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생물
병균
세균
박테리아
미소동식물
여과성병원체
바이러스
뉴스
"
병원균
"(으)로 총 30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지능이 메르스 등 감염병 예방" 10대 미래기술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6.12.27
조기 차단에 요긴하게 쓰일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동물이나 사람의 몸에서
병원균
을 조기진단하면 확산을 막을 수 있고, 유전자를 빠르게 분석해 백신과 치료약을 개발하면 피해를 최대한 줄일 수 있으니까요. 미국에선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을 겪은 뒤 관련 연구가 크게 ... ...
[카드뉴스] 내가 바로 이 구역의 똥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2
위장관 질환이나 심혈관 질환에 걸릴 확률을 줄인하고 해. 대장을 산성으로 유지해
병원균
의 활성을 억제하기 때문이라나. 특히 대장세포의 주요한 에너지원인 부티르산염은 대장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지 않게 만들어서 대장암의 위험도를 낮춘대. 그런데 사람들은 우리를 보면 시원함을 ... ...
빌 게이츠 재단 지원 받는 첫 국내 과학자 권오석 생명硏 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6.12.19
2억 달러(약 2380억 원)를 지원하고 있다. 말라리아 환자는 혈액에 항체 같은 표지 물질(
병원균
존재 여부를 알 수 있는 물질)이 포함돼 있어 혈액 한 방울만 있어도 쉽게 발견할 수 있지만, 보균자는 표지 물질이 일반 환자의 100분의 1에 불과하다. 권 연구원은 “보균자를 진단하려면 기존 기술보다 ... ...
컴퓨터공학자가 오렌지 질병 막는다?
2016.12.08
전략으로 사용되었지만, 앞으로는 다른 농작물 및 가축, 인간의 건강을 해치는 질병의
병원균
전염을 막는데도 도움을 줄 것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습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온라인 학술지 중 하나인 ‘플로스 컴퓨테이셔널 바이올로지(PLOS Computational Biology)’에 ... ...
독감에 대한 궁금증 4가지
2016.11.20
인식하는 것은 '겉껍질' 부분입니다. 독감 예방주사를 맞으면 우리 몸의 면역세포는
병원균
의 모양을 인식해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원인균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겉껍질은 동물에게 감염됐다가 사람에게 전파되는 과정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변이됩니다. 변이된 바이러스에 대한 ... ...
식중독 균 경고하는 파란 빛
과학동아
l
2016.11.11
필요 없이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며 “위장염 등을 일으키는 살모넬라균처럼 다른
병원균
을 검출할 때도 이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세균감염 막는 몸 속 방어 시스템 찾았다
2016.10.25
밝혀냈다. 진 교수팀은 백혈구가 어떻게
병원균
과 싸우기 시작하는지를 살피던 중
병원균
이 생체 내로 들어간 지 수 분 내에 백혈구 중 하나인 단핵구에서 ‘WRS’라는 분비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WRS는 감염원을 제거하는 ‘대식세포’에 붙은 뒤, 대식세포가 감염원을 더 빨리 없앨 수 있도록 ... ...
6세기 페스트균의 정체는?
과학동아
l
2016.10.19
것보다 유전적으로 훨씬 다양했을 것”이라며 “고대 게놈을 복원하는 연구를 통해
병원균
의 진화와 역사적 사건을 연구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유스티니아누스 역병의 원인이 페스트균이라는 사실은 2014년 국제 공동연구팀이 유골 두구에서 DNA를 채취하면서 밝혀졌다. 당시 연구를 주도한 ... ...
영화처럼 바이러스를 퍼뜨려 전 인류를 감염시킬 수 있을까
2016.10.14
특별한 접종 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이 단점”이라고 설명했다. DNA백신은 연구자가
병원균
을 직접 다루거나, 미생물 일부를 사람 몸에 넣지 않아도 돼 안전성이 높은 것도 장점이다. 전염력이 강한 메르스 바이러스, 소두증을 일으킬 수 있는 지카 바이러스를 대상으로 최근 DNA백신 임상연구가 진행 ... ...
동물이 옮긴다고? 사람한테 옮았다!
과학동아
l
2016.09.09
먹이를 받아먹으면서 길들여지고 있다”며 “자연을 개발할수록 사람이 치명적인
병원균
을 전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응용 및 환경 미생물학’ 7월 29일자에 실렸다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