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시행 목전까지 왔지만 결실을 맺지 못했다. 2007년 12월 남북 환경보건실무자회의에서 처음 제시된 뒤 전문가그룹을 만들었지만, 2008년 금강산 피격 사건으로 남북관계가 경색되며 무산됐다. 아이슬란드 화산 폭발 이듬해인 2011년 3월에는 남한의 문산과 북한의 개성에서 두 차례에 걸쳐 전문가 ...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보관돼 있다. 한국은 언제부터 킬로그램 썼을까우리나라에 원기의 복사본이 처음 들어온 건 고종 즉위 시절인 1894년이다. 그 전까지는 전통 도량형이 널리 쓰였다. 전통 도량형의 기록은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보면 ‘근(斤)’등의 단위가 기록돼 있고 ... ...
- 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개최된 암호학 분야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대회인 ‘유로크립트(EUROCRYPT) 2018’에서 처음 발표했다. 동형암호, 왜 안전한가동형암호는 현존 최강 암호체계 중 하나로 꼽히는 ‘격자기반암호’의 한 종류다. 격자기반암호란 수학계에서 절대 답을 찾을 수 없다고 알려진 ‘격자 문제(lattice problem)’를 ... ...
- Part 4. 미래 산업의 열쇠, 암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암호는 19세기부터 정수론이나 결정학 분야에서 주로 연구된 격자이론에서 출발했다. 처음부터 암호를 염두에 두고 시작한 연구가 아니었다. 순수한 호기심을 발전시켜오지 못했다면 동형암호는 등장하지 못했을 것이다. 수학, 나아가 기초연구를 지원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향숙_hsl ... ...
- [Origin] 내 안의 또 다른 나, 장내미생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자체의 유전자나 습관뿐 아니라 장내미생물 역시 비만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 처음 확인됐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2006년 12월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됐습니다. 코흐 박사의 실험이 특정한 병원균의 침입이 질환의 원인이 된다는 점을 증명한 연구였다면, 고든 교수의 실험은 인체에 ... ...
- [서울대 공대] 창의공학 인재가 모인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씨는 일단 학교의 공지사항을 눈여겨보면서 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활동에 참여했다. 물론 처음에는 이런 활동들이 기계공학을 향한 일관된 방향이라기보다는 갈팡질팡한 경우에 가까웠다. 물리인증제와 정보올림피아드, 화학 관련 활동 등 닥치는 대로 참여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 ...
- 2018 아벨상 수상자 로버트 랭글랜즈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덕분에 랭글랜즈 프로그램이 세상에 알려지게 됩니다. 랭글랜즈 프로그램이 처음 등장했을 때 반응은 다양했습니다. 중요성을 단번에 알아본 대가도 있었던 반면에,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거나 관망하는 자세를 보였던 대가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와일즈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을 계기로 ... ...
- 최초의 미적분학 입문서, 이탈리아 청년을 위한 미적분학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책입니다. ‘이탈리아 청년을 위한 미적분학’은 여러 갈래로 나뉘어 있던 미적분학을 처음으로 통합한 입문서로, 미적분학뿐만 아니라 대수학, 기하학도 다루고 있습니다. 1권에서는 주로 대수학 기본개념을, 2권에서는 미적분학을 설명합니다. ‘아녜시의 마녀’로 유명한 곡선은 1권 381쪽에 실려 ... ...
- [DJ CHO의 롤링수톤] 가상현실로 듣는 동요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뚤래뚤래 오너라 ♬ 손등에 모래를 잔뜩 쌓아 올리면서 부르는 동요입니다. 언제, 누가 처음 만들었는지 알 수 없지만 오래전부터 어린이 사이에서 입으로 이어져 내려왔지요. 이렇게 유래가 명확하지 않고, 정확한 제목이 없는 동요를 전래동요라고 하는데, 시기상으로는 1920년대 이전부터 부르던 ... ...
- 도넛 위에서 게임을? 틱택토의 무한변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아래 오른쪽 그림처럼 게임판을 복사해서 상하좌우에 붙였다고 생각해 보세요. 처음엔 엇갈려 있던 ×가 이어져 대각선 방향으로 삼목이 됩니다. 쉽게 떠올리기 어려우면 게임판의 가로 또는 세로줄 세 개를 다시 배치해서 대각선 방향으로 삼목이 되는 거라고 생각해도 됩니다. 아핀평면 틱택토는 ... ...
이전2492502512522532542552562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