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일러 프로젝트] 오각형 마방진을 풀어라!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총 8가지의 답이 가능하다. 같은 선에 있는 수를 화살표 방향에 따라 순서쌍으로 나타낸 뒤, 순서쌍의 첫 번째 수가 가장 작은 순서쌍부터 시계방향 순으로 나열하면 아래 표와 같다. 예를 들어 예시 속 삼각형 마방진 답을 순서쌍으로 나타내면 (4, 3, 2), (6, 2, 1), (5, 1, 3)이다. 답별로 순서쌍을 모두 ... ...
- 발바닥 굳은살, 오해해서 미안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상태, 샌들이나 모카신처럼 바닥이 딱딱한 신발을 신은 상태로 트레드밀 위를 걷게 한 뒤 발이 지면에 가하는 최대 힘과 충격량(힘×힘이 작용한 시간)을 각각 측정했다. 그 결과 맨발로 걸을 때가 신발을 신었을 때보다 오히려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량이 훨씬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쿠션이 있는 ... ...
- 우리는 UST 퍼스트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그는 “미세플라스틱의 인체 독성에 관심이 많다”며 “UST 석박사통합과정에 입학한 뒤 이와 관련한 연구를 이어가고 싶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UST는 출연연의 연구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대학원생을 지원하는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다”며 “이런 ... ...
- [로보트 재권V] 로봇에게 눈은 뇌와 같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못했던 새로운 일을 하게 될 겁니다. 결론적으로 로보트 재권V가 세상을 인식한 뒤 이 물건이 뭔지, 주인이 누구인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우리가 열심히 사진 데이터를 모아서 입력해줘야 합니다. 혼자 하기보다는 여럿이 데이터를 공유하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독자 여러분도 힘을 보태 주세요. ... ...
- [중국유학일기] 8시 등교, 6시 하교, 6일 수업 실습 프로그램 ‘866’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이제 1학년을 막 끝내다 보니 우한대에 어떤 진로 프로그램이 있는지 속속들이 알지는 못한다. 하지만 선배들이나 친구들 얘기를 들어보면 우한대도 다른 대학처럼 재학생의 ... 듣는다.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구열이 전 세계 최고라지만, 중국 대학생들 또한 결코 뒤지지 않을 것 같다 ... ...
- [영재교육원 탐방] 융합과 연결로 가능성 꽃피운다!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제한된 재료를 이용해서 각 팀별로 개성을 담은 열기구를 만들고, 1분 이상 떠 있게 만든 뒤 열기구가 떠오르는 이유를 과학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미션이었다. 학생들은 물리와 화학 등 각 분야에서 배운 지식을 총동원해서 열기구를 만들었다. 그밖에도 질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 만들기와 모빌로 ... ...
- 고교급식왕, 급식의 과학적 비밀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하고 있다.바로 배식이 이뤄지지 않는 불가피한 상황에서는 온장고와 냉장고에 보관한 뒤 수시로 온도를 측정한다. 식중독의 위험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식중독균이 증식하는 온도가 4~60도인만큼 4도 미만으로 유지되는 냉장고나 80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온장고에 보관해 식중독 가능성을 미연에 ... ...
- 모기, 너란 놈... 며칠 듯이 잡고 싶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9월에는 오닐 교수팀의 볼바키아와 동일한 균주를 수급해 국내 흰줄숲모기를 감염시킨 뒤 조사 중이다. 이 연구관은 “같은 종이라도 지역마다 계통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볼바키아 감염 모기가 국내 모기 퇴치에 효과가 있는지 시험 중”이라고 말했다 ... ...
- 영화 '커런트 워' 에디슨의 직류 vs. 테슬라의 교류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테슬라는 1893년 세계 만국박람회에서 백열등 9만6620개를 교류 방식으로 밝혔으며, 2년 뒤에는 교류발전소를 이용해 나이아가라 폭포에 수력발전소를 세우면서 사실상 교류 방식의 효용성을 인정받게 됐다. 결국 에디슨의 직류발전소는 설 자리를 잃게 됐고, 이후 교류식 송전 시스템이 지금까지 13 ... ...
-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정크 단백질’을 분해하라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작용 속도를 조절하는 화합물의 기능을 확인하려면 해당 단백질에 화합물을 뿌린 뒤 효과를 관찰해야 한다. 이를 빠르게 자동화시킨 기술이 이 교수가 개발한 고속 대량 스크리닝법이다. 그는 한 번에 화합물 300개를 스크리닝하던 당시 기술을 200배가량 크게 향상시켜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 ... ...
이전2532542552562572582592602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