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하생
제자
생도
학도
피교육자
학상
동공
d라이브러리
"
학생
"(으)로 총 5,14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명상의 뇌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불고 있다. 미국 하버드대에서는 심리학자 벤 사하르 박사가 개설한 행복한 강의에 학부
학생
의 20%가 몰려들어 화제가 됐다.행복이란 객관적 지표에 이르렀을 때 얻는 게 아니라 주관적으로 느끼는 만족감이다. 몸과 마음은 하나이다. 마음이 건강해지면 몸도 건강해진다. 규칙적인 운동과 명상, ... ...
과학 강연 나눔 ‘10월의 하늘’ 열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이명현 전 연세대 연구원과 만화가 조남준 씨가 우주의 모습을 점자책으로 만들어
학생
들에게 ‘손으로’ 보여줬다. 청각장애인 대상 강연에서는 3명의 수화통역사가 이정모 서울 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등의 강연을 수화로 전달했다. 이밖에 경남 창원에서 열린 ‘야구의 과학’ 강연에는 ... ...
기쁠 때 함께 웃어주는 감정 로봇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낼 수는 있습니다. 이런 기능은 인간에게 도움이 됩니다. 메로나 잉키를 영어교사로 삼은
학생
들은 수업효과를 높일 수 있고, 노인들의 기억력 증진에도 도움이 됩니다. 지능로봇사업단은 최근 메로를 이용해 치매 노인의 기억력 증진을 돕는 기능을 개발해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단순히 컴퓨터 ... ...
구제적인 목표가 열정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흩어져 있다고 생각하는 데 이 지식이 교과에 달라붙어서 응용력이 커지는 거야. 그럼
학생
들이 어려워하는 서술형 문제를 풀 때 도움이 될 거야. 자기주도적 학습이지. 과학도 마찬가지야. 과학 관련 책을 많이 읽으면 이 지식이 학교공부를 할 때 달라붙어.” 학교에서 정해준 책만 보는 것은 ... ...
서울대 정시? 이렇게 준비했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제시문을 빠르고 정확하게 읽기 위해서 노력한 것이 쌓여서 기본기가 쌓인 것 같아요.
학생
들이 많이 걱정하는 것이 과학이나 수학 배경지식이 대학수준이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그렇진 않았어요. 저도 생물은 예전에 올림피아드올림피아드 준비를 하면서 좀 깊게 했지만 다른 과목은 고등학교 ... ...
체험! 학습의 현장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초등반과 중등반 각 20명 내외의
학생
을 모집한다. 현재 초등학교 6학년~중학교 1학년 재
학생
이라면 중등반으로 지원할 수 있다. 지원신청은 창의 수학캠프 홈페이지 schemath.kr에서 지원신청서를 내려 받아 작성해 kusec@korea.ac.kr로 보낸 후 등록금을 납부하면 선착순으로 등록할 수 있다 ... ...
IT기술을 즐기며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다양한 아이디어를 실현하면 된다. 페이스북을 만든 마크 주커버그는 하버드 여
학생
사진 중 누가 가장 예쁜지 투표하는 게임을 만들면서 IT사업의 길에 들어섰다. 구글을 창업한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은 웹의 순위 매기는 연구를 하다가 검색 도구를 발명했다. 엔씨소프트의 김택진 대표는 ... ...
한국의 부르바키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있고, 수학책을 위한 도전도 계속되고 있다. 팀도마찬가지다. 현재
학생
들은 하권을 위해 막바지 작업 중이며, 오류 0%에 도전하는 수정·보완 작업을 하고 있다. 이들이 니콜라 부르바키를 뛰어넘는 한국의 부르바키로 성장하길 기대해본다 ... ...
마트와 적립카드, 수학으로 엮인 사연은?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이용해 손님에 따라, 시간대에 따라, 날씨에 따라 무엇이 많이 팔리는지를 알아 낸다.
학생
들이 많이 오는 학교 근처의 편의점이라면 날씨가 추워질 것이라는 예보에 맞춰 호빵이나 따뜻한 음료를 더 가져다 놓고 부족함 없이 물건을 파는 식이다. 빵과 우유 같이 놓으면 좋을까? 예전엔 쇼핑에 ... ...
풍속화 속 수학 김홍도 vs 신윤복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초점이 집중된다. 이 그림에서 눈여겨볼 것은 뒤에 있는 훈장의 모습이 앞에서 울고 있는
학생
보다 오히려 더 크게 그려졌다는 점이다.여기에서 동양화의 또다른 특징인‘역원근법’을 발견할 수 있다. 단순히 거리와 크기를 비교해 원근법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더 부각시키고 싶은 내용을 더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