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나는 무엇으로 이뤄져 있을까...더 위험한 과학책 외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최신 뇌영상 연구와 다양한 심리실험을 통해 우리가 가진 기억에 관한 오해를 과학적으로 하나씩 풀어준다. 탐험은 인류의 본능이다 약 20만 년 전, 아프리카 대륙에서 등장한 인류의 조상은 대륙을 떠나 빠르게 중앙아시아, 유럽으로 퍼져나갔다. 시베리아나 ... ...
- [과학뉴스] 티라노사우루스과 새 공룡 종(種) ‘저승사자’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새로운 종이라고 분석했답니다.캘거리대학교 달라 젤레니츠스키 공룡학자는 “우리는 이 종이 서식했을 당시 가장 크고 힘이 센 최상위 포식자일 것으로 본다”면서 “학명은 ‘저승사자’라는 뜻을 담아 ‘타나토테리스테스 데그루토룸’(Thanatotheristes degrootorum)이라고 지었다”고 말했어요. 이 ... ...
- [가상인터뷰] 나비, 날갯짓으로 체온을 유지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여기에 빛을 비추면 특정 파장의 빛만 반사되고 나머지는 통과해. 이때 반사되는 빛이 우리의 눈에는 나비의 색으로 보이는 거야. 이러한 구조를 ‘광구조’라고 한단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구조를 본따 색소를 사용하지 않고 색을 표현하는 미세입자 등을 만들고 있지. 또 나비의 부드러운 ... ...
- [질문하면 답해 ZOOM] 땅에 떨어진 음식을 3초 안에 주워먹으면 괜찮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좋아하고, 중국, 태국, 인도, 파키스탄, 베트남에선 인디카 쌀을 주로 먹지요. 물건이 우리 눈에 보이는 이유는 빛을 반사하기 때문이에요. 물건에 반사된 빛이 눈에 들어와 전기 자극으로 바뀐 뒤, 시신경을 거쳐 뇌로 들어가야 그 물건을 볼 수 있거든요. 따라서 빛을 반사하지 않고 투과하는 ... ...
- [인공지능수학] 인공지능 정복을 위한 필수템, 수학과 코딩수학동아 l2020년 05호
- 활용할 수 있어요.그렇다고 겁먹을 필요 없어요. 인공지능의 구조는 생각보다 단순하며,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수학 이론과 절차에 따라 만들어졌으니까요.Q 앞으로 진행할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를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요?5월부터 매달 1일에 폴리매스 홈페이지에 글을 1개씩 올려 ... ...
- [보드게임] 개발자의 서류함 본격 게임 전 몸풀기수학동아 l2020년 05호
- ❷ 구성물, ❸ 목표를 만드는 것이다.여기에 테마, 스토리, 디자인 작업이 더해지면 우리가 아는 ‘보드게임’이 완성된다.일반적으로 어떤 게임의 작가로 기록되는 사람은그 게임의 메커니즘을 설계한 사람이다.❷카드로 넘어가시오. [2] 주의! 보드게임 설계자의 조언을 얻고 싶다면 비법서를 ... ...
- n번방 사건, 텔레그램은 정말 아무 잘못이 없을까?수학동아 l2020년 05호
- 동의해야 메시지를 해독할 수 있다. 차움 박사는 미국의 기술 잡지 와이어드를 통해 “우리는 사생활을 포기해서는 안 되지만, 테러리스트와 마약 거래상이 암호 기술을 악용하도록 허락해서도 안 된다”며 개발 이유를 설명했다. 현재 여러 운영체제에 맞도록 기술을 개발 및 보완하고 있다. ... ...
- [폴리매스] 여기선 우리가 기획자 매스펀 잡담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어떨까요? 그럼 지금부터 해당하는 항목에 체크해보세요!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당신은 우리가 찾던 매스포터! ● 호기심이 많다. ● 수학을 잘하고 싶다.● 적극적이다.● 아이디어가 넘친다.● 심심한 것을 싫어한다.● 1+1=2라고 배웠다. ● 매일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을 쓴다. ● 사진을 ... ...
- [제28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보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심사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웠다”고 평가했다.이원정·지구와 우주 분야 금상Lost In Space우리은하는 수천억 개의 별이 모여 만들어진 거대한 나선은하다. 그 크기는 14만 광년에 이른다. 길을 잃은 자리에서 문득 올려다본 밤하늘의 은하수는 어떤 모습일까. 작가는 2018년 8월 18일 은하수가 서쪽으로 ... ...
- 드라마 ‘그 남자의 기억법’으로 살펴본 과잉기억증후군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기능을 과잉기억증후군 환자들도 갖고 있을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능동적 망각은 우리 뇌가 무섭고 고통스러운 기억을 지우는 기능이다. 2012년 로날드 데이비스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연구원팀은 초파리를 이용해 능동적 망각에 도파민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 ...
이전2472482492502512522532542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