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앞"(으)로 총 11,302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보리 게놈지도 마침내 완성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맥아를 제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보리 표준 게놈지도 완성보리의 품종은 앞으로 더 다양해질 전망이다. 닐스 스타인 독일 라이프니츠 식물유전학작물연구소(IPK) 교수팀을 비롯한 국제보리염기서열분석컨소시엄(IBSC)이 올해 4월 여섯줄 보리의 게놈을 해독해 표준 게놈지도를 완성한 뒤,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움직이지 못하고 배아는 무작위로 좌우 축을 결정합니다. 동전을 던졌을 때 앞 또는 뒤가 나올 확률이 반반이듯, 이 돌연변이가 좌우를 우연히 잘 맞춰 정상적으로 발달할 확률과, 좌우가 바뀌어 발달할 확률은 50 대 50입니다. ‘노들’ vs ‘레프티’ 상반된 단백질이 좌우 결정 그럼 다시 움직이는 ... ...
- [수학공감] 수학문화를 퍼뜨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목표”라고 밝혔다. 수학문화를 퍼뜨리는 일은 이제 막 자리 잡기 시작했다. 앞으로도 꾸준히 노력해야 한다. 경남수학문화관이 그 역할을 톡톡히 해내길 바란다. 수학문화가 자연스러워진 날, 수학문화관이 하나의 문화 명소로 자리 잡을 날을 기대해 본다 ... ...
- Part 4. 지금은 ‘미소년’ 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능력이나 이미지로 평가받는 사회가 되면서 개성 있는 얼굴이 인기”라며 “앞으로는 몇 가지 특징으로 꼽을 수 없이 미인상에도 다양성이 나타날 것”이라고 기대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바라보면 잠금해제, 얼굴 신분증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Part 2. AI,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전문지식이 없어도 오픈소스의 데이터만 바꾸면 대충 쓸 만한 결과가 나오는 상황에서, 앞으로는 공개된 인공지능 기능을 활용해 더 좋은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능력이 중요해질 것이다. 알파고 기술을 활용한 실질적인 제품이나 서비스는 구글 딥마인드 팀조차도 아직 완성하지 못했다. 알파고 ... ...
- [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지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양성 등의 임무가 추가되면서 현재 한국과학창의재단의 모습을 갖췄다. 박 이사장은 “앞으로는 창의융합인재가 매우 중요한데, 융합은 창의를 구현하는 좋은 방법 중 하나”라며 “유(有)와 유(有)를 융합해 새로운 유(有)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아이폰을 융합형 창의의 대표적인 ... ...
- 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되었답니다. 이처럼 다른 작품을 만들 수 있는 게 레고의 매력인 것 같아요. Q. 앞으로도 계속 레고 수업을 할 계획인가요?봉사활동이라고 생각하고 계속 강의할 계획이에요. 2016년부터는 마틴 루터 킹의 셀마 행진★을 기념하기 위해 레고 블록으로 현수교를 만들고 있어요. 다리가 서로 떨어진 두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생활을 카메라와 비디오 등으로 연구하면서 하나씩 밝혀가고 있는 중이래. 하지만 앞으로는 단순히 호기심을 해결하는 연구보다는 우리를 보호할 수 있는 연구에 관심을 가져 줬으면 좋겠어. 다들 알다시피 남극의 환경이 급격하게 변하면서, 우리 서식지가 위협받고 있거든. 남극 얼음이 ... ...
- 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12호
- 교수님에게 장난감이란?‘인생’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아요. 20년 세월을 함께 했고, 앞으로도 계속 같이할 테니까요. 수학자로서 은퇴하고 나면 국산 장난감과 만화책의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도록을 만드는 게 제 꿈이에요. 한 가지 바람이 있다면 30~40년 이상 오랫동안 사랑받는 국산 ... ...
- [SW 기업 탐방] 수학 원리로 듣는 스피커, 리슨~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만드는 방법의 비법은 수학 개념이었다. 처음 두 행을 1과 1로 한 후, 다음 수는 바로 앞의 두 수의 합이 된다는 피보나치 수열이었다. 물론 처음부터 수학적 원리를 적용한 건 아니었다. 원하는 공간 안에서 소리가 잘 돌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공간을 나누는 환상의 비율, 최적의 법칙을 찾았다. ... ...
이전2462472482492502512522532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