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생물
병균
세균
박테리아
미소동식물
여과성병원체
바이러스
뉴스
"
병원균
"(으)로 총 288건 검색되었습니다.
브루스 보이틀러 교수 “유행 따르지 말고 당신만의 연구를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7.06.02
중동고, 화곡고 등에서 400여 명의 학생이 참석했다. 보이틀러 교수는 포유류에
병원균
이 침투했을 때 염증이 일어나는 과정을 밝힌 공로로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우리 몸의 세포막에서 외부로부터 온 병원성 물질을 인식하는 지질다당류(LPS) 수용체와 그유전자를 발견해 면역체계의 기초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천연항생제 내뿜는 바다의 파수꾼 ‘해초’
동아사이언스
l
2017.02.19
기후변화로 1990년 이후 해초밭이 7% 감소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해초생태계가 파괴되면
병원균
이 늘어나 해양생물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물고기가 알을 낳고 새끼를 키우는 보금자리인 산호가 파괴되면서 어획량이 감소하는 것도 사람에게 큰 피해다 ... ...
우리는 평소 어떤 ‘독’에 노출돼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2.15
변화 없이 빠르게 몸속으로 퍼져갑니다. 그 다음으로 반응이 빨리 나타나는 독은
병원균
이나 독가스처럼 호흡을 통해 폐로 흡수돼 혈액으로 퍼지는 경우입니다. 폐는 점막이 얇고 폐포 (허파꽈리)의 표면적이 넓어 흡수가 빠르고 혈류량도 많이 금방 온몸으로 독을 퍼뜨립니다. 반면 입으로 먹는 ... ...
서열 낮으면 면역력도 낮아진다
과학동아
l
2017.01.08
서열이었던 암컷과 비슷한 유전자 발현 정도를 보였다. 연구팀은 또 이들의 백혈구를
병원균
과 섞었을 때 서열이 낮은 암컷의 세포에서 염증을 유발하는 유전자가 과도하게 발현하는 것을 확인했다. 논문의 공동 저자인 캐나다 몬트리올대 면역유전체학과 루이스 바레이로 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 ...
[사이언스 지식IN] 면역세포? 줄기세포? 첨단재생의료법은 뭐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1.07
최대한 키운 뒤 다시 몸 안에 넣어주는 치료방법이다. 몸 안에 들어간 면역세포가 암 등
병원균
을 제거해 건강을 되찾아줄 수 있다. 일반적인 약물 항암치료에 비해 부작용이 적다. 암 치료에 효과가 있는 면역세포로는 자연 살해세포(NK세포), 수지상세포, B세포, T세포 등 4가지가 연구되고 있다. ... ...
"인공지능이 메르스 등 감염병 예방" 10대 미래기술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6.12.27
조기 차단에 요긴하게 쓰일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동물이나 사람의 몸에서
병원균
을 조기진단하면 확산을 막을 수 있고, 유전자를 빠르게 분석해 백신과 치료약을 개발하면 피해를 최대한 줄일 수 있으니까요. 미국에선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을 겪은 뒤 관련 연구가 크게 ... ...
[카드뉴스] 내가 바로 이 구역의 똥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2
위장관 질환이나 심혈관 질환에 걸릴 확률을 줄인하고 해. 대장을 산성으로 유지해
병원균
의 활성을 억제하기 때문이라나. 특히 대장세포의 주요한 에너지원인 부티르산염은 대장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지 않게 만들어서 대장암의 위험도를 낮춘대. 그런데 사람들은 우리를 보면 시원함을 ... ...
빌 게이츠 재단 지원 받는 첫 국내 과학자 권오석 생명硏 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6.12.19
2억 달러(약 2380억 원)를 지원하고 있다. 말라리아 환자는 혈액에 항체 같은 표지 물질(
병원균
존재 여부를 알 수 있는 물질)이 포함돼 있어 혈액 한 방울만 있어도 쉽게 발견할 수 있지만, 보균자는 표지 물질이 일반 환자의 100분의 1에 불과하다. 권 연구원은 “보균자를 진단하려면 기존 기술보다 ... ...
컴퓨터공학자가 오렌지 질병 막는다?
2016.12.08
전략으로 사용되었지만, 앞으로는 다른 농작물 및 가축, 인간의 건강을 해치는 질병의
병원균
전염을 막는데도 도움을 줄 것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습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온라인 학술지 중 하나인 ‘플로스 컴퓨테이셔널 바이올로지(PLOS Computational Biology)’에 ... ...
독감에 대한 궁금증 4가지
2016.11.20
인식하는 것은 '겉껍질' 부분입니다. 독감 예방주사를 맞으면 우리 몸의 면역세포는
병원균
의 모양을 인식해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원인균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겉껍질은 동물에게 감염됐다가 사람에게 전파되는 과정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변이됩니다. 변이된 바이러스에 대한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