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넷 과학 사이트 베스트 57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모임인 'National Optical Astronomy Observatories'(NOAO)의 홈페이지다. 여기서는 각
천문
대에서 관측된 일식이나 월식사진들과 행성 등의 관측사진을 볼 수 있고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들에 대한 정보를 알아볼 수 있다.환경(Environment)ATSDR Science Corner(http://atsdr1.ats ...
토성의 새 위성 4형제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지날 예정이며 이 때 태양으로부터의 거리는 0.92819AU이다.이 사진은 미국 스튜어드
천문
대(Steward Observatory)에서 지난 8월2일 촬영한 것으로 2048×2048 CCD를 이용해서 30초간 노출한 것. 사진에 나타난 시야는 약 4'×4'이다.(사진 : Dave Harvey(Steward Observatory ... ...
은가루 속의 짝별 알비레오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내소사(寺)를 답사할 계획입니다.● 장 소 : 변산반도 '금구원 조각 공원'(김오성씨 개인
천문
대)● 일 시 : 1995년 8월5일-6일● 대 상 : 천체 관측에 관심있는 일반인● 참가비 : 3만5천원● 모임장소 : 서강대학교 정문, 8월5일 오후 1시● 주 최 : 신태양쇼핑(주)☎778-4656, 319-0303(※ 천체 망원경을 가지고 .. ...
20세기
천문
학의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하는 벌도 바로 천벌 아닌가.세종대왕은 장영실 등으로 하여금 칠정산과 같은 독자적인
천문
역법을 완성시켜, 중국을 통하여 입수된
천문
학을 가지고는 우리나라 하늘에서 일어나는
천문
현상을 정확히 예측할 수 없었던 폐해를 시정했다. 그 결과 '하늘이 내린' 제왕의 권위를 더욱 높일 수 있었다 ... ...
슈메이커-레비혜성 목성충돌시 3단계 광도변화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밝을뿐만 아니라 오랜 시간 지속됐다. 큰 핵이 충돌할 때는 10분 이상 밝게 빛났다고
천문
학자들은 밝혔다. 이에 대한 해석은 일단 솟구친 가스가 목성의 중력에 의해 낙하되면서 목성 대기와 심한 충돌을 일으켰다는 것. 그 증거는 일산화탄소와 수증기의 휘선이 메인이벤트의 정점에서 발견됐기 ... ...
한국말로 지은 화성 금성 지명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는 금성 표면에 붙일만한 이름을 공모했다. 그 결과 수천종의 이름이 접수되었고 국제
천문
연맹은 그 가운데 5백6가지의 새로운 이름을 채택했다. 이 가운데 3백23개는 분화구 이름이다.금성 표면에서 대륙만한 크기를 갖는 대표적인 두 지형은 이쉬타르 테라(Ishtar Terra)와 아프로디테 테라(Aphrodite Terra ... ...
X선 발견 100년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몇년만 지나도 낡은 것이 돼버리는 첨단과학의 세계에서도 여전히 빛을 잃지 않고 영양력을 행사하는 X선. 20세기 물질과학의 화려한 지평을 연 X선의 세계는 이제 제2의 르네상스기를 맞고 있다. 진단 치료 의학은 물론 재료과학 생명과학
천문
학 물리화학 등에서 점점 더 위력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
4.
천문
학계 새 스타로 각광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어려웠다. 그 결과 연구인력 또한 매우 층이 얇고 축적된 연구결과가 빈약하다. 80년대 말
천문
우주과학연구소 시절 사운딩로켓(과학로켓)을 계획할 당시 로켓에 올릴 탑재물로 X선 검출기가 검토돼, 이의 개발이 진행됐다. 그러나 현재는 로켓발사 계획 자체가 불분명해 지지부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 ...
별 탄생의 순간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그 뒤를 따르고 있다. 이것은 지난 1990년 토성 대기에 나타났던 폭풍이 남긴 흔적이다.
천문
학자들은 이 사진들을 이용, 지구에서 볼 때 테와 토성 적도면이 일치하는 시각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토성 테의 두께를 재볼 수 있으며, 아직 발견되지 않은 토성의 위성들을 검출하는 ... ...
1. 24시간 주기, 밤과 낮길이 정확하게 감지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대왕시대의 역사가인 안드로스틀로네스(Androstlones)에 의해 관찰되었다. 프랑스의
천문
학자인 드 마랭(De Marain)은 1729년 잎운동의 일주기리듬과 명암주기와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미모사를 재료로 하여 조사했다. 이 문제에 관해서는 다윈도 관심을 가지고 연구한 바 있다.1875년부터 1915년에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