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스페셜
"
표면
"(으)로 총 1,045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다의 대식가' 고래, 생태계 영향력도 그만큼 커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06
더 많은 음식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을 먹고 배설물을 흩뿌려 영양소를 바다
표면
에 다시 공급하는 역할도 과소평가됐던 것으로 나타났다. 매튜 사보카 스탠퍼드대 홉킨스해양연구소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은 이같은 연구결과를 3일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고래 먹이량의 비밀을 ... ...
베이조스, 달 착륙선 개발사업서 머스크에 끝내 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05
달에 착륙한 스페이스X의 스타십 우주선 상상도. 스페이스X 제공 미국 법원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달 착륙선 사업을 두고 수주전을 벌였던 제프 베이조스 ... 목표로 추진 중인 계획이다. 스페이스X가 개발하는 달 착륙선은 우주비행사를 태워 달
표면
에 내려 보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 ...
[한 토막 과학상식]반강자성물질로 만든 전자소자 가능성 연 초고속 ‘마그논’이란
동아사이언스
l
2021.11.05
연구소와 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이 산화마그네슘
표면
위에 올린 타이타늄 원자의 양자 상태 가운데 하나인 스핀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데 성공한 적도 있다. IBM 연구소 제공 인접한 원자의 자기 모멘트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자력을 띠지 않는 물질을 반강자성체라고 ... ...
최근 7년 기록상 가장 더웠다…WMO "극한 기상현상이 '뉴 노멀'"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1.11.01
같은날 40.6도로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1981~2010년 평균 대비 2021년의 전 지구의
표면
온도 상승량을 표시했다. 유럽중기예보센터 제공 폭우도 강력해졌다. 중국 허난성에는 7월 17일부터 21일까지 기록적인 폭우가 내렸다. 정저우시에서는 20일 1시간 동안 201.9mm가 내려 중국 기록을 갱신했다. ... ...
[프리미엄 리포트]벌레잡이풀·벌집 닮은
표면
이 '바이러스' 잡는다
과학동아
l
2021.10.30
독특한 방식으로 바이러스 입자를 포집하는 3차원
표면
구조를 개발한 조영태·김석 창원대 기계공학부 스마트제조융합전공 교수. 의료원과의 협업으로 연구의 정밀성과 실용 ... ※관련기사 과학동아 11월호, [엣지 사이언스] 벌레잡이풀·벌집에게 배운다, 바이러스 잡는 ‘
표면
공학 ... ...
[이덕환의 과학세상]‘탄소’가 망친 세상 ‘수소’가 구해줄까
2021.10.27
킬로미터나 된다. 빛의 속도로 8분 30초가 걸리고, 국제선 항공기로는 무려 17년이 걸린다.
표면
온도도 6천도나 된다. 지구의 사정은 전혀 다르다. 세상에서 가장 가벼운 물질인 수소 기체는 모두 우주 공간으로 날아가 버렸다. 지구에 남아있는 수소의 양은 지구의 0.14%에 지나지 않는다. 그마저도 ... ...
코로나19 확진자의 위증중 여부 예측하는 단백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1.10.21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데, 2019년 연구팀은 이 시스템과 연관된 단백질을 발견했다. 세포
표면
에 만들어진 꽃 모양의 단백질은 이 세포가 정상적이라는 것을 주변 세포에 알리거나, 반대로 상태가 좋지 않다는 것을 알리는 역할을 했다. 세포의 상태가 좋지 않다는 정보가 전달되면 제거 시스템이 ... ...
[프리미엄 리포트]발사 카운트다운 앞둔 누리호 개발의 숨은 주역들
과학동아
l
2021.10.16
’을 끝내고 마무리 작업을 진행 중이다. 기자가 나로우주센터를 방문한 날에는 누리호
표면
에 태극기를 붙이는 작업이 진행 중이었다. 마치 국가대표로 올림픽에 나가는 선수를 만난 것처럼 가슴이 웅장해졌다. 고정환 항우연 발사체개발본부장은 “발사라는 것은 하나만 잘못돼도 모든 게 수포로 ... ...
[우주산업 리포트]위성 애용자 미군도 탐낸다는 초저궤도 위성
2021.10.15
관련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초저궤도(VLEO)는 지구
표면
에서 200~300km 상공에 있는 영역으로 현재 가장 많은 인공위성이 몰려있는 고도 600~800km 지구 저궤도의 절반 이하의 높이고 국제우주정거장(ISS)이 있는 고도 400km보다도 낮다. 우주의 시작인 고도 100km ‘카르만 ... ...
금성에는 바다가 없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14
수증기가 응결할 수 없는 기후 상태였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대기 중 물이
표면
에 떨어질만한 빗방울로 자라기 위해서는 기온이 낮아야 하는데, 충분히 기온이 낮아지지 않았다. 이런 기후 조건을 만든 가장 큰 원인은 구름의 온실효과였다. 금성이 자전하면서 태양 빛을 받지 않는 지역은 기온이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