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투스교육] 경이로운 생명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못한다. 결국 효소 X에 의해 물질 A는 새로운 물질 C로 분해 됐고, 물질 B는 여전히 처음 상태로 남아있다. 이런 기질 특이성은 효소가 단백질을 주성분으로 하면서 각각의 효소마다 특정한 입체 구조를 갖기 때문에 나타나는 특징이다.이밖에도 효소는 반응 속도를 빠르게 한다는 점, 화학반응에서 ... ...
- [과학동아 X KRISS] 기본전하 상수로 새롭게 태어나는 암페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관계를 규명했다. 그는 ‘전기’를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 ‘일렉트리쿠스(electricus)’를 처음으로 만들었다. 재밌게도 이 단어는 그리스어 ‘호박(elektron)’에서 유래했다. 구름 속에서 생기는 전기, 번개를 실험하다전기에 대한 연구는 18세기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미국에서 ‘건국의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슈퍼마켓도 어떤 의미에서는 굉장히 아름다운 장소인 것처럼 말이다. 1988년 국내에 처음 도입된 슈퍼컴퓨터 역시 그런 뉘앙스를 풍겼다. 당시 ‘크레이-2S’는 경찰의 경호까지 받으며 운송됐다. 슈퍼컴퓨터는 세계에서 성능이 500위 안에 드는 컴퓨터를 일컫는다. 크레이-2S의 성능은 현재 가정용 ... ...
- [인터뷰] 연세대 신입생 대표 염규민 “강점인 수리논술 집중해 부족한 내신 극복”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명문대들이 운영하는 교육 방식을 도입해 한국의 상황에 맞게 적용한 것으로, 2014년 처음 시작됐다. 현재 인천에 거주하는 신입생을 제외한 모든 신입생은 기숙사 생활을 하며 수업을 듣는다. 염 씨가 RC 프로그램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다양한 경험을 하면서 진로를 설계할 수 있는 기회를 ... ...
- 아마추어 수학자의 활약! 평면 채색수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최소 색의 수를 ‘평면 채색수(χ)’라고 합시다. 이 값을 구하는 문제는 사실 누가 처음으로 냈는지가 기록마다 달라 혼란이 있었습니다. 1990년대 미국 수학자 알레산더 소이퍼 교수가 이 문제에 관한 글을 쓴 사람을 일일이 연락해 추적한 끝에 출제자를 밝혀냈지요. 바로 1950년 당시 만 18세로 미국 ... ...
- Part 1. 역사에 이름을 남긴 아마추어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말이 있을 만큼, 페르마는 현대 정수론의 선구자로 불려요. 미분이라는 개념을 거의 처음 쓴 사람도 페르마지요. 프랑스 수학자 블레즈 파스칼과 편지를 주고받으며 확률에 관한 이야기를 나눴는데, 이걸 확률론의 효시로 보고 있어요. 이렇게 대단한 페르마는 평생 얼마나 많은 논문을 썼을까요 ... ...
- Part 2. 수학자를 뛰어넘은 아마추어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테셀레이션’에 관한 것이었죠. 당시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방법은 8개뿐이었어요. 처음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방법 5가지를 소개한 독일 수학자 칼 라인하르트는 앞으로 테셀레이션이 몇 개나 더 있을지 알 수 없다고 했고, 라인하르트 다음으로 3가지 방법을 더 찾은 리처드 커쉬너 박사는 이 ... ...
- 네 마음을 알고 싶어! 마스터마인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암호인지 알 수 있지요. 16개 중 1R2W가 아닌 경우도 비슷하게 암호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처음에 빨간 핀이 두 개 꽂혔을 때와 한 개 꽂혔을 때, 그리고 전혀 꽂히지 않았을 때는 암호의 후보가 16개보다 많지만, 비슷한 방법으로 후보를 좁히면 마찬가지로 다섯 번 안에 암호를 맞힐 수 있어요. 각 ... ...
- [가상인터뷰] 네안데르탈인은 예술가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년 전 사이에 멸종된 구인류로 알려졌지. 1856년에 독일의 ‘네안데 계곡’에서 내 뼈가 처음으로 발견된 후, 이 지역의 이름을 따서 네안데르탈인이라는 이름이 붙었어. 우리 뼈를 토대로 키를 추측했더니 남자의 평균 키는 167cm이고, 여자는 156cm 정도로 밝혀졌어. 지금의 인류보다는 약간 작지만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범인이 남긴 단서,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다 달라요. 유전자가 같은 일란성 쌍둥이도 서로 다른 지문을 갖고 있답니다. 이 사실을 처음 알아낸 사람은 영국의 의사인 ‘헨리 폴즈’예요. 그는 자신과 주변 사람들의 지문을 유심히 들여다 보다가 사람들의 지문이 모두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그리고 이런 지문의 특징을 이용하면 ... ...
이전2462472482492502512522532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