조사해서 포장을 설계하고 있다.쿵! 부딪혀도 안심상품이 배와 트럭에 실려 먼 ... ...
똥의 황홀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배설물 화석 안에 든 식물의 씨앗으로 당시 식물 생태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이
순간
에도 세상 어디선가에는 동물이 만든 배설물이 바짝 마른 채 보존돼 현시대에 살고 있는 사람과 동식물에 대한 정보를 미래에 전해줄 것이다.‘똥’에 직접 현재의 얘기를 기록하는 방법도 있다. 케냐와 ... ...
짧지만 강렬한 기억 첫인상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활성화되는 이유는 낯선 사람을 만날 때 그가 나에게 도움이 될지 해가될지를
순간
적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첫 번째 약속이 중요한 이유강렬해 씨는 어렵게 사귄 친구들을 놓치지 않기 위해 웬만해서는 약속을 어기지 않는다. 그중에서도 첫 번째 약속은 반드시 지킨다. 강 씨의 이런 ... ...
떠다니는 과학 실험실 아라온 호, 남극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기술 덕분이다. 아라온 호 밑바닥에는 117t의 물탱크가 설치돼 있다. 물탱크의 물을
순간
적으로 배 뒤로 쏠리게 하면 무게중심이 뒤로 이동해 뱃머리를 들 수 있다.이때 엔진의 추력으로 전진하면 배가 앞으로 나아가면서 배 앞부분이 얼음 위로 올라간다. 결국 7487t에 이르는 아라온 호의 무게로 ... ...
살아 있는 지구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의해 붙잡힌 태양의 하전 입자들이 동그랗게 지구를 감싸고 있는 모습이 최초로 확인된
순간
이었다. 이것은 당시 실험을 설계한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의 핵물리학자인 제임스 앨프리드 밴 앨런의 이름을 따서 ‘밴 앨런 벨트’로 명명됐다. 밴 앨런 벨트는 지구 자기장에 의해 붙잡힌 태양풍의 ... ...
건물 외벽에 뚫린 3000개 구멍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착공 예정일이 예상보다 4개월 이상 늦춰졌다. 숨 가쁘게 몰아가던 작업에 맥이 풀리는
순간
이 아닐 수 없었다. 아쉽지만 한편으로는 지금까지의 작업을 돌아볼 기회라며 위안을 삼기로 했다.여유를 갖고 한발 물러서서 보니 무엇인가 빠진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모든 법적 요건에 맞춘 우리의 ... ...
촉각이 착각에 빠질 때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차를 둘 경우 한참 동안 우리 뇌는 어느 쪽이 먼저인지 알아맞히지 못한다. 손을 맞는
순간
뇌는 팔을 X자로 한 상태라고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이 일본 연구팀은 2005년에 더욱 재미있는 현상을 발표했다. 팔이 아닌 막대나 스푼을 갖고도 같은 현상이 일어난다는 내용이다. 2개의 스푼을 한 개씩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