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크래프트] #7. 네덜란드 풍차, 우정을 그래프로 표현하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있다는 거예요. 마치 학급에 하나씩 있는 인싸 친구 같죠? 그래프로 나타내는 우리 관계이렇게 그래프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 유용해요. 헝가리 수학자 에르되시 팔과 알프레드 레니, 베러 쇼시는 1966년 풍차 그래프에 관한 정리를 발표했어요. 바로 ‘우정 정리’예요. 만약 학급 ... ...
- [오일러프로젝트] 코딩 지니, 1부터 1000까지 영어로 썼을 때 사용한 글자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1부터 10까지는 우리와 비슷하게 각 숫자를 나타내는 고유 단어로 부릅니다. 하지만 우리와 다르게 11과 12로 넘어가도 ‘eleven’, ‘twelve’와 같이 고유 단어로 부릅니다. 이렇게 19까지 고유 단어로 읽고 20부터 10진법 체계로 읽죠. 일부 언어학자들은 이 방식을 옛날에 사용하던 20진법의 흔적으로 ... ...
- 코로나19 팩트체크┃ 백신, 치료제, 개발됐나?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코로나19의 증상이 페렴과 비슷해 폐렴백신이 효과가 있다는 말이 퍼졌다. 하지만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폐렴백신은 폐렴구균을 예방한다. 박테리아(세균)와 바이러스는 완전히 다른 존재다. 박테리아는 미생물로, 서식 환경만 갖춰지면 스스로 살아가며 번식할 수 있다. 반면 바이러스는 생물도 ...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以夷制夷). 오랑캐로 오랑캐를 무찌른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우리가 바이러스를 활용하는 데도 들어맞는다.바이러스는 1900년경 인류에게 감염병을 전파하는 원인 물질로 밝혀지면서 물리쳐야 할 악(惡)으로 여겨지기 시작했다. 그래서 백신과 치료제를 개발하며 악에서 벗어날 방법을 ...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구조와 형태에 따라 A형, B형, Z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대부분 생물은 B형 DNA를 갖고 있다. 우리가 흔히 보는 이중나선 구조의 DNA가 B형이다. A형은 이보다 DNA 이중나선 구조의 전체 길이가 짧고 지름은 더 길다. 보통 B형 DNA를 탈수시켰을 때 A형 구조가 나타난다. 루디바이러스는 이 두 가지 특성에 ... ...
- 대식세포...바이러스 전쟁의 지휘관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발견된 ‘톨 수용체’와 비슷한 ‘톨 유사 수용체(TLR·toll like recepter)’가 있다. 우리 몸은 대식세포에 있는 톨 유사 수용체를 이용해 항원이 문제를 일으킬 만큼 병원성을 띠는지 판단하고 공격 여부를 명령한다.식세포들이 작용하는 선천 면역반응만으로 특정 항원을 완전히 제거하기는 어렵다. ...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인터뷰에서 “연구 당시 성과가 나지 않는 시간이 길었고, 노벨상을 받는 것도 당연히 우리의 목표가 아니었다”며 “동료들과 함께 애써온 만큼 노벨상 수상이 매우 기쁘고 앞으로도 인류의 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연구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보이틀러는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이후 ... ...
- 만능 인플루엔자 백신 Universal flu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바이러스에 맞춰 개발된다. 그런데 만능 백신은 이론적으로 감염병이 발병하기 전에 우리 몸이 예방할 수 있게 만드는 백신을 말한다. 이런 꿈 같은 백신이 과연 가능할까. 전문가들은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쉽지는 않다고 예상한다. 만능 백신 개발이 쉽지 않은 이유는 간단하다. 백신은 항원을 ... ...
- 나는 시각장애인 안내견 주미입니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평가받는다. 이후 중간평가와 최종평가는 훈련사와 함께 받는다. 훈련사가 눈을 가리고 우리와 함께 걸으며 보행의식(걷는 것을 좋아하는지), 미션 수행능력(횡단보도에서 잘 기다리는지 등)을 평가한다. 나는 중간평가까지 통과하고 5월 20일 최종평가를 앞두고 있다. 1~3차 시험의 최종합격률은 35% ... ...
- [팩트체크] 모르고 먹는 미세플라스틱, 몇 개나 되는지 확인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그보다 작은 것은 극미세플라스틱 또는 나노미세플라스틱 등으로 구분합니다.최근 우리가 마시는 수돗물이나 먹는 음식에 미세플라스틱이 섞여 체내에 들어올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물벼룩 같은 작은 생명체에 미세플라스틱이 축적될 경우 생태계 먹이사슬에 영향을 초래할 수 ... ...
이전2432442452462472482492502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