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생"(으)로 총 5,14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부도, 취미도 척척! 미래의 과학자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9호
- 것을 찾았으면 해요. 인터뷰를 마치며양현 친구는 기타로 멋진 연주도 들려줬어요. 하라 학생도 취미로 즐기는 플루트를 꺼냈지요.‘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시작된 하라, 양현 친구의 꿈, 편집부에서도 언제나 응원할게요~!인터뷰 대상:권하라 (카이스트 자율전공학부 1),권양현(경남 창원 ... ...
- The Secret of Winning Nobel Prize is ‘Curiosity!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9호
- 수상자들이 지난 8월 8일부터 13일까지 열린 제5회 아시안 사이언스 캠프에서 아시아 학생들의 멘토가 되었어요! 아론 치에하노베르 박사는 단백질 분해에 대한 새로운 발견과 난치병 치료에 대한 공로로 2004년에 노벨 화학상을 받은 분이에요. 아론 치에하노베르 박사님께서 청심국제중고등학교 ... ...
- 난 정말 뚱뚱한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5호
- 우리나라 청소년(중·고등생) 10명 중 1명 이상이 식사장애를 겪고 있답니다. 특히 여학생은 100명 중 약 15명 정도가 식사장애를 겪고 있어요. 식사장애로 정말 뚱뚱하지도 않은데 살이 쪘다고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올바른 영양섭취를 하기 어려워져요. 따라서 비만의 기준에 대해 바르게 알고 내 ... ...
- 제10회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수상자발표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5호
- 과학 논술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관심도가 아주 높음을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올해 전국 학생과학논술대회에서 초등부에 응모한 작품들을 심사한 결과, 심사위원들의 의견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첫째, 과학 논술은 논술문답게 주어진 논제에 대해 자기의 주장을 제시하고, 객관적 증거와 ... ...
- 동물은 우주왕복선을 타고!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5호
- 11월 24일 번데기가 됐고, 30일이 되자 허물을 벗고 나비가 됐다. 당시 지구에서는 초·중등학생 12만 명과 교사 2800명이 똑같은 나비를 키우며 비교했다. 비교 결과, 드러난 차이점은 단 한 가지. 지구에서 허물을 벗은 나비는 날개를 말리는 데 3~5분이 걸리는 반면, 우주에서 태어난 나비는 같은 과정에 ... ...
- Part 1. 명상의 뇌과학과학동아 l2011년 12호
- 불고 있다. 미국 하버드대에서는 심리학자 벤 사하르 박사가 개설한 행복한 강의에 학부 학생의 20%가 몰려들어 화제가 됐다.행복이란 객관적 지표에 이르렀을 때 얻는 게 아니라 주관적으로 느끼는 만족감이다. 몸과 마음은 하나이다. 마음이 건강해지면 몸도 건강해진다. 규칙적인 운동과 명상, ... ...
- 수학 알면 나도 고수! 뜨개질수학동아 l2011년 12호
- 함께 고백하기로 마음 먹은 손재주군. 어떤 이벤트를 할까 고민하다가 요즘 영국에서 남학생들 사이에 뜨개질 동아리가 열풍이라는 기사를 본다. 한 번도 뜨개질을 해 본 적은 없지만, 평소 손재주 좋다는 소리를 들어오던 터라 뜨개질에 도전해 보기로 마음을 먹는데….“좋아! 직접 만든 목도리로 ... ...
- 선행학습보단 창의력! 연세대 과학영재교육원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영재교육원에 입학한 일부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영재원에 입학하려는 학생들은 한 번쯤 생각해보기 바랍니다. 수학·과학 공부를 진정으로 좋아하며, 스스로 문제풀이를 즐기고 새로운 것에 도전하고 집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스스로계획을 세워 단계적이고 지속적으로 노력하면 ... ...
- 기쁠 때 함께 웃어주는 감정 로봇과학동아 l2011년 12호
- 낼 수는 있습니다. 이런 기능은 인간에게 도움이 됩니다. 메로나 잉키를 영어교사로 삼은 학생들은 수업효과를 높일 수 있고, 노인들의 기억력 증진에도 도움이 됩니다. 지능로봇사업단은 최근 메로를 이용해 치매 노인의 기억력 증진을 돕는 기능을 개발해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단순히 컴퓨터 ... ...
- 에너지자원공학과학동아 l2011년 12호
- 확보전이 한창이다. 사진은 캐나다에 있는 니오븀(희유금속의 한 종류) 광산.]5 어떤 학생을 원하나요?지구를 연구하는 학문이므로 지구과학을 반드시 공부해야한다. 물론 일반적인 과학 과목인 물리와 화학, 생물에 대한 소양도 있어야 한다. 그리고 고도의 기술과 학문을 배우기 위한 기초에 ... ...
이전2482492502512522532542552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