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왜 포항 지진은 촉발 지진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단층면에서 일어난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랍니다. ●●● 증거 3 ●●●지진이 난 뒤, 파이프가 끊어졌다?!2018년 8월, 포항 지진 정부조사연구단은 지열발전소가 지진을 일으켰는지 알아내기 위해 직접 포항 지열발전소를 찾았어요. 그곳에서 연구단은 지열발전을 위해 땅 속으로 뚫었던 두 개의 ... ...
- [JOB터뷰]유쾌한 지구 생각 십년후연구소 조윤석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서울’ 등의 잡지도 기획했지요. 2002년에는 서울 마포구의원에 출마했다 떨어졌고 6년 뒤에는 귀농을 했어요.2012년에는 서울에 돌아와 ‘십년후연구소’를 차렸어요. 친구와 재미로 만들었지만 지금은 지구온난화의 해결책을 찾는 데 집중하지요. 에너지를 적게 쓰는 공기청정기를 개발하고 폭염을 ... ...
- [통합과학 교과서]사오정과 콘서트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귓 속에 이식하기도 하지요. 인공와우는 기계를 통해 외부의 소리를 전기 신호로 바꾼 뒤 이를 신경으로 전달하는 장치예요. 귀에 거는 외부 장치와 머릿속에 이식하는 내부 장치로 이루어지지요. 외부 장치는 마이크와 어음처리기로 이루어져 있고요. 어음처리기는 마이크에 입력된 소리를 전기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게임 랙 극복한다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장애물을 통과하는 성공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예측하는 수학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그 뒤 이렇게 구한 성공률과 장애물 사이 간격의 관계를 분석해 랙이 걸리지 않았을 때와 성공률이 비슷해지도록 조정했죠.연구를 이끈 이병주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는 “게임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랙을 ... ...
- 스냅챗? 알고 보면 ‘數’냅챗! 아기 얼굴 만드는 비결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예를 들어 안경을 씌우는 필터는 미리 만들어 놓은 안경을 눈의 위치에 맞춰 조정한 뒤 얹기만 하면 되죠. 아기 필터도 비슷합니다. 윤곽선의 점들을 이으면 얼굴은 몇 개의 영역으로 나눠집니다. 아기 필터는 아기 얼굴의 특징에 맞게 각 점의 위치를 조정해 사진을 바꿉니다. 보통 아기 얼굴은 ... ...
- [인터뷰] 박형주 아주대 총장 - 연결’로 문제를 해결하는 폴리매스형 인재수학동아 l2019년 08호
- 특출났죠.어릴 때부터 수학에 재능을 보였던 나이팅게일은 대학 수준의 수학을 독학한 뒤 간호사가 됩니다. 이후 80만 명 이상이 사망한 크림 전쟁에 참전합니다. 나이팅게일은 사망자 데이터를 모아 분석한 끝에 많은 젊은이가 사망한 주요 원인이 취약한 병원 위생환경 때문이라는 것을 ... ...
- [스타쌤의 수학공부꿀팁] 재미와 학습 모두 잡은 수학 보드게임!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대 맞은 것 같았어요.”본인은 이리저리 뛰어다니며 수학 교육에 힘썼다고 생각했지만, 뒤돌아보니 정작 학생들은 수학 시간을 그리 즐거워하지 않았다. 억지로 하는 게 대부분이었고, 잠을 자거나 딴짓하는 학생들도 수두룩했다. 교실 수업을 개선해야만 했다. 그래서 처음에는 선배 교사들의 수업 ... ...
- [과학뉴스] ‘덜 자랐군, 패스~’ 양상추 수확하는 AI 로봇 개발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양상추 수확 로봇인 ‘베지봇(Vegebot)’은 로봇에 달린 카메라로 작물의 이미지를 촬영한 뒤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해 덜 자랐거나 병충해를 입은 양상추는 걸러내고 수확할 시기가 된 양상추만 선별해 잘라낸다. 또 양상추를 절단하는 날 근처에는 카메라가 달려 있어 수확 과정에서 양상추의 ... ...
- [과학뉴스] 인간 근육보다 40배 센 인공근육과학동아 l2019년 08호
- 12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와 아크릴, 비단, 대나무 등 여러 섬유를 섞은 뒤 꼬아서 인공근육을 제작했다. 그리고 온도 변화와 전자기장, 화학물질 등 외부 자극에 반응하는 재료를 겉에 씌우고, 외부 자극을 받으면 겉면이 수축했다가 늘어나게 했다. 이렇게 만든 인공근육은 ... ...
- [과학뉴스] 남쪽으로 날아가던 제왕나비에게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상업적으로 키운 제왕나비와 야생에서 포획한 제왕나비를 야외 사육장에서 번식시킨 뒤, 그 자손들을 여름과 가을의 환경을 모방한 실내 사육장에서 키워 이주 행동을 살폈다. 그 결과 실내에서 자란 제왕나비는 남쪽으로 이주하지 못한 채 번식기를 맞았다. 이는 상업적으로 사육된 제왕나비뿐만 ... ...
이전2512522532542552562572582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