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달의 바다가 어둡게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1598-1671)가 자신이 작성한 달 지도 속에 이름을 붙이기 시작한 것이 시초였다.달의
관측
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지구 대기가 얼마나 안정돼 있는냐 하는 것이다. 하늘이 맑아도 별이 자주 깜박여 보이는 날은 망원경이 아무리 크고 훌륭해도 달 표면의 세밀한 지형을 보기 힘들다. 요즘 겨울철은 대기가 ... ...
1만원권 지폐에 새겨진 자동 물시계 자격루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정확한
관측
을 해서 시간을 정하는데 매우 복잡한 천문학지식이 요구된다. 일년 내내
관측
을 해서 어느 날, 어느 시간에 남중하는 별들을 정해두고 별들이 기준점에서 몇도 돌아갔는지를 측정해야 한다. 별시계는 일상적으로 쓰기에는 너무나 불편한 시계다.정확하기는 하지만 일상적으로 ... ...
지구
관측
위성 아리랑1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2천원이 든 것이다. 아리랑 1호의 가장 큰 성과라면 우리의 기술로 어느 정도 지구
관측
실용위성을 설계하고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했다는 것. 아리랑 1호는 미국 TRW사에서 1차로 모델을 개발해보고, 그 모델을 국내로 반입해 우리 기술로 그대로 복사했다. 이 복사과정이야말로 위성에 대한 ... ...
다섯행성을 어떻게 찾았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흩어진 빛의 점들은 어떤 식으로든 알기 쉽게 정리되어야 했을 것이다.그래야 다음날
관측
이 쉬워지고 다른 사람에게 그 위치를 설명하기도 쉬웠을 것이다.그래서 밤하늘을 펼쳐 별들을 어떤 모양에 따라 짜 맞추기 시작했다.이것이 오랫동안 전통으로 굳어지면서 별자리가 정해졌다.별자리 ... ...
1월 1일 0시의 자오선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우리 조상들은 이 현상을 국가에 중대한 변고가 생길 전조라고 생각해 매우 주의해서
관측
하고 국왕에게 보고했다. 수성의 태양면 통과는 항상 5월과 11월에 일어나는데 지난 93년 11월 6일에 일어난 것은 우리나라에서는 구름이 짙게 끼어 볼 수 없었고, 99년 11월 15일의 현상은 해가 뜨기 전에 일어나 ... ...
용, 아홉가지 동물의 키메라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용오름은 매스컴을 통해 온 국민이 지켜보았을 정도로 유명하다. 이 외에도 80년대 이후
관측
보고된 용오름만 하더라도 1985년 10월 14일 울릉도 앞바다, 1988년 11월 27일 울릉도 앞바다, 1996년 11월 27일 서귀포 앞바다 등 세차례나 된다. 용오름보다는 조금 더 소규모인 육지의 회오리 바람은 더욱 ... ...
솥 모양 해시계 앙부일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정확히 맞추어 설치된 것이므로 매우 정확할 수 있다. 반면 휴대용 해시계에서는
관측
지점이 이동하므로 먼저 영침의 방향을 북극에 맞추어야 한다. 때문에 이 시계에는 나침반이 함께 달려있다. 나침반으로 북극의 방향을 정하고 이를 향해 시계를 두면 된다. 그러나 서울에서 제작된 휴대용 시계를 ... ...
아름다운 방정식, 아름다운 자연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이끄는 원정대는 각각 남부 브라질의 소브랄과 서아프리카의 프린시페 섬에서 일식
관측
을 통해 태양의 중력이 별빛을 휘게 만든다는 일반상대성이론의 예측을 성공적으로 확인했다. 자연은 일반적인 대칭성의 아름다움을 존중한다는 증거가 하나 확보된 것이다. 앞에서 소개한 아인슈타인의 ... ...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것이 된다. 두 지점의 거리가 커지면 같은 거리의 별이라도 시차가 그만큼 커지며 따라서
관측
이 쉬워지게 된다. 이렇게 해서 구한 시차를 '연주시차'라고 한다. 한편 너무나 멀리 떨어져 있는 별은 연주시차조차도 너무 작아 거리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다. 연주시차를 이용해 잴 수 있는 별의 ... ...
① 지구 환경과 우주 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일반 관광객도 이용할 수 있다.● 2025년달에 건설한 유인기지에서 지질조사와 다양한
관측
실험이 실시된다. 달표면에 전파망원경이 설치되고 원자력 발전소가 만들어질 것이다.● 2025년아폴로의 달착륙은 옛 얘기. 이제는 유인 우주선을 타고 화성에 도착하는 우주인을 보게 될 것이다. 그 밖에도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