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리온과 함께하는 겨울의 대육각형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1년 중 7월을 빼곤 항상 하늘에서 볼 수 있다. 최근에 히파르쿠스 천문위성이 카펠라를
관측
한 결과 42광년 떨어져 있고, 밝기가 비슷한 2개의 거성이 1백4일 주기로 서로 돌고있는 쌍성으로 밝혀졌다. 별자리에는 3개의 밝은 산개성단들(M36, M37, M38)이 있는데, 이것들은 작은 쌍안경으로도 잘 보인다 ... ...
① 지구 환경과 우주 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일반 관광객도 이용할 수 있다.● 2025년달에 건설한 유인기지에서 지질조사와 다양한
관측
실험이 실시된다. 달표면에 전파망원경이 설치되고 원자력 발전소가 만들어질 것이다.● 2025년아폴로의 달착륙은 옛 얘기. 이제는 유인 우주선을 타고 화성에 도착하는 우주인을 보게 될 것이다. 그 밖에도 ... ...
우리은하도 충돌했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충돌은 많이
관측
되고 있지만 희미한 왜소은하들이 큰 나선은하에 충돌하는 일은
관측
하기가 어렵다. 때문에 이번 발견은 지난 94년 발견된 궁수자리 왜소은하와 함께 우리은하의 진화연구에 획기적인 공헌을 할 것으로 보인다. 천문학자들이 흥분하는 것도 바로 이 대목이다. 현재 궁수자리 ... ...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것이 된다. 두 지점의 거리가 커지면 같은 거리의 별이라도 시차가 그만큼 커지며 따라서
관측
이 쉬워지게 된다. 이렇게 해서 구한 시차를 '연주시차'라고 한다. 한편 너무나 멀리 떨어져 있는 별은 연주시차조차도 너무 작아 거리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다. 연주시차를 이용해 잴 수 있는 별의 ... ...
쌍안경으로 즐기는 가을 별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움직임을 관찰해 볼 수 있다. 왼쪽의 사진은 작년의 비슷한 시기에 찍은 것으로
관측
하는 날의 행성 위치를 비교해보면 목성과 토성이 이동한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옛 사람들도 이런 움직임을 관찰해서 다섯 행성을 별과 쉽게 구별해 낼 수 있었다.2. 안드로메다 은하(M31)와 바람개비 은하(M33 ... ...
간지럼타는 배롱나무와 음악듣는 오이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미약한 전류가 흐르고 있다는 것에 착안해 뽕나무에 검류기를 설치하고 전류의 변화를
관측
했다. 잎을 손으로 잡거나 뜨거운 것을 대고 있는 동안에는 전류가 계속해서 격렬하게 변동하다가 손을 떼면 정상으로 돌아온다. 그러나 선풍기를 가져다가 바람을 일으켜 주면 전류는 처음에 심하게 ... ...
과학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의 만남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관측
에 의한 확인이 필요하다. 본문에는 전영범 연구원 팀과 미국 Michael Bolte 교수의 추가
관측
이 언급돼 있다.셋째 다른 별과 달리 초신성의 경우에는 이전에는 그 위치에 별이 없었다는 증거가 필요하다. 본문의 내용을 살펴보면 1999년 1월17일에 얻어진 사진의 그 위치에는 별이 보이지 않았으나 ... ...
3. 기상 버라이어티쇼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골고루 분산시키는 과정인 태풍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목성의 대적반 근처에서
관측
되는 태풍이 바로 에너지가 섞이는 과정이다. 물론 대적반 자체도 발견된 후 3백년 간이나 이동하지 않고 있는 태풍이다. 태풍이 지나간 자리는 조용하다고 한다. 이것은 지구가 격렬한 에너지의 흐름인 태풍을 ... ...
지진 예측할 수 없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증가하는 추세에 있지만, 90년대 들어
관측
망의 확충으로 크기가 작은 지진까지
관측
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또한 대부분 규모 2.0-4.0의 미진들이기 때문에 단순히 발생횟수만으로 지진활동의 변화추이를 판단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화학상-아메드 즈웨일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반응이 진행되는 상황, 즉 분자의 화학결합이 분해되는 과정을 연속적인 시간의 함수로
관측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펨토화학은 초고속카메라에 의한 고속촬영에 비유할 수 있다. 즉 화학반응이 일어나고 있는 분자의 모양을 1백조분의 1초에 한 장씩 사진으로 계속 찍어나가는 것이다. 그리고는 ... ...
이전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