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문"(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 2. '오즈마'에서 '페닉스'까지 본격탐사 발자취과학동아 l1995년 05호
- '고분해능마이크로파 탐사' 계획은 30년 동안 진행된 SETI 계획의 교훈을 기초로 NASA와 전파천문학계의 힘을 결집해 전세계적인 협동탐사를 수행하는 것이다. 기간은 10년으로 2001년까지를 목표로 삼았다. 용두사미가 된 NASA 프로젝트이 프로젝트는 전천탐사(sky survey)와 표적탐사(targeted search)로 ... ...
- 우주론이 흔들리고 있다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점점 더 복잡한 천체의 메커니즘을 고안함으로써 태양계의 지구 중심관에 맞추었던 중세 천문학자들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어긋나는 개념들의 혼란과 우주의 대부분의 것을 찾는데 대한 계속되는 실패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신봉한 낙관적인 가설, 즉 "우주는 이해할 수 있다"는 과학의 신념에 ... ...
- 남반구 밤하늘 환상여행과학동아 l1995년 04호
- 너무 많아서 구름과 은하수를 혼동할 정도다.⑪ 대·소마젤란은하1995. 1.31 사이딩스프링천문대 펜탁스 Me super 50㎜ (f 2), 필름 후지 에이스 g 400, Hac 3200 증감 현상, EM 200 자동 가이드 25분좌측에 크게 보이는 것이 대마젤란이고 우측의 작은 것이 소마젤란이다. 맨눈으로는 구름 덩어리처럼 보이지만 ... ...
- 4월15일 부분월식, 대풍년 예고과학동아 l1995년 04호
- 대답이 없다.* 큰곰자리** 물뱀자리 유성우*** 올 4월15일에는 부분월식이 있다.4월의 천문현상 13일 해가 뜨기 30분 전, 금성과 토성이 불과 1˚의 각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다. 쌍안경을 가지고 동쪽하늘을 잘 살펴보자. 물론 밝은 별이 금성이다.14일 수성의 내합.15일 부분 월식. 이번 월식은 최대식분이 ... ...
- 2 과학, 기술의 전제조건 아니다과학동아 l1995년 04호
- 과학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오늘날 광학망원경의 도움없이 천문학을 연구하는 것을 상상할 수 없으며, 전자현미경의 도움없이 생물학을 연구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컴퓨터의 도움이 없다면 모든 분야의 과학 연구가 그만큼 정체될 것이 명백하다.이상에서 과학과 기술의 중요성 ... ...
- 1. 고체 액체 기체에 이은 '제 4의 물질상태'과학동아 l1995년 03호
- 인공상태 핵융합 플라스마로 나눌 수 있다.플라스마에 관한 연구는 20세기 초부터 물리학 천문학 등 기초연구에서 시작하여 방전관과 전파통신 등 전기·전자공학, 플라스마 응용기술과 관련되어 기계공학 재료공학 화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됐다. 이러한 연구수행 과정에서 누적된 ... ...
- 옛지도과학동아 l1995년 03호
- 나누어 우리나라의 방안좌표를 만들었음을 기록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경선과 위선은 천문학상의 지구 경도와 위도(3백60°기준)를 표시한 것이 아니고, 우리나라를 동서의 길이를 1백54로 나누고 남북을 2백80으로 나눈 방안(方眼)의 선을 뜻하고 있다. 즉 우리나라를 10리 간격으로 좌표를 만든 ... ...
- 게 두눈 사이의 뿌연 조각 구름, 프레세페과학동아 l1995년 03호
- 월광(Clair de lune)은 화려한 성단을 산책하는데 더없이 좋은 음악이 될 것이다. 3월의 천문현상 1일 수성의 서방최대이각. 이 날 수성은 아침 해뜨기 직전 지평선으로 부터 27° 고도에서 찾을수 있음.6일 토성의 합. 이번 회합주기 동안 토성이 지구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있는 날.30일 소행성 베스타 ... ...
- 별자리 테마여행-사자자리과학동아 l1995년 03호
- ① 화성과 사자의 등장 1994.12.3 강원도 춘천군 신북면 Pentax ME super 50㎜(f2) 필름 provia 400 고정 촬영 10분② 화성을 안고 산위를 달리는 사자 1995.1.6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 Pentax ME super 50㎜(f2) 필름 provia 100 고정 촬영 20분③ 바위 위를 오르는 사자 1995.1.7 강원도 명 ...
- 허블 망원경 최신 우주 통신과학동아 l1995년 03호
- 있다. 사진에는 이 은하 내에서 새로 태어나는 별들이 잘 나타나 있다. 이를 통해서 천문학자들은 거대성간운에서 질량이 아주 큰 별들이 어떻게 탄생하는 지에 대한 단서를 얻을 수 있다.이것은 왜소은하가 나선은하를 통과하면서 고리를 만들어내는 현상인데, 마치 잔잔한 호수에 돌을 던졌을 때 ... ...
이전2492502512522532542552562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