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3,923건 검색되었습니다.
美화성탐사선 큐리오시티 화성 샤프산의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1
㎥)당 1680㎏이었다. 큐리오시티에 탑재된 화학과 광물학 측정 장비가 조사한 화성
표면
의 광물 결정의 밀도인 세제곱미터(㎥)당 2810㎏의 60% 수준이다. 연구팀은 샤프산의 땅속은 단단하게 압축되지 않고 내부에 공간이 많은 다공성일 가능성이 있다고 결론 내렸다. 연구진은 이전에 과학자들이 ... ...
차세대 2차전지 이론 용량 92%까지 따라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30
만들었더니 이론용량의 92% 수준의 성능을 보였다. 이 염을 사용할 경우 음극에 안정한
표면
피막을 형성하는 효과도 있어 100회 이상 구동에도 전지의 성능은 떨어지지 않았다. 김 교수는 “리튬-황 전지의 한계를 돌파하기 위한 새로운 물리화학적 원리를 제시했다”며 “리튬-황 전지의 ... ...
전복 껍데기 구조 모방해 인공광합성 효율 2.5배로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산화그래핀이 접착제 역할을 해 분자 촉매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전극
표면
에 밀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산화그래핀 특유의 높은 전기전도도로 인해 전극에서 생성된 전하를 촉매까지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데도 도움이 됐다. 이렇게 만든 전극의 인공광합성 효율은 기존 대비 2. ... ...
[강석기의 과학카페]홍역은 어떻게 면역 기억상실을 일으킬까
2019.01.29
적응면역에 관여하는 T세포와 B세포의 수가 크게 줄어 있음을 확인했다. 이들 세포의
표면
에는 CD150이 고밀도로 분포해 있어 홍역 바이러스의 집중 공격을 받은 결과로 보인다. 이와는 별도로 연구자들은 동일인에서 홍역을 앓기 전과 앓고 난 후의 면역세포 유형에 따른 수의 변화를 알아보기로 ... ...
HD화질로 본 ‘울티마 툴레',
표면
에 지름 0.7㎞ 구덩이
동아사이언스
l
2019.01.28
해왕성 너머 태양계 외곽 카이퍼벨트의 소천체인 울티마 툴레(2014 MU69)의 새로운 고화질 영상이 24일(현지 시간) 공개됐다. 최근접지점에 접근하기 7분 전 6700㎞ 떨어진 지점에서 촬영한 모습이다. -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무인 우주탐사선 ‘뉴호라이즌스호’가 올해 1월 1일 태 ... ...
진주서 발견된 세계 최대급 ‘공룡 발자국 화석지’ 사라지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1.28
2~3년의 작업시간이 필요해 역시 설득이 쉽지 않다. 김 교수는 마지막 대안으로 전체 화석
표면
을 복제해 일단 기록이나마 남길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원본’을 잃는 아쉬움은 여전하다. 색깔별로 표시된 발자국은 각각의 개체가 걸은 흔적을 연결한 ‘보행렬’이다. 중간에 움푹 파인 부분은 현 ... ...
대기권 재진입 마찰열로 원두 볶은 커피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7
측은 “지구에서는 콩이 로스팅 과정에서 굴러다니고, 부서지고, 뜨거운 로스터
표면
과 접촉하면서 타게 된다”며 중력이 제거되면 콩이 완벽하게 볶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페이스 로스터스가 개발중인 '커피 로스팅 캡슐'의 구조. 캡슐이 지구로 재진입할때 발생하는 마찰열이 압력 탱크 속 ... ...
슈퍼 울프 블러드문이 뜬 그날, 유성체 첫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19.01.25
“달도 그렇지 않을까 추측한다”고 밝혔다. 러셀 교수는 “이런 불빛은 달의
표면
이 그늘에 졌을 때만 생긴다”며 “월식이 발생하기 전이나 발생한 며칠후에 보통 그늘이 지는 상황을 비쳐 봤을 때 이번 현상은 매우 드문 것”라고 밝혔다. 그리피스천문대 제공 ... ...
근육세포 울퉁불퉁한
표면
에서 잘 자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표면
에서 키웠을 때보다 200㎚ 홈
표면
에서 키웠을 때 수용체의 수가 1.7배, 1600㎚ 홈
표면
에서 키웠을 때는 5배로 늘었다. 공 교수는 “근육에 손상이 있을 때 근육을 재생하려면 신경세포와의 연결이 중요하다”며 “근육세포로 구동되는 바이오로봇을 만들 때 뉴런세포와 통합하면 주변 환경을 ... ...
삼켰다 꺼내는 식도암 진단 알약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줄을 다시 잡아당겨 이를 꺼내는 과정에서 식도 직경에 맞는 스펀지가 식도를 긁어 식도
표면
조직을 얻을 수 있다. 스테판 멜처 제공. 연구진은 피험자 94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85%가 알약을 삼키는 데 성공했다. 알약을 삼킨 사람 모두에게서 스펀지를 회수할 수 있었다. 내시경을 통해 ... ...
이전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