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실험실에서 블랙홀 만든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모의별의 내부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스펙트럼의 강도를 측정해, 실제 별들을
관측
해 얻은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그 별의 상태를 정확하게 해석하고자 하는 것이다.그러나 이 실험에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다. 천체 물리학적인 이론을 검증하는 것도 좋지만 실험 도중 실제로 블랙홀이 생겨 지구를 ... ...
우리은하도 충돌했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충돌은 많이
관측
되고 있지만 희미한 왜소은하들이 큰 나선은하에 충돌하는 일은
관측
하기가 어렵다. 때문에 이번 발견은 지난 94년 발견된 궁수자리 왜소은하와 함께 우리은하의 진화연구에 획기적인 공헌을 할 것으로 보인다. 천문학자들이 흥분하는 것도 바로 이 대목이다. 현재 궁수자리 ... ...
외계행성 직접 증거 포착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확인했다. 연구팀은 지난 11월 7일과 14일에 행성에 의해 별의 광도가 1.7% 감소하는 현상을
관측
했다. 마르시 교수는 “밝은 빛의 별 표면에 행성의 그림자가 나타난 것은 행성의 존재를 입증하는 가장 직접적인 증거”라고 말했다.이번에 발견된 행성은 공전주기가 3.253일로 중심별에 매우 가까운 ... ...
오리온과 함께하는 겨울의 대육각형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1년 중 7월을 빼곤 항상 하늘에서 볼 수 있다. 최근에 히파르쿠스 천문위성이 카펠라를
관측
한 결과 42광년 떨어져 있고, 밝기가 비슷한 2개의 거성이 1백4일 주기로 서로 돌고있는 쌍성으로 밝혀졌다. 별자리에는 3개의 밝은 산개성단들(M36, M37, M38)이 있는데, 이것들은 작은 쌍안경으로도 잘 보인다 ... ...
과학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의 만남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관측
에 의한 확인이 필요하다. 본문에는 전영범 연구원 팀과 미국 Michael Bolte 교수의 추가
관측
이 언급돼 있다.셋째 다른 별과 달리 초신성의 경우에는 이전에는 그 위치에 별이 없었다는 증거가 필요하다. 본문의 내용을 살펴보면 1999년 1월17일에 얻어진 사진의 그 위치에는 별이 보이지 않았으나 ... ...
2. 날씨 따라잡기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더 정확한 예측을 돕는다는 얘기다. 실제로 4백km 간격의 지구모델에서는 한반도 근처의
관측
지점은 남한에 2개, 북한에 2개밖에 안된다. 하지만 간격을 1백km로 하고 지구 모델을 돌리려면 슈퍼컴퓨터로도 계산하는데 최소 3개월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21세기 중반 한반도 기후는?내일 비가 올 ... ...
간지럼타는 배롱나무와 음악듣는 오이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미약한 전류가 흐르고 있다는 것에 착안해 뽕나무에 검류기를 설치하고 전류의 변화를
관측
했다. 잎을 손으로 잡거나 뜨거운 것을 대고 있는 동안에는 전류가 계속해서 격렬하게 변동하다가 손을 떼면 정상으로 돌아온다. 그러나 선풍기를 가져다가 바람을 일으켜 주면 전류는 처음에 심하게 ... ...
3. 기상 버라이어티쇼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골고루 분산시키는 과정인 태풍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목성의 대적반 근처에서
관측
되는 태풍이 바로 에너지가 섞이는 과정이다. 물론 대적반 자체도 발견된 후 3백년 간이나 이동하지 않고 있는 태풍이다. 태풍이 지나간 자리는 조용하다고 한다. 이것은 지구가 격렬한 에너지의 흐름인 태풍을 ... ...
지진 예측할 수 없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증가하는 추세에 있지만, 90년대 들어
관측
망의 확충으로 크기가 작은 지진까지
관측
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또한 대부분 규모 2.0-4.0의 미진들이기 때문에 단순히 발생횟수만으로 지진활동의 변화추이를 판단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 ...
쌍안경으로 즐기는 가을 별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움직임을 관찰해 볼 수 있다. 왼쪽의 사진은 작년의 비슷한 시기에 찍은 것으로
관측
하는 날의 행성 위치를 비교해보면 목성과 토성이 이동한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옛 사람들도 이런 움직임을 관찰해서 다섯 행성을 별과 쉽게 구별해 낼 수 있었다.2. 안드로메다 은하(M31)와 바람개비 은하(M33 ... ...
이전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