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측"(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 행성간 충돌로 달 생성?과학동아 l1999년 04호
- 이른바 충돌이론이다. 이 이론은 1960년대 이후에는 그리 각광을 받지 못했는데, 이번 관측으로 다시금 주목받게 됐다.루나프로스펙터의 자료를 분석한 나사(NASA)의 과학자들은 달의 핵이 달 전체 질량의 4% 정도밖에 안돼 핵질량이 30%를 넘는 지구와 차이가 있다고 밝혔다. 결국 핵이 차지하는 ... ...
- ③ 아인슈타인은 실수하지 않았다과학동아 l1999년 04호
- 이전에도 우주배경복사의 등방성은 관측됐지만, 코비가 가장 현대적인 장비로 결정적인 관측자료를 제공한 것이다.인플레이션 우주론에서는 인플레이션이 일어나기 전 모든 물질이 잘 뒤섞일 만큼 충분히 작았다. 그후 인플레이션이 일어나 ${10}^{30}$배 이상 부쩍 커진 우주에서 퍼지기 시작한 ... ...
- 제7회 천체사진공모전 당선작과학동아 l1999년 04호
- 자아냈다. 현재 단국대 전산통계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황형태씨는 한달에 반드시 1-2회 관측을 나가는 열성파로 알려졌다. 그는 “노출을 오래 주었을 때 화려한 모습을 드러내는 숨어있는 천체들을 촬영하는데 흥미를 느낀다”고 말했다.그 외 은상을 수상한 권오철씨의 ‘겨울철 은하수’는 ... ...
- 모세의 기적과 진도의 바닷길과학동아 l1999년 04호
- 지역에서의 조석은 지형과 기압, 바람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현지에서의 지속적인 관측을 더해야 한다. 지금은 어느 지역이라도 조석을 2-3cm 이내에서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예측은 미묘한 자연의 변화와 변수들을 배제한 이론적인 값일 뿐 수시로 바뀌는 기상조건에는 ... ...
- ② 관측우주론의 딜레마, 자식보다 어린 부모?과학동아 l1999년 04호
- 나오고, 우주 초기에 은하가 태어나는 장면을 직접 볼 수 있을 것이다. 20세기에 태어난 관측우주론은 20세기 말에 이르러 꽃이 피기 시작했는데, 21세기에는 만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 ...
- 배타적인 것은 서로 보완적이다과학동아 l1999년 04호
- 갖고 있었다. 양자역학에 따르면 어떤 관측결과든 우연의 영향을 받는다. 또 어떤 물체가 관측되지 않는다는 것은 모든 곳에 존재하거나 어느 곳에서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즉 세상에 확실한 것은 하나도 없다는 말이 된다. 그런데 어디 세상이 그런가. ‘예’(Yes) 아니면 ‘아니오’(No ... ...
- 춤추는 우주론과학동아 l1999년 04호
- 최대의 실수라고 일컬어지는 우주상수가 새롭게 필요한 것일까. 현대 우주론의 역사, 관측우주론의 딜레마, 그리고 양자우주론의 해석 등을 살펴보면서 그 이유를 알아보자 ... ...
- ① 빅뱅우주론에서 인플레이션까지과학동아 l1999년 04호
- 이 예언은 1992년 캘리포니아대학 버클리분교의 조지 스무트(1945-)가 코비(COBE)위성의 관측결과를 통해 확인했다.그러나 인플레이션 이론 역시 우주의 초기에 대해 모든 것을 설명해주는 것은 아니다. 또 우주의 운명이 앞으로 어떻게 될지도 확실하게 알 수 없다. 이런 상황에서 1917년 아인슈타인이 ... ...
- 무지개는 왜 원형일까과학동아 l1999년 04호
- 우리가 보는 무지개에서는 빨간색이 위쪽에 있을까. 무지개를 만드는 물방울들은 대개 관측 장소로부터 수 km 이상 떨어져있다. 예를 들어 1km 떨어진 곳에 물방울들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해는 지평선에 걸려 있어서 햇빛이 물방울이 있는 평면과 수직으로 진행한다고 하자. 그러면 모든 물방울에서 ... ...
- 천문학자 밴 앨런과의 대화과학동아 l1999년 04호
- 폴터 교수다. 대학 1학년 때 그는 나를 공동연구자로 내세울 만큼 아꼈다. 당시 50m 높이의 관측소를 설치해 대기 성층권의 유성우와 자기장을 연구했는데, 그때의 연구가 오늘날의 나를 있게 한 계기다. 대학 1학년생이 연구를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지만, 나는 우수한 학생이었던 것 같았다(웃음) ... ...
이전2522532542552562572582592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