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배타적인 것은 서로 보완적이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갖고 있었다. 양자역학에 따르면 어떤
관측
결과든 우연의 영향을 받는다. 또 어떤 물체가
관측
되지 않는다는 것은 모든 곳에 존재하거나 어느 곳에서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즉 세상에 확실한 것은 하나도 없다는 말이 된다. 그런데 어디 세상이 그런가. ‘예’(Yes) 아니면 ‘아니오’(No ... ...
사상 최초 감마선 폭발
관측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우주에서의 가장 강력한 폭발인 ‘감마선 폭발’이 사상 최초로
관측
됐다. 감마선이 폭발하게 되면 단시간에 나머지 우주공간이 만들어내 ... 일어난 곳까지는 90억 광년 거리다. 이런 감마선 폭발
관측
은 천체의 순간적인 에너지원을
관측
할 수 있는 새로운 계기를 열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 ...
Ⅳ. 미래의 문을 여는 바이오 칩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1962년 미국의 클라크 박사에 의해 처음 시도됐다. 그는 혈액 속의 포도당을
관측
하기 위해 분자를 식별하는 능력을 갖는 효소와 산소 전극을 결합하면 포도당의 농도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혈액내 포도당 농도의 측정은 당뇨병환자에게 대단히 중요한 것이었다. 효소는 기질이라 불리는 ... ...
대륙이 움직인다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더 관심이 컸다. 26살 때인 1906년, 그는 동생과 함께 최초로 기구를 이용해 북극 대기를
관측
함으로써 이름을 떨쳤다. 당시 그의 52시간 기구비행은 세계 최고기록이었다. 같은 해 그린란드를 탐험했고, 1909년 독일로 돌아와 마르부르크대학에서 천문학과 기상학을 가르쳤다.1911년 가을 마르부르크대학 ... ...
하늘에서 가장 긴 별자리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배의 위치를 알아내는데 주로 사용했다.1679년 9월 헤벨리우스의 집에 화재가 생겨
관측
자료와 여러 도구들을 잃게 됐는데, 이때 21년 간이나 애용하던 육분의도 불에 타 버렸다. 그는 이 화재가 천문의 여신 우라니아가 불의 신 불칸에게 패배한 사건이라며, 헤라클레스와 싸웠던 포악한 두 동물의 ... ...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에딩턴의
관측
결과를 토대로 아인슈타인의 예언이 맞았다고 발표했다(그러나 에딩턴의
관측
결과는 너무 오차가 커 훗날 비판을 받음). 다음날 런던 타임스는 ‘과학의 혁명-뉴턴주의는 무너졌다’라는 제목 아래 일반상대성이론을 대서특필했다.일반상대성이론의 두번째 증거는 수성의 근일점이 ... ...
우주가 만든 바람개비 우리은하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모습은 많은 외부 은하에서 볼 수 있었던 소용돌이 나선 모양을 하고 있었다. 전파
관측
을 통해 천문학자들이 작성한 은하수의 정밀한 지도를 살펴보면 우리은하는 4개의 큰 나선팔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 궁수자리 팔, 오리온자리 팔, 센타우르스자리 팔, 페르세우스자리 팔이라 이름 붙여졌다. ... ...
'잘 나가는' 제비의 자식 사랑 부부사랑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못하고 지쳐 죽거나, 비바람이라도 친다면 떼죽음을 당하기 일쑤다. 인공위성을 이용해
관측
한 결과 우리나라를 떠난 제비들이 따뜻한 강남의 목적지까지 무사히 도달하는 경우는 전체의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머리 좋은 흥부네 제비목적지까지는 경험이 많은 이들이 지난번에 갔던 ... ...
재미있는 수학의 패러독스들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발견한 것처럼 발상의 전환을 통해 해결의 실마리가 마련된 유명한 패러독스. 뢴트겐의
관측
은 거짓말쟁이 패러독스와 직접적으로 관련을 갖지는 않지만 논리학상 알려지지 않은 ‘X인자’의 존재성을 시사해 준 것이다.다시 ‘거짓말쟁이 패러독스’로 돌아가서 그 변형들을 살펴보자.[1] 유니콘의 ... ...
봄의 불청객 황사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겨울철 황사로 인해 내리는 누런 눈은 매우 특이한 현상이지만 역사적으로 심심치 않게
관측
됐다. 1950년에도 일본 훗카이도(북해도)에 색깔이 있는 눈이 내려서 화제가 됐는데 이 눈도 황사 때문이었다고 분석됐다.올해 서울에서 1월에 황사가 섞인 눈이 내렸다. 누런 색이 나타날 정도는 아니었지만 ... ...
이전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