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하생
제자
생도
학도
피교육자
학상
동공
d라이브러리
"
학생
"(으)로 총 5,140건 검색되었습니다.
‘구리실 반도체’ 더 작게, 더 빨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 구리나노와이어로 더 작고 더 빠르게김 교수는 좋은 강의를 했던 교수를
학생
들이 직접 뽑는 ‘최우수강의 우수상’을 4년 연속 받았을 만큼 열혈 교수다. 그의 강의가 특별한 이유는 책 속에 앉아 있는 지식이 아니라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살아 있는 지식을 가르치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199 ... ...
“제2의 김연아, 제가 만들 거예요”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반에서 달리기 1등 했어요. 50m뛰기는 기록이 7.6초에요.” 마지원
학생
은 과학중점과정
학생
을 인터뷰하러 온 기자에게 달리기 실력을 이야기 했다. 그도 그럴 것이 ... 자신의 꿈을 이뤄가는 과정을 즐기고 있었다. 꿈을 향한 과정을 즐길 줄 아는 마지원
학생
이 꿈을 꼭 이루길 바란다 ... ...
수학 - 잘게 쪼개고 더하는 구분구적법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구분구적법의 의미는 말 그대로 잘게 쪼개고 이 요소를 모두 더한다는 의미다. 그런데 간혹
학생
들이 매개변수로 표현된 곡선에 의해 둘러싸인 넓이나 부피를 구할 때 엉뚱한 적분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번 호에서는 구분구적법의 색다른 방법과 적용을 실전논제를 통해 알아본다. ...
“우리 부부는 뇌가 2개나 있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느낌이었어요. 잡아서 눌러줬죠. 길게 보라고, 급할 거 없다고요.” “시간이 지나니까
학생
들이 성장하고 알아서 연구가 돌아가기 시작했어요. 성과도 잘 나왔고요.”백 교수는 감정 표현도 잘 하고 빠르다. 한번 방향이 서면 어떻게 설계해야 할지 바로바로 답이 떠오른다고 한다. 반면 김 교수는 ... ...
비닐에서 LCD까지, 미세 가공을 부탁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이용해 새로운 산업을 창출해 내는 방법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학생
들이 레이저 가공 기술을 배워 취업에 성공했을 때 많은 보람을 느낍니다. 좋은 인력을 배출해 광응용산업의 발전을 돕고자 합니다 ... ...
현실도피와 ‘가짜 철학적 경향’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생계를 위해 일을 하는 것은 인류애에 어긋나지 않는 듯했다. 결국 필자는 그에게 초등
학생
도 다 아는 현실적인 이유, 즉 신경정신과 의사로서 왜 상담료를 받아야 하는지, 사람이 왜 일을 해야 하는지 등에 관해 설명해야 했다. 다행히 몇 번의 상담 끝에 아들도 차츰 현실을 받아들이게 됐다. ... ...
“잠재력 가득한 미래 발전소”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이상이다. 마지막으로 ‘하나고는 ○○다’를 채워달라는 기자의 요구에 황정호
학생
은 “하나고는 원자력 발전소다”라고 했다. 그는 흠칫 놀라는 기자에게 웃으며 설명을 시작했다. “원자력 발전은 상당량의 전기를 생산하지만 위험요소가 있어요. 하나고도 아직 두 학년 밖에 없어요. 독특한 ... ...
D-한 달, 나는 이렇게 준비했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개념을 다시 보고 기출문제를 푸는 것이 좋다. 수능이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서 중하위권
학생
들이 집중해야할 영역이 바로 과학탐구영역이다. 아무래도 개념 위주의 문제가 나오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점수를 많이 올릴 가능성이 큰 영역이다. 대부분의 수험생이 모의고사에서 점수가 낮게 나온 ... ...
1953년 스탠리 밀러의 초기 지구 조건에서 아미노산 합성 실험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노벨상 수상으로 모든 걸 이뤘기 때문이 아닐까.밀러는 훗날 자신이 유리 교수의
학생
이 아니었으면 이 논문이 ‘사이언스’에 실리지 못했을 거라고 회상했다. 사실 논문이 1953년 5월 15일자에 실린 이유도 논문의 검토를 맡은 과학자들 가운데 한 사람이 실험 결과를 믿지 못해 시간을 질질 끌었기 ... ...
“내신성적 반영, 전교과로 확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물어보는 적극성이 중요하다. 과목선택도 자율성이 높기 때문에 사교육에 길들여진
학생
들은 오히려 더 힘들어 한다.마지막으로 관심분야의 전문성이다. 조금 더 욕심내서 마니아적으로 한 분야를 깊이 있게 파는 자세가 필요하다. 분야를 확실히 정했는지를 말하는 게 아니다. 특정 분야에 대한 ... ...
이전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