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묵은지는 왜 김치와 맛이 다를까?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김치는 처음에는 아삭하고 시원한 맛이 나지만, 익을수록 점점 시큼하고 냄새도 콤콤하게 바뀐다. 이세희 세계김치연구소 미생물기능성 연구단 연구원팀은 시간이 지나면서 김치 맛이 달라지는 이유를 과학적으로 규명해 국제학술지 ‘식품미생물학(Food Microbiology)’ 4월 10일자에 발표했다 ... ...
- [Issue] 양서류 흑사병 발원지가 한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바로 한국이었다. 전 세계 38개 연구팀, 항아리곰팡이 계보 추적1993년 호주에서 처음 발견된 항아리곰팡이는 양서류의 피부 조직인 케라틴을 먹이 삼아 기생하는 병균이다. 항아리곰팡이에 감염되면 양서류는 피부 호흡을 하지 못해 질식사하게 된다. 치사율이 90~100%에 이르러 25년간 호주와 ... ...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등 우주 날씨 연구 분야의 다양한 주제를 종합해 2012년 청소년을 위한 책으로도 펴냈다.처음부터 과학대중화에 뜻이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고 한다. 여성 과학기술인의 권익 신장을 위해 1993년 설립된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KWSE)’ 소속으로 6년 전부터 ‘과학탐구교실’이라는 대중강연 ... ...
- Part 4. 게임의 미래 책임질 인공지능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전공이 다양하다.어떻게 게임 개발자가 됐나컴퓨터공학을 전공했기 때문에 처음에는 IT 관련 기업에서 일을 할 계획이었다. 그런데 게임 회사 특유의 자유로운 분위기에 매료돼 결국 게임 개발자가 됐다. 이런 분위기에서 창의적이고 환상적인 게임이 탄생할 수 있는 것 같다.게임 개발자가 되려면 ... ...
- [과학동아 X KRISS] 아보가드로 상수로 더 명확해진 몰(Mol)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상수를 NA=6.022 140 76×1023 mol-1이라고 발표했다. 여기서 한 가지 재밌는 사실은, 처음에 실리콘의 동위원소 농축작업은 아보가드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지 않은 러시아에서 맡았다는 점이다.러시아는 핵폭탄의 주원료인 우라늄-235를 농축하는 고도의 원심분리 기술을 갖고 있었다. 이것으로 실리콘 ... ...
- [Future] 줄었다 늘었다 자유자재, 이런 컵 슬리브는 처음이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기계에서 하얀 플라스틱이 스파게티 면발처럼 뽑혀 나온다. 바닥에 켜켜이 쌓이더니 신발의 형태가 된다. 아디다스가 5월 선보인 운동화 ‘알파엣지4D’다. 이 신발은 무려 ‘4D 프린팅’ 기술로 만들었단다. 액체 상태의 고분자 물질을 프린터로 인쇄한 뒤, 여기에 빛과 산소를 더하면 신발은 완벽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등 공부하라고 괴롭히기 위해 존재한다고만 생각했던 과거의 학자들에게 난생 처음 고마움을 느꼈다. 책 ‘뷰티풀 퀘스천’ 덕분이다. 저자는 200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프랭크 윌첵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석좌교수다. 윌첵 교수는 ‘이 세계는 아름다움을 간직한 하나의 예술 작품’이라는 ...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활동을 기획해서 진행했던 점들이 좋은 평가를 받은 것 같다”고 말했다.고등학교에서 처음 제대로 과학을 접하게 된 공 씨는 운송수단에 관심을 갖게 됐고, 선생님의 추천으로 ‘조선기술’이라는 책을 읽으며 조선해양공학에 대한 흥미를 키워갔다. 음악을 좋아하는 공 씨는 앞으로 수중음향학을 ... ...
- Part 5. 수학으로 새 옷 입은 초고층건물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설계 변수를 바꿔가며 건축물을 설계하는 방법이다. 기존에는 설계 변수를 바꾸면 처음부터 다시 기하학적 계산을 해야 했지만, 각 변수가 서로 연결돼 있어 계산이 만만치 않았다. 그런데 컴퓨터가 계산을 대신해 주면서, 건축가가 도전하기 힘들었던 모양을 실제로 구현할 수 있게 됐다. 함수로 ... ...
- [별난이름정리] 햄 샌드위치 정리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나눌 수 있는 것이고요. 이 문제는 폴란드의 수학자 후고 스테인하우스가 1938년 처음 떠올렸는데, 이후 1945년 같은 나라의 스테판 바나흐라는 수학자가 ‘보석 울람 정리’라는 위상수학의 이론을 이용해 증명했습니다. 이를 ‘햄 샌드위치 정리’라고 부릅니다. 혹시 눈치 채셨나요? 햄 샌드위치 ... ...
이전2442452462472482492502512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